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복하천 중상류 유역의 실제증발산량과 저류변화량 산정
Estimation of Actual Evapotranspiration and Storage Change for the Bokahcheon Upper-middle Watershed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v.47 no.7, 2014년, pp.615 - 628  

이정우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수자원연구실) ,  김남원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수자원연구실) ,  이정은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수자원연구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복하천 중상류 유역에 대해 유역수문모델 SWAT-K를 적용하여 1996년부터 2012년까지의 실제증발산량을 모의하여 연별, 월별 변동 특성을 분석하였으며, 유역물수지법으로 증발산량을 산정할 때 유역의 저류변화량 영향에 대해 고찰하였다. 대상유역의 연도별 실제증발산량은 최소 401mm에서 최대 494mm까지 발생하였고 평균적으로 강수량 대비 약 31%인 436mm 발생하였다. 월단위 실제증발산량은 모의기간동안 평균적으로 12월에 최소값 10mm, 7월에 최대값 84mm 발생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자료기간에 따른 연평균 저류변화량의 크기를 평가한 결과 강수량과 유츨량 자료만을 이용하여 유역물수지법으로 연평균 실제증발산량을 추정하기 위해서는 적어도 약 4~5년의 자료를 이용해야 적절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연구 대상유역에 대해 저류변화량을 고려하여 유역물수지법으로 연단위, 월단위 실제증발산량을 산정할 수 있도록 강수량에서 유출량을 감한 값과 저류변화량간의 선형의 관계식을 제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are to estimate the annual and monthly actual evapotranspiration for the Bokhacheon upper-middle watershed using the data from 1996 to 2012 simulated by SWAT-K model, and to evaluate the effect of storage change on the actual evapotranspiration based on water balance est...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상기 연구사례처럼 유역의 실제증발산량 산정 방법들간의 상호보완 노력의 일환으로 유역수문 모델링에 의한 실제증발산량 산정 결과를 이용하여 작은 시간스케일의 실제증발산량을 산정하는데 있어서 제약을 가지는 유역물수지법의 단점을 극복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서 유역수문모형 SWAT-K(Kim et al.
  • 따라서 저류변화량을 무시할 수 있는 기간을 적절하게 설정하는 것은 유역의 실제증발산량의 정확도를 결정하는 데 있어서 중요한 사항이다. 본 연구에서는 유역수문모델링 결과를 이용하여 자료기간에 따른 복하천 중상류 유역의 저류변화량을 분석하였다.
  • 유역물수지법에 의한 실제증발산량 산정 방법은 유역의 저류변화량이 기간에 따라 크게 변하기 때문에 작은 시간단위에는 저류영향을 무시하고 이 방법을 적용하기 곤란하며, 일반적으로 장기간의 자료를 바탕으로 연평균 실제증발산량을 산정할 때 적합하다. 이러한 유역물수지법이 가지는 기간적 제약성을 극복하고자 본 연구에서는 연구대상유역에 대하여 유역의 저류변화량을 고려하여 연단위, 월단위로 실제증발산량을 산정할 수 있도록 저류변화량 추정식을 개발하였다.

