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Landsat-7 ETM+ 영상을 이용한 제주 주변 해역의 해저 용출수 분포 지역 추정 연구
A Study on Estimation of Submarine Groundwater Discharge Distribution Area using Landsat-7 ETM+ images around Jeju island 원문보기

한국전자통신학회 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Electronic Communication Sciences, v.9 no.7, 2014년, pp.811 - 818  

박재문 (부경대학교 공간정보시스템공학과) ,  김대현 (오션테크(주)) ,  양성기 (제주대학교 토목공학과) ,  윤홍주 (부경대학교 공간정보시스템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논문은 Landsat-7 ETM+ 영상의 열적외 밴드를 이용하여 제주도 주변 해역의 해수면 온도 분포 영상을 제작하여 해저 용출수를 탐지하고자 하였다. 해수면 온도 분포 영상을 제작하기 위해 온도변환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위성영상의 DN 값을 온도 값으로 변환하여 해수면 온도 분포를 분석하였다. 해저 용출수 예상 지역 추정은 해수면 온도 분포 영상에서 해저 용출수의 온도로 판단되는 $15{\sim}17^{\circ}C$ 범위를 추출하는 것인데, 계절적으로 해수면 평균 온도와 해저 용출수 온도의 차가 많이 발생하는 여름철 영상(2006년 7월 28일과 2006년 8월 29일, 2008년 9월 19일)을 이용하였다. 그 결과 제주도의 동북부 연안에서 해저 용출수로 추정되는 지역이 일부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aimed to detect Submarine Groundwater Discharge (SGD) distribution image of Sea Surface Temperature (SST) using infrared band of Landsat-7 ETM+ around Jeju island. It is used to analyze SST distribution that DN value of satellite images converted into temperature. The estimation of SG...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의 목적은 제주도의 수자원 중에서 사용하지 못하고 바다로 흘러가는 해저 용출수의 발생 지역을 위성영상을 통해 좀 더 구체적으로 파악하고자 한다. 향후 본 논문을 바탕으로 제주도의 수자원 활용에 많은 도움이 될 것이라고 판단된다.

가설 설정

  • 7 ℃, 최대 25.9℃ 이고, 2008년 9월 19일(그림 4(c)) 영상의 해수면 온도 분포 범위는 최소 16.3 ℃, 최대 29.7 ℃ 이다. 일부 지역의 해수면 온도가 낮게 나타나는 것은 완전히 제거 되지 못한 구름의 영향을 받은 부분으로 판단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해수로 유출되어 용출되는 지하수량을 파악하기 위해선 어떠한 방법을 사용할 수 있는가? 해수로 유출되어 용출되는 지하수량을 파악하기 위하여 용출수가 나타날 수 있는 예상 지역을 현장관측하거나 위성영상과 같이 원격탐사를 이용할 수 있다. 위성영상을 구성하고 있는 밴드 중에서 열적외(thermal infrared) 밴드를 이용하여 용출수의 온도 특성을 이용하여 용출수가 나타날 수 있는 지역을 파악하였다.
해저 용출수의 평균 온도는 어떻게 나타나는가? 해저 용출수의 평균 온도는 지하수 온도와 유사하게 약 15∼17 ℃ (평균 16 ℃)로 나타난다[10]. 제주도 주변의 계절별 평균 해수면 온도는 봄 16∼17 ℃, 여름 26∼28 ℃, 가을 17∼19 ℃, 겨울 14∼16 ℃로 분포하고 있다[12].
수자원 관리에 대한 필요성은 제주도의 어떠한 지질 특성으로 인해 중요시되고 있는가? 있으며, 면적은 1,825 ㎢로 대체적으로 순상화산의 지형을 가지고 있다[3]. 제주도를 이루고 있는 기반암은 대부분 현무암으로 다공질이기 때문에 빗물이 지하로 스며드는 현상이 발생하여 농지 경작에 큰 어려움을 준다. 이러한 제주도의 지질 특성 때문에 수자원 관리에 대한 필요성이 중요시 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M.-W. Lee, "Geology of Jeju Volcanic island, Korea," J. of the Rock Mineral Deposits of Japan, vol. 77, 1982, pp. 55-64. 

  2. M.-W. Lee and I.-S. Son, How Jeju Island made? - Geology and Rocks of Jeju volcanic island. Seoul: Chunkwang Publication, 1983, p. 135. 

  3. J.-H. Lee and S.-H. Yun, "Study on the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and Classification of Quaternary Monogenetic Volcanoes in Jeju Island, Korea," J. Petrol. Soc. Korea, vol. 21, no. 4, 2012, pp. 385-396. 

  4. W.-B. Park, T.-Y. Kim, K. Park, and et al., The total survey of hydrogeology and groundwater resources in Jeju. Jeju Development Institute, 2003. 

  5. Y.-C. Kim, D.-C. Moon, and Y.-J. Kim, "Analysis of flood runoff characteristics of agar for artificial recharge of groundwater in Jeju island," J.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vol. 42, no. 11, 2009, pp. 19-24. 

  6. Y.-S. Gwak, S.-H. Kim, Y.-W. Lee, S.-Y. Hamm, I.-S. Kim, and B.-K. Khim, "Estimation of Submarine Groundwater Discharge in Il-Gwang watershed Using Water Budger Analysis and Rn Mass Balance," J. of the Environmental Sciences, vol. 20, no. 9, 2011, pp. 1165-1182. 

  7. Y.-W. Lee, B.-K. Khim, and S. Kim, "Exploration of Submarine spring Along the Coastral Areas of Busan Metropolitan City," J.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vol. 18, no. 4, 2013, pp. 178-185. 

  8. B. Lee, S. Moon, K. Park, D. Koh, and K. Koh, "Hydrogeochemical characteristics of spring water in Jeju," J. of the Geological Society of Korea, vol. 38, no. 3, 2002, pp. 421-439. 

  9. D.-G. Lee, H.-S. Kim, C.-S. Park, D.-H. Won, and G.-B. Kim, "Study on preparation and utilization of submarine groundwater discharge in Geoje island," 2002 Conf. on Korean Society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Pusan, Korea, 2002. 

  10. S.-G. Baek and M.-E. Park, "Exploration and Verification of Submarine Groundwater Discharge on Jeju Island by Remotely Sensed Based water Quality Analysis," The Korean Society of Economic and Environmental Geology, vol. 38, no. 4, 2005, pp. 395-409. 

  11. S.-H. Jung, K.-J. Kim, and C.-B. Sim, "Water-well Management Data Modeling using UML 2.0 based in u-GIS Environment," J.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onic Communication Sciences, vol. 6, no. 4, 2011, pp. 523-531. 

  12. S.-W. Lee, An Introduction of Physical Oceanography. Jipmun Publication, 1996. 

  13. J. Irons, Landsat 7 Science Data Users Handbook. NASA, 2011. 

  14. R. R. Irish, Landsat 7 Automatic Cloud Cover Assessment. NASA, 2000. 

  15. S.-M. Kim. "A MAC Prrotocol for LED visible light communications with beamforming," J. of the Korean Electronic Communication Sciences, vol. 6, no. 3, 2011, pp. 425-432. 

  16. H.-S. Shin, "A Study on the Development Direction in Korea Marine Communication," J.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onic Communication Sciences, vol. 8, no. 4, 2013, pp. 523-531.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유발과제정보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