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백합나무 판재의 VOCs 및 Aldehydes 방출특성
Characteristics of Volatile Organic Compounds and Aldehydes Emission from Yellow poplar (Liriodendron tulipifera L.) 원문보기

목재공학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v.42 no.4, 2014년, pp.357 - 366  

이민 (국립산림과학원 임산공학부) ,  박상범 (국립산림과학원 임산공학부) ,  이상민 (국립산림과학원 임산공학부) ,  손동원 (국립산림과학원 임산공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백합나무 판재를 벽판재로 이용하기 위해 백합나무의 생재와 건조재에 대한 휘발성유기화합물(VOCs)알데히드류 방출 특성을 검토하였다. VOCs 및 formaldehyde를 포함한 aldehyde류의 방출량 측정은 다중이용시설 등의 실내공기질 관리법에 공시된 20 ${\ell}$ Chamber법에 따라 실시하였다. 백합나무의 생재 및 건조재에서는 30여 가지 이상의 VOCs가 검출되었다. 백합나무의 Total VOC 구성 비율 가운데 천연VOC (NVOC)의 비율은 11.1%로 다른 침엽수종과 비교하여 낮게 나타났다. 백합나무의 aldehyde류 분석 결과, 심재 및 변재에서 같은 3종(acetaldehyde, ketone, propionaldehyde)이 검출되었으며, formaldehyde의 방출량은 $4.01{\mu}g/m^3$ 이하로 나타났다. m-Tolualdehyde의 경우 백합나무 건조재의 심재에서만 $33.6{\mu}g/m^3$의 방출량을 보였으며, 심재와 변재 모두 ketone의 방출량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백합나무 특유의 역한 냄새는 acetaldehyde와 propionaldehyde와 기타 VOCs에 의한 것으로 추정된다. 건조한 백합나무에서는 휘발성이 강한 ketone의 방출량이 증가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Based on fundamental properties and machining characteristics of Yellow poplar (Liriodendron tulipifera L.), it has well performance on machinability or workability, drying, and fine surface. Additionally, yellow poplar is light weight and has bright color with high performance of bending processing...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한, 백합나무의 불쾌한 냄새의 원인을 구명하고 대처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며, 그러기 위해서는 냄새의 성분을 파악하는 것이 선행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백합나무의 생재와 건조재에 대하여 변재와 심재 각각에서 방출되는 VOCs와 aldehydes의 종류와 양을 조사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백합나무 변재의 색상은 무엇인가? (1998)과 Park et al. (2009)의 보고에 따르면, 백합나무는 뚜렷한 색상의 차이로 인해 심재와 변재의 구분이 쉬운데, 변재는 황백색, 회백색 또는 백색이고 심재는 녹갈색 또는 회갈색으로 때로는 자색, 암록색, 청흑색의 줄무늬가 있다(Fig. 1).
백합나무 판재의 냄새의 주원인은 무엇인가? 백합나무 판재의 냄새의 주원인은 formaldehyde, acetaldehyde, toluene, styrene 등을 포함하는 휘발성 유기화합물(Volatile Organic Compounds, VOCs)에 의한 것으로 판단되며, 이 중에 불쾌한 냄새를 내는 화합물이 포함되어 있을 것으로 추측된다(Grosjean et al. 1992).
백합나무가 1차 가공특성이 무난한 수종인 이유는 무엇인가? 1). 그리고 거단성과 건조성 및 포삭성은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으며(Chong 2000), 휨가공 성능도 양호한 수종이므로 1차 가공특성은 무난한 수종이다. 도장성과 접착성이 양호하여 가구용재로도 이용 가능하며, 이외에도 공예재나 단판용재로 이용해도 적합할 것으로 판단이 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Chong, S.H. 2000. Quality and processing characteristics of yellow poplar,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Forest research project report. 5(II):1-19. 

  2. ECA. 1997. European Comission, Guideline for the characterization of volatile organic compounds emitted from indoor materials and products using small test chambers. Report No. 8. 

  3. Fick, J., Pommer, L., Andersson, B., Nilsson, C. 2002. A study of the gas-phase ozonolysis of terpenes: the impact of radicals formed during the reaction. Atmospheric environment. 36(20):3299-3308. 

  4. Grosjean, D., Williams, E.L., Seinfeld, J.H. 1992. Atmospheric oxidation of selected terpenes and related carbonyls: gas phase carbonyl products. Environ. Sci. Technol. 26(8): 1526-1533. 

  5. Hwang, Y.S., Park, H.J., Son, Y.S., Kim, J.C. 2011. The Comparison of VOC Characteristics Emitted from Wood-based Panels Using GC/FID and GC/MS.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Atmospheric Environment. 27(4): 436-442. 

