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비도시화 토지의 지속가능한 토지이용을 위한 그린인프라 적용기법 : 에코델타시티 사례를 중심으로
Method of Green Infrastructure Application for Sustainable Land Use of Non-urban Area : The Case Study of Eco-delta City 원문보기

대한환경공학회지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Engineers, v.36 no.6, 2014년, pp.402 - 411  

김동현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국가기후변화적응센터) ,  서혜정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국가기후변화적응센터) ,  이병국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물환경연구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그린인프라 기법이 개별 요소시설로 뿐만 아니라 토지이용 및 설계과정에서 적용될 수 있도록 적용 대상 토지의 특성을 평가하여 그린인프라를 적용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이를 위한 토지 특성 평가 지표로 토지피복, 파편화 정도, 주거지와의 인접도, 유사한 토지 파편들 간의 군집 정도를 통한 녹지 네트워크 수준을 이용하였다. 평가 결과는 토지가 개발에 가까운 적성을 가졌는지, 보전에 가까운 적성을 가졌는지를 결정해준다. 결정된 토지의 적성이 개발과 가깝다면 구조적 그린인프라 기법의 분산 배치를 적용할 수 있다. 결정된 토지의 적성이 보전과 가깝다면 계획 및 설계 단계에서 적용할 수 있는 비구조적 그린인프라 기법이 바람직하다. 구축된 분석 방법을 국내 사례지에 적용하고 분석 결과를 기존의 토지이용계획과 비교하여 이를 통해 그린인프라 적용기법이 가지는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이 본 연구의 최종 목적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suggests the method of green infrastructure (GI) application which helps proper distribution of structural GI and non-structural GI by using land characteristics assessment and performs the case study. Land assessment standard consists of land cover type, fragmentation degree, proximity 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를 위해 선행연구에서 이용된 그린인프라 특성평가(green infrastructure characterization) 방법들을 살펴보고 연구 목적에 적절한 방법론을 선택하여 국내 사례지 적용에 적합하도록 보완한다. 국내 사례지 적용 결과를 바탕으로 토지이용 및 그린인프라 계획을 위한 적용 방법과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이 연구의 최종 목적이다.
  • 그린인프라의 근원적인 목적이 무엇인지를 고려할 때 어떤 지역이 환경적으로 우수한 지역이며 그린 혹은 블루 네트워크의 허브로서 기능하게 할 것인지부터 고민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La Greca18)과 La Rosa, D.19)가 제안한 방법에 공간적 자기상관 분석인 LISA를 보완하여 그린인프라 적용을 위한 특성평가를 시행하였다.
  • 본 연구는 부산광역시 에코델타시티 사업지를 대상으로 하여 토지피복 분석과 파편화 분석, 인접도 분석을 통해 비도시화 토지에 그린인프라 적용을 위한 등급을 제시하였다. 파편화 분석의 등급을 구분하기 위해 파편화 수준이 유사한 토지들 간의 공간자기상관을 측정하는 지역적 공간자기상관(LISA)을 이용하였으며,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토지이용 매트릭스를 구축하여 토지이용 및 그린인프라 계획을 위한 미래 토지이용결정 지도를 도출하였다.
  • 에코델타시티 친수구역 조성사업지는 계획단계부터 그린 인프라의 적극적 도입이 고려되고 있는 지역이며, 토지이용계획이 수립되어 있다. 본 연구는 에코델타시티의 대상지에 대한 그린인프라 적용을 위해 지역의 특성에 대한 평가를 실시하여 비구조적 기법으로 보전되어야 하는 지역을 파악하고 이를 실제 토지이용계획과 비교를 통하여 현재 그린인프라 적용계획이 지닌 문제점과 시사점을 도출할 것이다.
  • 본 연구에서 제시한 그린인프라 적용 방법은 기존의 경관 생태학분야의 분석기법을 상당부문 고려하였으나 그린인프라의 중요한 목적 중 하나인 물순환을 직접적인 평가의 항목으로 반영하지 못한 한계를 가지고 있다. 이는 본 연구의 방법이 그린인프라 개별 요소시설의 배치와 같은 세부 적용 방법보다 한 단계 이전에 지역의 신규 개발 또는 재개발 및 재생을 위한 토지이용결정 단계에서의 적용을 목적으로 하기 때문이다. 지역의 물순환과 강우유출량을 평가항목으로 반영하기 위해서는 지역의 배수 시스템을 고려할 필요가 있으나 배수관거의 배치계획은 토지이용결정 단계 이후에 수립되므로 토지이용결정과 지역의 미래 물순환을 동시에 지역 특성 평가 항목으로 채택하지 못하고 이를 간접적으로 반영한 토지피복을 평가의 한 축으로 채택하는 것으로 이를 보완하였다.
  • 이러한 배경 하에 본 연구는 비도시화 토지의 바람직한 미래 토지이용과 그린인프라 계획을 제안하기 위해 토지가 가지는 특성을 평가하여 그린인프라를 적용하는 방법을 이용하고자 한다. 토지가 가진 특성을 평가하여 토지들 간의 보전과 개발의 우선순위를 결정하고, 보전 적지의 경우 계획 및 설계 단계에서 적극적으로 보전을 도모할 수 있는 비 구조적 그린인프라 기법들과, 개발 적지의 경우 개발지역에 분산적으로 배치할 수 있는 구조적 그린인프라 기법을 적용하도록 하는 것이다.
  • 이러한 배경 하에 본 연구는 비도시화 토지의 바람직한 미래 토지이용과 그린인프라 계획을 제안하기 위해 토지가 가지는 특성을 평가하여 그린인프라를 적용하는 방법을 이용하고자 한다. 토지가 가진 특성을 평가하여 토지들 간의 보전과 개발의 우선순위를 결정하고, 보전 적지의 경우 계획 및 설계 단계에서 적극적으로 보전을 도모할 수 있는 비 구조적 그린인프라 기법들과, 개발 적지의 경우 개발지역에 분산적으로 배치할 수 있는 구조적 그린인프라 기법을 적용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에서 이용된 그린인프라 특성평가(green infrastructure characterization) 방법들을 살펴보고 연구 목적에 적절한 방법론을 선택하여 국내 사례지 적용에 적합하도록 보완한다.