가설 설정

  • 모형에서는 식생의 높이가 40 cm, 최소유효 기공저항이 100 s/m인 알파파(alfalfa)를 기준작물로 채택하고 있으며, 작물에 수분이 충분히 공급되고 있다는 가정하에 식생피복저항 rc와 공기역학저항(s/m) ra를 각각 Eqs. (5) and (6)과 같이 계산하고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수자원 관리를 위해서 무엇이 수행되어야 하는가? 수자원 관리를 위해서는 수계 또는 유역별로 강수, 증발산, 침투, 유출 등 수문성분들간의 균형을 파악하는 물수지 분석이 기본적으로 수행되어야 한다. 특히 물수지 분석 요소 중 증발산량은 수자원 부존량의 평가, 작물 성장에 필요한 수량 결정, 저수지 설계 및 평가 등 수자원 제분야에서 결정해야 할 중요한 인자이다.
물수지 분석 요소 중 무엇이 중요한 인자인가? 수자원 관리를 위해서는 수계 또는 유역별로 강수, 증발산, 침투, 유출 등 수문성분들간의 균형을 파악하는 물수지 분석이 기본적으로 수행되어야 한다. 특히 물수지 분석 요소 중 증발산량은 수자원 부존량의 평가, 작물 성장에 필요한 수량 결정, 저수지 설계 및 평가 등 수자원 제분야에서 결정해야 할 중요한 인자이다. 수자원 분야에서는 지점의 미기상학적 증발산량보다는 유역 단위와 같이 넓은 지역의 증발산량을 산정하는 것이 보다 중요하다.
유역 단위로 증발산량을 산정하는 방법 네 가지의 특징은 어떠한가? 첫 번째, 유역물수지법은 물수지 방정식의 강수량, 유출량 등 다른 성분들을 관측하여 그 나머지를 증발산으로 추정하는 방법으로 일반적으로 수 년간의 장기간 자료를 이용하여 유역의 저류변화량은 무시하고 산정한다(Cho and Lee, 1975; Yang, 2007; Lee et al., 2008; Lee et al., 2010; Rim et al., 2011). 이 방법은 관측치를 기반으로 한다는 점에서 신뢰도가 높다고 할 수 있으나, 유역의 저류변화량으로 인해 일, 월 등 작은 시간 스케일에는 적용하기 곤란하며 강수량 자료에 비해 교란되지 않은 장기간의 하천유출량 자료를 확보하기가 쉽지 않은 단점이 있다. 두 번째, 유역수문모델링을 이용하는 방법은 일반적으로 격자, 토지피복 및 토양 등 수문응답단위별로 잠재증발산량을 먼저 산정하고 토양수분부족량 조건을 고려하여 실제증발산량을 구한 후 면적 가중하여 유역의 공간평균값을 산정하는 방법이다(Kim and Kim, 2004a; Kim et al., 2004, Ha et al., 2008; Kim and Lee, 2013). 이 방법은 기상, 토지피복, 토양 및 식물 조건 등을 복합적으로 고려하는 방법으로 유역의 불균질성을 반영할 수 있고 일 단위의 비교적 작은 시간 스케일에 대해서도 증발산량을 산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데 반해, 수많은 입력자료가 필요하며 간접적인 추정 방식이기 때문에 모형의 정확한 검증과 사용자의 모델링 숙련도가 뒷받침되어야 한다. 세 번째는 대상지역이 건조해지면 가용수분량이 줄어 실제증발산량이 감소하고 그 감소한 양 만큼 잠재증발산량은 증가한다는 보완관계(Bouchet, 1963)를 이용하는 방법이다(Shin, 1996a; Shin, 1996b; Kim and Kim, 2004b). 이 방법은 단지 기상자료만을 이용하기 때문에 적용하기 쉽다는 장점이 있으나, 토양이나 식물 등의 지표면 조건에 대한 지역성을 충분히 반영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네 번째, 위성영상자료를 이용하여 공간증발산량을 추정하는 방법(Ha et al., 2010; Choi et al., 2011; Sur et al., 2012)은 위성영상으로부터 추출한 식생피복정보를 플럭스 타워 등을 이용하여 직접 관측한 증발산량 또는 PenmanMonteith 방법과 같은 미기상학적 방법으로 간접 추정한 증발산과의 관계를 구한 후 공간적으로 확장하거나, 위성 정보로부터 지표온도 등을 추출하고 이를 에너지수지법의 입력인자로 활용하여 증발산량을 추정하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수문모형이 필요없고 위성영상자료만으로 광역 지표면에서의 증발산량의 추정이 가능한 장점이 있어 최근 첨단 기술의 발전과 함께 적용성이 높아지고 있다. 하지만, 위성영상자료로부터 산출한 토지피복상태에 대한 정보와 실제증발산량간의 관계 설정을 위해 기준이 되는 임의 지점 측정값의 유역 대표성이 확보되어야 하고 구름 등 기상조건에 영향을 받을 수 있어 높은 정확도를 요구할 경우 결과에 대한 검증 과정이 필요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3)

  1. Allen, R.G., Pereira, L.S., Raes, L.S., and Smith, M. (1998). Crop evapotranspiration-Guidelines for computing crop water requirement. FAO Irrigation and Drainage Paper 56, 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of the United Nations., 300 p. 

  2. Arnold, J.G., Allen, P.M., and Bernhardt, G. (1993). "A comprehensive surface groundwater flow model." Journal of Hydrology, Vol. 142, pp. 47-69. 

  3. Bastiaanssen, W.G.M. , Noordman, E.J.M., Pelgrum, H., Davids, G., Thoreson, B.P., and Allen, R.G. (2005). "SEBAL model with remotely sensed data to improve water resources management under actual field conditions." Journal of Irrigation and Drainage Engineering, ASCE, Vol. 131, pp. 85-93. 

  4. Bouchet, R.J. (1963). "Evapotranspiration reelle et potentielle, signification climatiqe." Int. Assoc. Sci. Hydrol., Proc. Berkeley, Calif. Symp., Publ. 62, pp. 134-142. 

  5. Cho, H.K., and Lee, T.Y. (1975). "Evapotranspiration and water balance in the basin of Nakdong River."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KWRA, Vol. 8, No. 2, pp. 81-92 (in Korean). 