  6. Jang, J.G., Kim, M.R. 2008. Emission Characteristics of VOCs in Drying Process for Plywood Manufacturing. Journal of the Environmental Sciences. 17(12): 1381-1390. 

  7. Kim, J.C. 2006. Trends and Control Technologies of Volatile Organic Compound,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Atmospheric Environment. 22(6):743-757. 

  8. Kim, K.M., Park, J.H., Park, B.S., Son, D.W., Park, J.S., Kim, W.S., Kim, B.N., Ro, S.S. 2010. Physical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heat-treated domestic yellow poplar. Mokchae Konghak. 38(1): 17-26. 

  9. Kim, S.S., Yeo, M.S., Kim, K.W. 2008. Numerical Analysis of the Indoor Air Quality and VOC Emission from Building Materials with the Temperature Variation.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24(3): 233-240. 

  10. Knudsen, H.K., Nielsen, P.A., Clausen, P.A., Wilkins, C.K., Wolkoff, P. 2000. Sensory evaluation of the impact of ozone on emissions from building materials. In Proceedings of the Healthy Buildings 2000, August 6-10, Espoo, Finland. vol. 1. pp. 217-222. 

  11. Lee, H.Y., Park, S.B., Kim, E.I., Lee, S.M., Park, J.Y. 2009. VOCs Emission Characteristics and Psychological Effects of Interior Decorated Conifers. Journal of the Korea Furniture Society. 20(2): 115-121. 

  12. Lee, S.T., Jeong, J.M., Kim, H.S., Bae, S.W., Jang, S.C., Lee, K.J. 2010. Management and characteristics of yellow poplar.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Research Data No. 395. 

  13. Lee, Y.J., Pang, S.K., Sohn, J.Y. 2004. A Study on Emission Characteristics of Volatile Organic Compounds from the Ondol Floor and Furniture. The Society of Living Environment System Korea. 11(2): 266-274. 

  14. Lyu, G.O., Jang, S.S., Choe, W.Y., Kim, H.E. 2003. Growth Performance and Adaptation of Liriodendron tulipifera in Korea. Korean Forest Society. 96(6): 515-525. 

  15. Manninen, A.M., Pasanen, P., Holopainen, J.K. 2002. Comparing the VOC emissions between air-dried and heat-treated scots pine wood. Atmospheric Environment. 36: 1763-1768. 

  16. Ministry of environment. 2008. The process test standard of indoor air quality N.2008-73. South Korea. 

  17. Ministry of environment. 2011. Indoor air quality control for multi-utility facilities. Law No. 10789. South Korea. 

  18. Park, B. S., Chung, D.J., Lee, D.S., Chong, S.H., Park, J.H. 2009. Yellow poplar's fundamental wood property. Forest Science Paper 69: 65-72. 

  19. Park, H.J. 2006. Comparison of VOCs and HCHO Emissions from Wood Products for the Enhancement of Indoor Air Quality. Master Thesis, Konkuk Unversity, Seoul. 

  20. Park, S.B., Lee, M. 2013. The Color Painting on Yellow Poplar (Liriodendron tulipifera L.) Board for Using Furniture Materials. Journal of the Korea Furniture Society. 24(4): 345-349. 

  21. Rice, R.W. 1995. Assessing human health and environmental effects related to drying wood. In: Measuring and controlling colatile organic compounds and particluate emissions from wood processing operations and wood-based products, Forest Products Society, Madison, WI, USA pp. 14-16. 

  22. So, W.T., Chai, J.K. 1998. Basic Properties of yellow poplar (Liriodendron tulipifera L.) grown in Chonnam district. Journal of the Korea Furniture Society. 9(1): 1-7. 

  23. Tohmura, S.I., Miyamoto, K., Inoue, A. 2005. Acetaldehyde emission from glued-laminated timber using phenol-resorcinol-formaldehyde resin adhesives with addition of ethanol. Journal of Wood Science 51: 421-423. 

  24. US EPA (United Stated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2009. A Guide to Indoor Air Quality. 

  25. WHO (World Health Organization). 2010. Air Quality Guideline, Environmental health information. 

  26. Wolkoff, P. 1999. How to measure and evaluate volatile organic compound emissions from building products. A perspective. The Science of the Total Environment 227, 197-213. 

  27. Yoon, K.J., Eom, C.D., Park, J.H., Kim, H.Y., Choi, I.G., Lee, J.J., Yeo, H.M. 2009. Color Control and Durability Improvement of Yellow Polar (Liriodendron tulipifera) by Heat Treatments. Mokchae Konghak. 37(6): 487-496.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