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investigated twenty two hazardous chemicals compounds for effluents of nine sewage treatment plants (STPs) and one waste water treatment plant (WWTP) in the Nakdong Ri-ver Basin. They are eleven phthalates(DMP, DEP, DIBP, DBP, BEEP, DNPP, DHP, DCP, DEHP, DNOP, Dinonyl phthalate, seve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낙동강 상류 대구 및 인근 지역 하·폐수처리장 방류수의 낙동강수계 유입과 관련하여 방류수내 미량유해물질의 분포실태를 파악함으로써 오염실태 및 상수원수 수질관리를 위한 기초 자료 활용을 목적으로 실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낙동강의 수질 오염을 일으키는 원인은 무엇인가? 낙동강은 중상류지역의 산업단지로 인하여 항상 수질 오염의 위험에 처해 있으며 실제로 수질오염사고가 발생하기도 하였다. 최근의 경우에는 ’08년 김천 코오롱유화 공장의 폭발사고로 인한 페놀오염사고, ’09년 구미공단에서 배출한 1,4-다이옥산에 의한 왜관지점의 가이드라인(50 ㎍/L) 초과 수질오염사고 등이 발생하였으며 폐수 유출, 기름띠 발생과 같은 수질오염사고들도 잦은 편이다.
2007년 기준 우리나라 화학물질의 총배출량은 얼마인가? 환경부에서는 이러한 물질들의 종합적인 관리체계를 구축하고자 낙동강수계 잠정관리 유해물질 실태조사를 통한 예측시스템 개발 등의 연구 조사를 실시하고 있으며 주요 산업체의 폐수 배출원별 유출가능성이 있는 유해물질의 테이터베이스를 구축하여 수질오염사고의 사전예방 및 수질오염사고시 조기에 원인물질을 규명, 신속히 처리하고자 지속적으로 연구 수행 중이다(Management committee of Nakdong River, 2008). 환경부 자료(Ministry of Environment(Chemicals Division),2009)에 의하면 우리나라 화학물질의 총배출량은 ’07년에 47,688톤/y 정도였으며 배출경로는 대기로의 배출이 약 99.46%로 가장 많았고 하천 등 수역으로의 배출은 약 0.54% 정도였으며, 나머지(4×10-5%)는 토양으로 배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기로 배출된 유해 물질은 강우시 빗물에 의해 하천, 호소, 바다 등 수계에 유입될 수 있으므로 잠재적인 수계 오염원이 된다(Yu, 2009).
본 연구에서 낙동강 상류 주요 하․폐수처리장 방류수내 미량유해물질의 분포실태를 파악한 결과는 무엇인가? 1) 총조사물질 22종 중 12종이 검출되었는데 프탈레이트류 5종(DMP, DEP, DIBP, DBP, DEHP), 지방족 탄화수소류 5종(n-Tetradecane․n-Pentadecane, nHeptadecane, n-Octadecane, n-Nonadecan-e), Isoquinoline, Benzophenone이었다. 2) 하․폐수처리장에서 검출빈도가 큰 물질은 DEHP, DEP, Benzophenone으로 조사되었으며 검출농도는 DEHP가 불검출~36.881 ㎍/L, DEP는 불검출~0.950㎍/L, Benzophenone이 불검출~2.019 ㎍/L로 나타났다. 검출율은 모두 90%내외였다. 3) 전체 검출항목 중 검출농도가 높은 물질은 DEHP> DIBP > Benzophenone 순으로 조사되었으며 달서천하수처리장 방류수의 4월시료에서 DEHP가 36.881㎍/L로 검출되었다. 4) 프탈레이트류 중 검출농도가 높은 물질은 DEHP> DIBP > DBP > DEP > DMP이었으며 검출빈도가큰 물질은 DEHP, DEP > DBP > DIBP > DMP의 순서로 나타났다. 5) 각 방류수별 검출물질의 농도분포율은 4월이 DEHP(68.3%) > DEP(16.8%) > Benzophenone (10.1%) 순이었으며 7월은 DEHP(49.2%) > DIBP(17.0%) > Benzophenone(10.5%) 순으로 조사되었다. 전반적으로 4월 대비 7월이 검출항목수와 검출농도가 높게 나타났다. 6) 10개 하․폐수처리장 중 평균 검출농도가 가장 높은 지점은 달서천하수처리장으로 조사되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Hong, S. H., Han, G. H., Lee, C. H., Lee, S. H., 2002, Distribution of Phthalate Esters in the midstream of Nakdong river, J. of Korean Society on Water Quality, 18(5), 527-534. 

  2. Kim, M. S., Li, D. H., Shim, W. J., Oh, J. R., 2004, Distribution of Phthalate Compounds in Gwangyang Bay and Seomjin River Estuary, Korean J. Environ. Biol. 22(Special issue), 47-53. 

  3. KONETIC, 2011, http:// www.konetic.or.kr. 

  4. KOSHA, 2011, http://www.kosha.or.kr/msds/msdsMain.do? menuId69 

  5. Lee, C. H., Lee, S. H., Jang, I. H., 2009, Occurrence of Priority Pollutants in the Midstream of Nakdong River Basin, J. of KSEE, Special Feature, 31(6), 401-408. 

  6. Management committee of Nakdong River, 2008, Monitoring and prediction system develope for Hazardous substances subject to interim management in the Nakdong River Basin, Basic environmental research projects of Nakdong River. 

  7. Ministry of Environment, 2000, Results of research project for endocrine disruptors. 

  8. Ministry of Environment(Chemicals Division), 2009, Findings chemical emissions quantity in 2007. 

  9. Ministry of Environment, 2011, Marketing survey for major endocrine disruptors, http:// stat.me.go.kr/ nesis/index.jsp. 

  10. NIER, 2007, Monitoring of residual endocrine disruptors in the environment(VIII), NIER publication, 29, 277-285. 

  11. NIER, 2010, Monitoring of hazardous chemicala for wastewater discharge facilities in the Nakdong River Basin(I), NIER publication NO. 2010-57-1232. 

  12. Song, M. H., Son, S. H. , Cho, Y. D., Choe E. K., 2011, Case Study on Determination of the Level of New RoHS II Substances in Domestic Electronic and Electrical Equipments, Clean Technology, 17(2), 124-133. 

  13. Suzuki T., Yaguchi K., Suzuki S., Suga T., 2001, Monitoring of phthalic acid monoesters in river water by solid-phase extraction and GC-MS determination, Environ. Sci. Technol., 35(18), 3757-3763. 

  14. USEPA Integrated Risk Information System (IRIS), 2011, http://www.epa.gov/iris/search_human.htm 

  15. WHO IARC, 2011, http://monographs.iarc.fr/ENG/Classification/ClassificationsAlphaOrder.pdf 

  16. Yu, J. J., 2009, Management Strategy of Trace Hazardous Compounds in Nakdong River, J. of KSEE, Special Feature, 31(6), 412-41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