$\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몇 가지 식물추출물의 벼 병해충 방제 효과
Controlling Effect of Some Plant Extracts on Pathogenic Fungi and Pest of Rice 원문보기

韓國有機農業學會誌 = Korean journal of organic agriculture, v.22 no.2, 2014년, pp.269 - 280  

황기철 (전북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작물생명과학과) ,  신소희 (전북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작물생명과학과) ,  정남진 (전북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작물생명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고삼, 정향 및 neem 추출물에 대한 항균 항충력을 규명하여 벼 친환경 재배 포장에서 병해충 방제제로의 이용가능성을 검토하고자 수행하였다. 식물추출물에 대한 잿빛곰팡이균에 대한 항균력 실험결과 정향추출물이 가장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벼멸구에 대한 살충력은 고삼추출물이 가장 높은 효과를 보였는데, 고삼추출물의 300배 희석용액에서도 100%의 살충 방제가를 나타내었다. 정향과 고삼추출물에 각각 목초액(10%)과 유화전착제(10%)를 혼합하여 친환경 벼 재배포장에 살포하고 병해충 발생률을 조사한 결과, 정향추출물 처리구의 병해 방제가는 무처리구(100%) 대비 50.8%, 해충 발생은 70.6%를 나타내었고, 고삼추출물 처리구는 무처리(100%) 대비 병해 방제가는 43.1%, 해충 방제가는 79.1%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고삼 및 정향 추출물은 벼 친환경 재배 시 병해는 약 50%, 충해는 약 70%를 감소시킬 수 있어서 친환경농자재로의 활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performed to test the insecticidal and antimicrobial activity of plant extracts from clove, Sophora flavescens Aiton and neem. As the result of antimicrobial activity test, clove extract showed the strongest activity against Botrytis cinerea. In insecticidal activity test, the extrac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고삼, 정향 및 neem 추출물에 대한 항균 · 항충력을 규명하여 벼 친환경 재배 포장에서 병해충 방제제로의 이용가능성을 검토하고자 수행하였다.
  • 본 연구는 살충활성과 항균활성이 확인된 matirine, eugenol, azadirachtin 등의 화합물을 함유한 고삼, 정향 및 neem 식물의 추출물이 벼 친환경재배 시 병해충방제용 농자재로서의 이용가능성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친환경 농업에서 식물추출 화합물에 대한 인식은? , 2010; Saxena, 1989). 그 중 식물추출물을 이용한 친환경 작물보호제는 살충제, 곤충기피제 및 섭식저해제로서 성공적으로 개발 및 이용되어지고 있으며(Schmutterer, 1980; Xu, 2001), 식물추출 화합물은 다양한 생물활성물질을 함유하고 있으면서(Wink, 1993), 인축에는 거의 해가 없기 때문에 친환경 농업에서는 새로운 해충방제용 대체제로 인식되고 있다(Arnason et al., 1989).
식물추출 화합물이 친환경 농업에서 새로운 해충방제용 대체재로 인식되는 이유는? , 2010; Saxena, 1989). 그 중 식물추출물을 이용한 친환경 작물보호제는 살충제, 곤충기피제 및 섭식저해제로서 성공적으로 개발 및 이용되어지고 있으며(Schmutterer, 1980; Xu, 2001), 식물추출 화합물은 다양한 생물활성물질을 함유하고 있으면서(Wink, 1993), 인축에는 거의 해가 없기 때문에 친환경 농업에서는 새로운 해충방제용 대체제로 인식되고 있다(Arnason et al., 1989).
곤충에 들어간 azadirachtin의 특징은? 세계적으로 주요 작물의 해충을 포함한 400종 이상의 해충방제에 사용되고, IPM을 위한 가장 주목받는 식물성 성분 중에 하나이다(Schmutterer, 1990; Isman, 1999). Azadirachtin은 곤충의 섭식을 저해하고, 산란억제, 성장 저지, 탈피방지와 우화방해 등의 다양한 작용을 한다(Schmutterer, 1990; Mordue and Blackwell, 1993). 곤충생장조절제인 Azadirachtin은 천적에 안전하며 환경에 적은 영향을 주고, 인간이나 다른 절지동물에 독성이 없는 것이 가장 큰 장점중의 하나이다. 또한 저항성 발달의 가능성이 적기 때문에 해충 방제에 유용한 성분으로 알려져 있다(Isman, 1999; Walter, 199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Ahn Eu-Young, Dong-Hwa Shin, Nam-In Paik, Jin-A Oh. 1998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Antimicrobial Active Substance from Sophora flavescens Ait..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30(3): 672-679. 

  2. Arnason, J. T., B. J. R. Philogene, P. Morand, K. Imrie, S. Iyengar, F. Duval, C. Soucy- Breau, J. V. Scaiano, N. H. Werstiuk, B. Hasspieler, and A. E. R. Downe. 1989. Naturally occurring and synthetic thiopenes as photoactivated insecticides. In Insecticides of Plant Orgin. (Eds. J. T. Arnason, B. J. R. Philogene and P. Morand) ACS symposium series no. 387, American Chemical Society, Washington, DC. pp. 164-172. 

  3. Bowers, W. S., H. M. Fales, M. J. Thompson, and E. C. Uebel. 1966. Juvenile homones: Identification of an active compound from Balsam Fir. Science. 154: 1020-1021. 

  4. Butterworth, J. H. and E. D. Morgan. 1968. Isolation of a substance that suppresses feeding in locusts. Chem. Commun. 23-24. 

  5. Chauvin, R. C. 1946. Sur la substance guin dans less faulles de Melia azedirach responseless criquez. Acad. Sci. Paris. 222: 41-414. 