가설 설정

  • 토지피복 분석은 그린인프라가 가지는 수질 개선, 자연적 배수시스템 구축, 홍수 위험 저감, 대기질 향상, 더위 완화 등의 다양한 효과가 식생 피복의 면적에 기반한다고 가정하며, 토지의 식생피복 비율이 높을수록 그린인프라 기능 수준과 보전 가치가 높다고 판단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그린인프라의 조성기법에는 무엇이 있는가? 그린인프라의 조성기법에는 계획 및 설계 단계에서 녹지의 보호와 조성을 도모하는 비구조적 기법과 단지 내에 저류지 및 투수성 포장 등의 물순환을 돕는 요소기술을 배치하는 구조적 기법이 있다.7,8) 많은 문헌들이 그린인프라 계획에서 비구조적 기법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으나, 국내에 조성된 대부분의 그린인프라 적용 사례들이 주로 구조적 요소기술의 배치 위주로 조성되어 계획 및 설계 단계에서 그린인프라 면적이 얼마나 보전되었는지에 대한 언급은 찾아보기 어려운 실정이다.
비구조적 그린인프라 기법과 구조적 기법이 적절히 병행 적용 되어야 하는 이유는? 7,8) 많은 문헌들이 그린인프라 계획에서 비구조적 기법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으나, 국내에 조성된 대부분의 그린인프라 적용 사례들이 주로 구조적 요소기술의 배치 위주로 조성되어 계획 및 설계 단계에서 그린인프라 면적이 얼마나 보전되었는지에 대한 언급은 찾아보기 어려운 실정이다. 구조적 기법에만 치중한 그린인프라 계획은 이를 단순히 개발의 영향을 완화하는 사후적 기법으로 한정하게 되며, 그린인프라의 효과를 저해하고 본래의 취지를 호도시킨다. 뿐만 아니라 그린인프라 기법이 구조적 기법에 치중됨에 따라 친환경적인 자연상태의 녹지/물순환 기능의 보전 및 활용이라는 본래의 목적에서 벗어나 개발에 당위성을 부여하는 도구적으로 이용된다는 비판에서 또한 자유로울 수 없다. 따라서 지역의 특성에 맞게 비구조적 그린인프라 기법과 구조적 기법이 적절히 병행 적용되어야 하고, 단순히 개발지역에 그린인프라를 도입하는 것이 아니라 사전에 지역 특성에 따라 개발과 보전의 결정기준이 구축된 후에 그린인프라가 적용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그린인프라란? 최근 그린인프라가 가지는 비점오염원 저감 및 환경과 삶의 질에 미치는 다양한 효과들이 조명되고 있다. 그린인프라란 녹지공간 및 녹지 네트워크의 자연상태의 보호 또는 도시 지역 내의 배치를 통해 물순환과 대기질 향상, 거주민 건강 증진, 장소성 제고 등 다양한 기능과 편의를 제공하는 것이다.1~6) 이러한 그린인프라의 효과와 도시기후환경의 변화로 인하여 최근 많은 국내 도시개발 및 재생지역에 그린인프라 기법이 적용이 고려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5)

