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고층 건물 아트리움 공간에서의 제연구획에 따른 시뮬레이션 연구
Simulation Study of Smoke Control Accordance with Zoning in the Atrium Space of High-rise Buildings 원문보기

설비공학논문집 = Korean journal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on engineering, v.26 no.7, 2014년, pp.335 - 342  

류형규 (대림산업 기술개발원) ,  배상환 (대림산업 기술개발원) ,  이병석 (대림산업 기술개발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big issue in fire and life safety protection in atriums is that hot smoke can spread vertically via the atrium openings, and impact atrium floors remote from the fire. Three different strategies to provide fire and life safety protection for atrium space were evaluated in this study, using the F...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고층 건축물의 화재안전을 위한 연기제어를 위하여 초고층 건축물 등에 적용이 확대되고 있는 아트리움 공간에 대해 성능기반 제연성능 개선방안으로 제연시스템을 계획한 경우와 일부 층에만 방화셔터를 적용하고 제연설비를 복합적으로 적용한 경우의 연기거동평가를 수행함으로써 아트리움 공간의 연기제어 성능개선방안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가설 설정

  • 이러한 삼차원적인 가연물을 넘어서는 상세한 화재 성장과 확산은 본 연구에서 사용한 FDS 프로그램에서 검증되지 않았으며, 본 연구의 분석에서 필수적인 조건은 아니므로 제외하였다. 가연물은 부피를 기준으로 50%의 섬유질 재료(나무, 종이, 보드류 등)와 50%의 합성 재료(플라스틱, 고무, 폴리에틸렌 폼 등)로 이루어진 것으로 가정하였다. 이 가연물의 조합은 일반적인 마감 재료들을 대표할 수 있다.
  • Table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단일 물품의 최대 열방출율은 아트리움 로비 내에서 2 MW를 초과하지 못한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보다 보수적인 가정을 위하여 아트리움 바닥의 중앙에서 화재가 5 MW 까지 도달하고 이후 시뮬레이션 종료시까지 5 MW를 꾸준히 유지하는 것으로 가정하였다(Fig. 2).
  • 본 연구에서 연소 부하 설계는 건물 로비 내에 열방출율이 가장 큰 재료인 천 소재로 이루어진 가구가 있는 것으로 가정하였다. 천 소재로 이루어진 가구가 포함된 화재는 “Middle” 화재 성장 곡선을 따르는 것으로 예상되지만, 화재 추정을 보수적으로 하기 위하여 “Fast” 화재 성장곡선으로 분석하였다.
  • 여기서 혼합물 분할은 가연물에서 기인한 유동장 내의 주어진 지점에서의 가스의 비율로 정의된다. 이 모델은 가연물이 혼합 조절이 가능하고 연료와 산소의 반응이 무한히 빠른 것으로 가정한다. 이러한 삼차원적인 가연물을 넘어서는 상세한 화재 성장과 확산은 본 연구에서 사용한 FDS 프로그램에서 검증되지 않았으며, 본 연구의 분석에서 필수적인 조건은 아니므로 제외하였다.
  • 1은 일반적인 t-square 화재 곡선을 나타낸 것이다. 이는 천 등의 재료로 구성된 가구, 책상 그리고 화분 등이 아트리움 내부에 있는 것을 가정한 것이다.(4)
  • 화재하중은 5 MW로 설정하였고, 화재성장은 ‘Fast’로 가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아트리움의 경우 화염이나 연기가 발화층에서 다른 층으로 확대되는 것을 막기가 어려운 이유는? 아트리움과 같이 대규모 공간 내부의 제연은 구획화가 잘 이루어진 공간과는 확연히 다르다. 즉, 아트리움은 복수 층이 서로 접속해 있기 때문에 제연의 기본 원리인 구획화에 의해 화염이나 연기가 발화층에서 다른 층으로 확대되는 것을 막기가 어렵다. 이러한 일반 건축공간과 다른 방재상의 특성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아트리움과 같은 대공간에 화재 발생 시 중요한 문제점으로 대두되는 것은 무엇인가? 최근 많은 건축물에서 자연적인 요소의 적극적인 도입과 새로운 형태의 추구를 목적으로 저층부를 아트리움과 같은 대공간 도입 사례가 증가하고 있다. (1) 그러나 아트리움과 같은 대공간은 화재가 발생하였을 경우 재실자의 안전 및 수직, 수평적 연기확산에 의한 화재안전성능이 중대한 문제로 대두된다. 건축물의 화재안전에 관한 건축법과 소방법의 규정은 계속 강화 정비 되어 왔지만, 아트리움과 같은 특수한 형태의 공간설계에는 적절히 대응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일반 건축공간과 다른, 아트리움과 같이 대규모 공간 내부의 제연의 방재 상 특성은 무엇인가? 첫째, 아트리움이 상하를 관통하는 경우 수직적인 방화계획이 어려우므로 화재 시 위험에 노출될 가능성이 많다. 즉, 아트리움으로 화재가 급속히 확산되거나 연기가 외부로 빠지지 않고 내부로 확산될 수 있다. 수평방향으로의 화염확대는 그다지 급격하지 않으나, 수직방향으로의 화염확대는 연소를 촉진하기 때문에 매우 급격하게 화재가 성장한다. 둘째, 화재의 연기가 아트리움 전체에 확산되므로 구획설정이나 연기제어 시스템이 적절하지 못하면 건물 전체가 연기로 가득하게 될 우려가 있다. 셋째, 화재발생 정보가 각층에서 쉽게 파악되기 때문에 각층에서 동시에 피난하는 혼란을 초래할 수도 있으며, 아트리움을 구성하고 있는 유리파손으로 인한 재해도 발생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아트리움은 천정이 높기 때문에 통상의 자동화재감지 설비나 스프링클러 설비로는 충분히 그 기능을 발휘하지 못할 수 있다. 이러한 특징으로 인해 아트리움 공간과 같은 경우, 실제 화재안전성능(제연성능)을 고려한 설계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

  1. Park, R., Yang, J. S., and Ha, H. L., 2011, A study on air conditioning, ventilating analysis of atriums, Proceedings of the SAREK 2011 Summer Annual Conference, Vol. 2011, No. 7, pp. 1337-1342. 

  2. Bae, S. H., 2013, A study of vertical airflow and smoke control technique for high-rise building, Daelim Technical Review. 

  3. Bae, S. H. and Lee, B. S., 2013, A study on atrium smoke control performance evaluation and improvement based on PBD, Proceedings of the KIFSE 2013 Spring Annual Conference, pp. 119-120. 

  4. Bukowski, R. W., 2003, NFPA Fire protection handbook "Fire hazard analysis", 19th ed., NFPA, Quincy, Massachusetts, Vol. 1, pp. 3-107. 

  5. Dinenno, P. J. (ed), 2002, SFPE Handbook of fire protection engineering "Table 3-4.14", 3rd ed., National Fire Protection Association, Quincy, Massachusetts.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