  6. Chung Yong-Jae, Gyu-Sik Lee, Seong-Hee Han, and Myeong-Hee Lee. 2001. Antifungal and Insecticidal Activity of Ohyang (Five Medicinal Plant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nservation science for cultural properties. 10(1): 21-30. 

  7. Deans. S. G. and G. Ritchie. 1997. Antinicrobial properties of plant essential oils. int. J. Food Microbiol. 5L 165-180. 

  8. Georghiou, G. P. and T. Saito. 1983. Pest Resistance to Pesticides, Plenum Pub., New York. 

  9. Han, J. S. 1995. Growth inhibition of Listeria monocytogenes by plant extract. M.S. Thesis, Chonbuk National Univ. Seoul, Korea. 

  10. Hong Moo-Gi, Young-Ho Chung, and Jong-Ok Hong. 1988. Development of Vegetable Fungicide for Valsa ceratosperma. Collected Papers for Farming (Crop Protection). 30(3): 24-30. 

  11. Huang, S., Z. Zhang, Y. Li, and H. Xu. 2010. Anti-Insect Activity of the Methanol Extracts of Fern and Gymnosperm. Agricultural Science in China. 9(2): 249-256. 

  12. Hwang, I. C., J. Kim, H. M. Kim, D. I. Kim, S. G. Kim, S. S. Kim, and C. Jang. 2009. Evaluation of toxicity of plant extract made by neem and martrine against main pests and natural enemies. Korean J. Appl. Entomol. 48(1): 87-94. 

  13. Isman M. B. 1999. Neem and related natural products. In: Hall, F. R., Menn, J. J. (Eds.), Method in Biotechnology, Vol. 5. Biopesticides: Use and Delivery. Humana Press Inc., Totowa, NJ. pp. 139-153. 

  14. Kwon Oh-Gyeong, Soo-Gil Lim, Gi-Seok Seong, and Byeong-Ryeol Choi. 1997. Screening of Pesticidal Active Compounds from Various Domestic Wild Plants.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Agriculture. 16(4): 347-355. 

  15. Kwon Soo-Min, Dae-Ho Kim, Tae-Hyeon Chang, Min-Gu Cheon, In-Sub Kim, and In-Whee Kim. 2010. Screening of Antifungal Medicinal Plants for Turfgrass Fungal Disease Control. The Journal of Turfglass Society of Korea. 24(2): 176-181. 

  16. Lavie, D., M. K. Jian, and S. R. Shapan-Gabrielith. 1967. A locust phago-repellent from two Melia spp. Chem. Comm. 1: 910-911. 

  17. Medicinal Botany Study Group. 1982. The Special Medicinal Botany, p. 482. 

  18. Mordue, A. J. and A. Blackwell. 1993. Azadirachtin: an update. J. Insect Physiol. 39: 903-924. 

  19. Morgan, E. D. and M. D. Thornton. 1973. Azadirachtin in the fruits of Melia azadirach. Phytochem. 12: 391-392. 

  20. Oelrichs, P. B., M. W. Hill, O. J. Valley, J. K. MacLeod, and T. F. Molinski. 1983. Toxic tetranotriterpenes of the fruits of Melia azedarach. Phytochemistry. 22: 531-534. 

  21. Park, J. H., K. Y. Ryu, H. J. Jee, B. M. Lee, and Paik Soo-Bong, Seok-Hyeon Kyeong. 1990. Research of Antagonistic Plants and Development of Application Technology for Control of Gray Mold Disease (II). Collected Papers on Agricultural Experimentations and Researches (Academic-Agricultural Industry Cooperation). 33: 29-134. 

  22. Park Dong-Seong. Kohmoto Keisuke, Katayama Masato(1986)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Antifungal Fatty Acids from the Extract of Common Purslane (Portulaca oleracea L.). Journal of Korea Society of Plant Pathology. 2(2): 82-88. 

  23. Region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2009. [http://www.rda.go.kr/organic.tdf?aadmin.organic.OrganicApp&c2000] 

  24. Ryuk, C. S. 1997. Coloured medicinal plants of Korea. Academy press. p. 665. 

  25. Ryook Chang-Soo. 1981. Korean Illustrated Plant Book, Jinmyong Publishing Company, p. 406. 

  26. Saxena, R. C. 1989. Insecticides from neem. In insecticides of plant origin (J. T. Arnason, B. J. R. Philogene, and P. Morand, eds.). ACS Symp. Ser. No. 387. Am. Chem. Soc. Washington, D.C. pp. 110-135. 

  27. Schmutterer, H. 1980. Natural pesticides from the neem tree. Proc. 1st Int. Neem Conf. pp. 33-259. 

  28. Schmutterer, H. 1990. Properties and potential of natural pesticides from the neem tree. Annu. Rev. Entomol. 35: 271-298. 

  29. Suh Mi-Ja, Hyo-Sub Shin, Shin-Hyeok Cho, Chang-Soon Kwak, Hye-ri Kwon, Min-Woo Park, Dae-Whee Cho, Yong-Man Yoo, and Young-Nam Yoon. 2011. Selection of Environmental- Friendly Control Agents for Controlling the Comstock Mealybug [Pseudococcus comstocki (Kuwana), Pseudococcidae, Hemiptera].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Pesticide Science. 15(4): 479-484. 

  30. Walter, J. F. 1999. Commercial experience with neem products. In: Hall, F. R., Menn, J. J. (Eds.), Method in Biotechnology, 5: Biopesticides. Humana Press, Totowa, NJ. pp. 155-170. 

  31. Wink, M. 1993. Production and application of phytochemicals from an agricultural perspective. In Phytochemistry and Agriculture (van Beek TA, Breteler H. eds.). Clarendon Press, Oxford, pp. 171-213. 

  32. Xu, H. H. 2001. Insecticidal plant and Botanical insecticides. China Agricultural Press. Beijing.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