  6. Choi, M., Hwang, K., and Kim, T.W. (2011). "Characteristics of Greenup and Senescence for Evapotranspiration in GyeonganWatershed Using Landsat Imager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KSCE, Vol. 31, No. 1B, pp. 29-36 (in Korean). 

  7. Fang, Z., Ren, L., Li, Q., Liu, X., Yuan, F., Zhao, D., and Zhu, Q. (2012). "Estimating and validating basin-scale actual evapotranspiration using MODIS images and hydrologic models." Hydrology Research, Vol. 43, pp. 156-166. 

  8. Gao, Y., and Long, D. (2008). "Intercomparison of remote sensing-based models for estimation of evapotranspiration and accuracy assessment based on SWAT." Hydrological Processes, Vol. 22, pp. 4850-4869. 

  9. Githui, F., Selle, B., and Thayalakumaran, T. (2012). "Recharge estimation using remotely sensed evapotranspiration in an irrigation catchment in southeast Australia." Hydrological Processes, Vol. 26, pp. 1379-1389. 

  10. HA, R., Shin, H.J., Lee, M.S., and Kim, S.J. (2010). "Estimation of spatial evapotranspiration using satellite images and SEBAL model."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KSCE, Vol. 30, No. 3B, pp. 233-242 (in Korean). 

  11. HA, R., Shin, H.J., Park, G.A., and Kim, S.J. (2008). "Assessment of MODIS Leaf Area Index (LAI) Influence on the Penman-Monteith Evapotranspiration of SLURP Model."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KSCE, Vol. 28, No. 5B, pp. 495-504 (in Korean). 

  12. Hargreaves, G.L., Hargreaves, G.H., and Riley, J.P. (1985). "Agricultural benefits for Senegal River Basin." J. Irrig. and Drain. Engr. Vol. 111, No. 2, pp. 113-124. 

  13. Hobbins, M.T., Ramirez, J.A., Brown T.C., and Claessens, L. (2001). "The complementary relationship in estimation of regional evapotranspiration: The Complementary Relationship Areal Evapotranspiration and Advection-Aridity models." Water Resources Research, Vol. 37, No. 5, pp. 1367-1387. 

  14. Immerzeel, W.W., and Droogers, P. (2008). "Calibration of a distributed hydrological model based on satellite evapotranspiration." Journal of Hydrology, Vol. 349, pp. 411-424. 

  15. Jensen, M.E., Burman, R.D., and R.G., Allen (ed). (1990). Evapotranspiration and irrigation water requirements, ASCE Manuals and Reports on Engineering Practice No. 70, ASCE, N.Y. 332 pp. 

  16. Kim, B.S., Kim, H.S., and Seoh, B.H. (2004). "Evaluation of the evapotranspiration models in the SLURP hydrological model."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KWRA, Vol. 37, No. 9, pp. 745-758 (in Korean). 

  17. Kim, N.W., and Kim, C.G. (2004a). "Variation of evapotranspiration and runoff with vegetation change in a watershed." 2004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KWRA, pp. 1067-1071 (in Korean). 

  18. Kim, N.W., and Kim, C.G. (2004b). Comparison of Penman-Monteith method and Morton CRAE method for estimating areal evapotranspiration. 2004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pp. 1077-1081. 

  19. Kim, N.W., and Lee, J.E. (2013). "Assessment of actual evapotranspiration in the Hancheon watershed, Jeju Island." Journal of Environmental Science International, KESS, Vol. 22, No. 5, pp. 533-542 (In Korean). 

  20. Kim, N.W., Chung, I.M., Won, Y.S., and Arnold, J.G. (2008).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the integrated SWAT-MODFLOW model." Journal of Hydrology, Vol. 356, pp. 1-16. 

  21. Kim, N.W., Lee, J., and Lee, J.E. (2013). "Estimation of natural streamflow for the Bokhacheon middle-upper watershed."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KWRA, Vol. 46, No. 12, pp. 1169-1800 (in Korean). 

  22. Kim, N.W., and Lee, J. (2014). "Assessment of Complementary Relationship Evapotranspiration Models for the Bokahcheon Upper-middle Watershed."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KWRA, Vol. 47, No. 6, pp. 547-559 (in Korean). 

  23. Kim, N.W., Won, Y.S., Lee, J., Lee, J.E., and Jeong, J.H. (2011). "Hydrologic impacts of urban imperviousness in White Rock Creek watershed." Transactions of the ASABE, Vol. 54, No. 4, pp. 1759-1771. 

  24. Knisel, W.G. (1980). CREAMS: A field scale model for chemicals, runoff, and erosion from agricultural management systems. USDA Conservation Research Report, 26. 