  1. United of the Kingdom (UK), Planning Policy Statement 12- Local Spatial Planning(2008). 

  2. Natural England, Green Infrastructure Guidance(2009). 

  3. Ecologic Institute, Background paper : Green Infrastructure - Expert Workshop(2011). 

  4. Forest Research, Benefits of green infrastructure(2010). 

  5. Wise, S., Braden, J., Ghalayini, D., Grant, J., Kloss, C., Mac- Mullan, E., and Yu, C., Integrating valuation methods to recognize green infrastructure's multiple benefits. Center for Neighborhood Technology, April, 2010. 

  6. Stewart, Paula Anne, Comprehensive Green Infrastructure Planning: The Way Forward for Ecological and Environmental Justice,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Minnesota(2012). 

  7. Southeast Michigan Council of Governments (SMCG), Low Impact Development Manual for Michigan - A Design Guide for Implementers and Reviewers(2008). 

  8. The Low Impact Development Center (LID Center), Low Impact Development Manual for Southern California : Technical Guidance and Site Planning Strategies(2010). 

  9. Choi, H. S., Kim, D. H. and Jo, S. Y., Application and Effects of Low Impact Development in Urban Regeneration of Waterfront Areas. Korea Environment Institute(2010). 

  10. Kim, M. S. and Ahn, D. M., "Landscape ecological analysis of urban parks -analysis of index of patch shape and the dispersion of patches," J. Kor. Inst. Landscape Archit., 23(4), 12-19(1996). 

  11. Kim, H. H. and Lee, J. H., "The Assessment of the Sensitiveness of the Forest Environment by Land Use Change," J. Kor. Planning Assoc., 36(5), 211-224(2001). 

  12. Eom, S. K. and Lee, S. I.,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an Assessment Model of Greenspace - A Case Study for Pyeongchon and Sanbon Newtown," J. Kor. Planning Assoc., 43(3), 263-273(2008). 

  13. Kim, M. N., Choi, J. Y. and Lee, S. H., "Feasibility of Forest Land Conversion to Other Use by Considering Forest Fragmentation," Kor. Soc. Environ. Restorat. Revegetat. Technol., 16(4), 53-63(2013). 

  14. Forman, Richard, T. T., Land mosaics: the ecology of landscapes and regions. Cambridge university press(1995). 

  15. Riitters, K. H., O'neill, R. V., Hunsaker, C. T., Wickham, J. D., Yankee, D. H., Timmins, S. P. and Jackson, B. L., "A factor analysis of landscape pattern and structure metrics," Landscape Ecol., 10(1), 23-39(1995). 

