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테일러 전개를 이용한 함정 수동 소나 신호 근사
Approximation of a Warship Passive Sonar Signal Using Taylor Expansion 원문보기

한국음향학회지= Th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v.33 no.4, 2014년, pp.232 - 237  

홍우영 (세종대학교 국방시스템공학과) ,  정영철 (서울대학교 조선해양공학과) ,  임준석 (세종대학교 전자공학과) ,  성우제 (서울대학교 조선해양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함정의 수동소나는 여러 개의 지향성과 무지향성 센서로 구성되어 있다. 함정 소나에 수신되는 음향 신호를 모의할 때, 일반적으로 임의의 소음원으로부터 소나에 장착된 모든 센서간의 음파 전달 모델링이 필요하다. 그러나 모든 센서에 대한 통합적인 계산은 시간이 많이 소모되며 소나 시뮬레이터의 성능을 저하시킨다. 본 연구에서는 음선 정보가 알려진 기준 센서가 존재한다고 할 때 그에 인접한 센서 위치에서의 소나 신호를 추정하는 근사적인 방법을 제안한다. 이 방법은 음선의 도달 시간에 대한 테일러 급수를 이용하여 개발되었으며 소나 개구면에 대한 Fraunhofer와 Fresnel 근사와 유사하다. 제안된 기법을 검증하기 위해 수동 소나에 대해 여러 수치실험이 수행되었다. 2차 항까지 테일러 근사를 적용한 근사법이 보다 우수한 결과를 보였다. 추가적으로 각각의 근사 해에 대한 오차 한계가 제시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 passive sonar of warship is composed of several directional or omni-directional sensors. In order to model the acoustic signal received into a warship sonar, the wave propagation modeling is usually required from arbitrary noise source to all sensors equipped to the sonar. However, the full calcu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논문에서는 함정의 수동소나에 수신되는 소나 신호를 모의함에 있어 음선의 도달 시간에 대한 테일러 급수를 이용하는 방법을 제안하고 정확한 해법과 비교하였다. 비교 결과 1차 항까지 고려한 테일러 근사 보다는 2차 항까지 고려한 테일러 근사가 해양 환경에 적합했으며, 오차 한계를 계산한 결과 함정 소나 시뮬레이터에 충분히 적용 가능함을 확인했다.
  • 본 연구에서는 이와 같은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특정 위치의 센서에 대한 음파 전달 정보와 신호를 안다고 가정할 때, 인접 위치의 센서에서의 신호를 근사적으로 계산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이 방법을 이용하면 기존의 방법에 비해 각 센서에 대한 음파 전달 모델의 모의 횟수를 크게 줄일 수 있기 때문에 총 계산시간에서 이득을 볼 수 있다.

가설 설정

  • 3(a)는 실험환경을 공중에서 해수면 쪽으로 바라본 평면도이다. Fig. 3(a)처럼 광대역 소음[8]을 발생하는 송신기가 10 m의 수심을 유지하며 15노트의 속도로 직선기동을 하며 이동한다고 가정한다.
  • [6]동해환경과 유사한 수중음속을 사용하였고 그 외의 해양환경은 두 번째 예제와 동일하다. 송신기는 수심 10 m에 위치하고 수신기는 수심 20 m에 위치해 있다고 가정한다. Fig.
  • 수중음향에서 널리 통용되는 2차원 축대칭 해양 환경에서 청음기의 역할을 하는 단일센서가 (r, z)의 위치에 존재한다고 가정한다. 이때 수중의 소음원으로부터 청음기의 역할을 하는 단일센서까지의 주파수 영역 전달함수는 음선이론을 이용하여 아래와 같이 표현된다.
  • 본 연구에서는 (r0, z0)를 기준점으로 하는 테일러 급수를 적용하여 (r, z)의 위치에서의 음장 P(r, z, w)를 근사했다. 음장은 음선의 크기, 위상, 도달시간으로 구성되는데 음선의 크기와 위상은 수동 소나의 개구면상에서 크게 변하지 않는다고 가정했다. 실제로 인접 센서에 수신되는 음장은 대부분의 경우 기준 센서에 수신되는 음장과 동일한 음선궤적을 갖고 있기 때문에 음선의 위상은 동일하다 생각할 수 있으며, 음선의 크기는 대략 소나의 개구면 크기에 의존하여 변화가 발생할 수 있으나 수중에서 전체 음선의 전달 거리를 고려하면 무시해도 될 만한 양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함정의 수동소나는 무엇으로 구성되어 있는가? 함정의 수동소나는 여러 개의 지향성과 무지향성 센서로 구성되어 있다. 함정 소나에 수신되는 음향 신호를 모의할 때, 일반적으로 임의의 소음원으로부터 소나에 장착된 모든 센서간의 음파 전달 모델링이 필요하다.
잠수함에 부착된 모든 단일센서에 대해 소나 신호를 모의할 때 나타나는 저효율을 극복하는 방법은 무엇인가? 소나 신호를 모의함에 있어 잠수함에 부착된 모든 단일센서에 대해 소나 신호를 모의하게 되면 수치해석 시간이 급격히 증가하게 되어 효율성이 저하된다. 이와 같은 단점을 극복하는 한 가지 방법은 소나 신호 모의에 앞서 빔형성기법을 적용하여 수동소나를 ‘지향성 단일센서’로 취급하는 것이다.[1-4] 이 방법을 이용하면 수동 소나의 중심점에 대해 한 번의 수중 음파 전달 모델링만 수행하면 되므로 계산시간에서 큰 이득을 볼 수 있다. 그러나 각각의 센서의 상관성에 대한 정보가 수동 소나의 빔패턴이라는 하나의 물리량으로 압축되기 때문에, 단순한 음탐 훈련의 목적으로는 효용성을 지니는 반면 센서 간 시계열 상관성 정보가 필수적인 소나 설계 시뮬레이터의 목적에는 적합하지 않다.
함정 소나 시뮬레이터란 무엇인가? 함정 소나 시뮬레이터는 승무원의 모의 훈련 및 신형 소나 개발에 이용되는 소프트웨어로서 수중음향 수치해석을 이용하여 해양 환경에서 소나 신호의 전달을 모의하는 프로그램이다. 함정에 장착되어 있는 각각의 수동소나는 여러 개의 지향성과 무지향성 단일센서로 구성되어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8)

  1. B. Kim, Noise simulation and interference pattern analysis for submarine passive sonar, (in Korean, M.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2013). 

  2. H. Medwin, and C. S. Clay, Fundamentals of Acoustical Oceanography (Academic Press, San Diego, 1997), pp. 29-30 and 246-249. 

  3. R. J. Urick, Principles of Underwater Sound (McGraw-Hill, New York, 1983), pp. 31-70. 

  4. A. D. Waite, Sonar for Practising Engineers (John Wiley & Sons, London, 2002), pp. 13-41. 

  5. P. C. Etter, Underwater Acoustic Modeling and Simulation (CRC press, London, 2003), pp. 264-295 . 

  6. K. Lee, Y. Chu, S. Kim, and W. Seong, "A broadband ray propagation model using gaussian interpolation"(in Korean), J. Acoust. Soc. Kr. Suppl. 1(s) 29, 110-112, 2010. 

  7. F. B. Jenson, W. A. Kuperman, M. B. Porter, and H. Schmidt, Computational Ocean Acoustics (AIP press, New York, 1994), pp. 155-232. 

  8. D. Ross, Mechanics of Underwater Noise (Peninsula Publishing, Los Altos, 2007), pp. 220-22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