  25. Lee, B.J., Jung, I.W., and Bae, D.H. (2008). "Analysis of water balance in a watershed according to temperature change." 2008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KWRA, pp. 1048-1052 (in Korean). 

  26. Lee, S.J., Kim, J.C., and Noh, J.W. (2010). "Long term runoff simulation for water balance at Dasecheong basin." Journal of the Environmetal Sciences, Vol. 19, No. 10, pp. 1211-1217 (in Korean). 

  27. Lemeur, R., and Zhang, L. (1990). "Evaluation of three evapotranspiration models in terms of their applicability for an arid region." Journal of Hydrology, Vol. 114, pp. 395-411. 

  28. Liu, S., Sun, R., Sun, Z., Li, X., and Liu, C. (2006). "Evaluation of three complementary relationship approaches for evapotranspiration over the Yellow River basin." Hydrological Processes, Vol. 20, pp. 2347-2361. 

  29. Monteith, J.L. (1965). "Evaporation and the environment." The state and movement of water in living organisms, XIXth Symposium. Soc. for Exp. Biol., Swansea, Cambridge University Press. pp. 205-234. 

  30. Monteith, J.L. (1981). "Evaporation and surface temperature." Quart. J. Roy. Meteorol. Soc. Vol. 107, pp.1-27. 

  31. Neitsch, S.L., Arnold, J.G., Kiniry, J.R., and Williams, J.R. (2005). Soil and water assessment tool: Theoretical documentation. Version 2005. Temple Tex.: USDAARS Grassland, Soil, and Water Research Laboratory, Blackland Research Center, Texas Agricultural Experiment Station. 

  32. Priestley, C.H.B., and Taylor, R.J. (1972). "On the assessment of surface heat flux and evaporation using largescale parameters." Mon.Weather Rev., Vol. 100, pp. 81-92. 

  33. Rim, C.S., Lim, G.H., and Yoon, S.E. (2011). "A study on the hydroclimatic effects on the estimation of annual actual evapotranspiration using watershed water balance." Journal of KoreaWater Resources Association, KWRA, Vol. 44, No. 12, pp. 915-928 (in Korean). 

  34. Ruhoff, A.L., Paz, A.R., Collischonn, W., Aragao, L.E., Rocha, H.R., and Malhi, Y.S. (2012). "A MODIS-based energy balance to estimate evapotranspiration for clear-sky days in Brazilian tropical savannas." Remote Sensing. Vol. 4, pp. 703-725. 

  35. Shin, S.C. (1996a). "Estimation method of evapotranspiration through vegetation monitoring over wide area."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Vol. 14, No. 1, pp. 81-88 (in Korean). 

  36. Shin, S.C. (1996b). "Estimation of water balance based on satellite data in the Korean Peninsula."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KWRA, Vol. 29, No. 4, pp. 203-214 (in Korean). 

  37. Shin, S.C., Hwang, M.H., Ko, I.H., and Lee, S.J. (2006). "Suggestion of simple method to estimate evapotranspiration using vegetation and temperature information."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KWRA, Vol. 39, No. 4, pp. 363-372 (in Korean). 

  38. Shin, S.C., Sawamoto M., and Kim, C.H. (1995). "Estimation of evapotranspiration using NOAA-AVHRR data."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KRWA, Vol. 28, No. 1, pp. 71-79 (in Korean). 

  39. Sun, C., Jiang, D., Wang, J., and Zhu, Y. (2010). "A new approach to accurate validation of remote sensing retrieval of evapotranspiration based on data fusion." Hydrology and Earth System Sciences Discussions, Vol. 7, pp. 1745-1784. 

  40. Sur, C., Lee, J., Park, J., and Choi, M. (2012). "Spatial estimation of Priestley-Taylor based potential evapotranspiration using MODIS imageries: the Nak-dong river basin."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Vol. 28, No. 5, pp. 521-529 (in Korean). 

  41. Xu, C.-Y., and Singh, V.P. (2005). "Evaluation of three complementary relationship evapotranspiration models by water balance approach to estimate actual regional evapotranspiration in different climatic regions." Journal of Hydrology, Vol. 308, pp. 105-121. 

  42. Yang, H. (2007). "Water balance change of watershed by climate change."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Vol. 42, No. 3, pp. 405-420 (in Korean). 

  43. Zhang, Y.Q., Chiew, F.H.S., Zhang, L., Cleugh, H.A., Leuning, R., Oxley, L., and Kulasiri, D. (2007). Validation of MODIS-based annual actual evapotranspiration against water balance estimates in Murray-Darling Basin. Proceedings of the Modsim 2007: International Congress on Modelling and Simulation, pp. 2639-2644.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유발과제정보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