  16. Rutledge, D. T., Landscape indices as measures of the effects of fragmentation: can pattern reflect process?(2003). 

  17. Gustafson, E. J., "Quantifying landscape spatial pattern: what is the state of the art?," Ecosystems, 1(2), 143-156(1998). 

  18. La Greca, P., La Rosa, D., Martinico, F. and Privitera, R., "Agricultural and green infrastructures: The role of nonurbanised areas for eco-sustainable planning in a metropolitan region," Environ. Pollut., 159(8), 2193-2202(2011). 

  19. La Rosa, D. and Riccardo P., "Characterization of non-urbanized areas for land-use planning of agricultural and green infrastructure in urban contexts," Landscape Urban Planning, 109(1), 94-106(2013). 

  20. McGarigal, K. and B. Marks., "Fragstats: spatial pattern analysis program for quantifying landscape structure," USDA Forestry Service Technical Report, PNW-351: Washington, DC(1995). 

  21. Turner, M. G., "Landscape ecology: the effect of pattern on process," Annual review of ecology and systematics, pp. 171-197(1989). 

  22. City of Busan, K-water, and Busan Metropolitan Corporation, Strategic Environmental Assessment for Busan Eco Delta City(2012). 

  23. Gill, S. E., Handley, J. F., Ennos, A. R., Pauleit, S., Theuray, N. and Lindley, S. J., "Characterising the urban environment of UK cities and towns: A template for landscape planning," Landscape Urban Planning, 87(3), 210-222(2008). 

  24. Akbari, H. L., Shea, R. and Haider, T., "Analyzing the land cover of an urban environment using high-resolution orthophotos," Landscape Urban Planning, 63(1), 1-14(2003). 

  25. Tappan, G. G., Sall, M., Wood, E. C. and Cushing, M., "Ecoregions and land cover trends in Senegal," J. Arid Environ., 59(3), 427-462(2004). 

  26. Bartlett, J. E., Kotrlik, J. W. and Chadwick, C. H., "Organizational research: Determining appropriate sample size in survey research appropriate sample size in survey research," Information Technol. Learning, Performance J., 19(1), 43(2001). 

  27. Collinge, Sharon K., Ecology of fragmented landscapes. JHU Press, (2009). 

  28. Di Giulio, M., Rolf, H. and Silvia, T., "Effects of habitat and landscape fragmentation on humans and biodiversity in densely populated landscapes," J. Environ. Manage., 90(10), 2959-2968(2009). 

  29. Kim, E. Y., Song, W. K. and Lee, D. K., "Forest Fragmentation and its impacts:A review," Kor. Soc. Environ. Restorat. Revegetat. Technol., 15(2), 149-159(2012). 

  30. Song, I. J. and Gin, Y. R., "A Model of Enhancing Biodiversity through Analysis of Landscape Ecology in Seoul Cultivated Area -," Kor. J. Environ. Ecol., 16(3), 249-260(2002). 

  31. Lee, H. W., "A study on the creating and utilizing the green space in Tokyo - focusing on city parks -," J. Kor. Geographical Soc., 34(3), 247-264(1999). 

  32. Anselin, Luc., "Local indicators of spatial association-LISA," Geographical Anal., 27(2), 93-115(1995). 

  33. Kim, Y., Ha, C. H. and Ahn, J. G., "A Comparative Study on Urban Structure with Spatial Autocorrelation and Interaction Analysis in Masan and Changwon," J. Kor. Planning Assoc., 39(6), 7-22(2004). 

  34. Kwon, Y. A. and Lee, H. Y., "Spatial Distribution of Temperature in and around Urban Parks - A Case Study of around Changkyeong Palace, Changdeok Palace and Jongmyo in Seoul," J. Kor. Geographical Soc., 36(2), 126-140(2001). 

  35. Angold, P. G., Sadler, J. P., Hill, M. O., Pullin, A., Rushton, S., Austin, K. and Thompson, K., "Biodiversity in urban habitat patches," Sci. Total Environ., 360(1), 196-204(200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