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고층 건물에서 시공성 요인이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 분석 -철골 공사를 중심으로-
Analysis of Constructability Factors Affecting on the Productivity of Tall Building Construction -With Focus on the Area of Steel Work- 원문보기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Korean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v.15 no.4, 2014년, pp.30 - 38  

윤현보 (성균관대학교 초고층장대교량학과) ,  김예상 (성균관대학교 초고층장대교량학과)

초록

시공성에 대한 연구는 활발히 진행되어 왔으며 시공성이 공기, 원가, 품질, 생산성을 높인다고 다양한 연구에서 언급하고 있다. 그러나 실제 시공성이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을 정량적으로 분석한 연구는 사례조사나 설문을 통한 결과가 대부분이여서 미흡한 실정이다. 또한 시공성에 관한 연구가 세부 특정 공정의 시공성을 높이기 위한 것들이 대부분이여서 다양한 공종에 적용하기에는 다소 hard하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은 시공성에 영향을 주는 인자들을 도출하고 이 요인들이 각 공종의 시공성에 미치는 영향도를 분석한 후 실제 공사 데이터를 가지고 시공성 요인이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여 기존 연구에 대한 뒷받침이 되고자 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chieving high productivity and constructability are very important issues in construction industry. Study on constructability have been conducted actively, and many researches referred that improving constructability can enhance cost, quality, schedule, productivity and so on. However, there are l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고층빌딩에서 시공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을 체계적으로 분류하여 각 공종별 중요도의 차이를 분석하고, 시공성 요인이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을 철골공종의 현장 데이터를 통해 검증함으로써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시공성 개선의 방향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전통적으로 건설산업 전통적으로 어떻게 인식되고 있는가? 전통적으로 건설산업은 고임금·저생산성의 산업으로 인식되고 있으며 특히 국가별 비교에서 우리나라 건설인력의 노동생산성은 낮은 수준이며(최석인 et al. 2009), 최근 초고층 건축물이나 대규모 복합개발 사업 등 프로젝트의 대형화, 복잡화가 이루어지고 있는 가운데 건설 인구의 고령화 및 건설인력의 부족현상 등으로 이를 극복할 수 있도록 건설 시공성의 제고가 이루어져야 한다.
시공성이라는 개념은 어디에서 활발히 연구되었는가? 시공성이라는 개념은 1970년대 후반 미국을 시작으로 CII, 영국의 건축, 토목협회(CIRIA), 호주 CIIA 등에서 활발한 연구가 진행되었으며 국내에는 1990년대 중반에 이르러 소개되었다. 시공성에 대한 개념은 초기에는 주로 생산성에 초점을 맞춘 개념이었지만, 발전과정을 거치며 계획, 설계, 시공 등을 포함한 프로젝트 전 생애주기의 각 생산단계들을 통합한 개념으로 범위가 확대되고 있다.
시공성을 정량화한 사례인 싱가폴 정부의 정량 평가 개발의 한계는 무엇인가? 시공성을 정량화한 사례로 싱가폴의 정부 기관인 BCA에서는 시공성의 개념을 정량적으로 평가하는 Buildability Scores 와 Constructability Scores라는 것을 개발하였는데 이는 시공성을 척도화하여 일정 점수이상 획득해야 입찰에 참여가 가능하도록 의무화한 제도가 있다. 그러나 이는 협의의 시공성의 개념만을 차용하였으며 직관적이고 합리적이나 단순히 투입 인원 절감에만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는 한계점을 가지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8)

  1. Kwon. D. H and Kim. H. S (2002). "A Preliminary Study on the Analysis of Constructability Issues in High-Rise Office Buildings", Proceedings of KICEM Annual Conference, KICEM, 2, pp. 235-238. 

  2. Yoon, H. B., Choi, J. H., and Kim, Y. S. (2012). "Application of Buildability Appraisal System to Domestic Construction Industry by Contrasting with Overseas Cases", Proceedings of KICEM Annual Conference, KICEM, 12. pp. 257-258. 

  3. Lee. B. N., Choi. S. I., and Sung. Y. K (2009). "International comparison of productivity and fee in construction industry", Construction Issue Focus, 28(4), CERIK pp. 6-21 

  4. A. Griffith, and A.C. Sidwell (1995). Constructability in Building and Engineering Projects, 1st ed. MACMILLAN PRESS LTD, London, pp. 2-29. 

  5. W. D. McGeorge, A. Palmer, K. Lodon (2002). Construction management: new directions, 2nd ed.Blackwell Science, US, p. 54. 

  6. Son. Y. J (2008). "A study on the Technical Development Direction for Reduction of Domestic Structural Working Duration through the Analysis of Overseas Projects", MS thesis, Hanyang Univ. 

  7. Bu. S. H, Yu. J. H, and Lee. H. S (2002). " Construction Productivity Improvement Methodology considering the Learning Curve Effects", Journal of Architecture and Building Science. 

  8. Lee. H. C (2011). "Development of Checklist for Constructability Review for Office Building at Pre-Construction Phase" MS thesis, University of Seoul.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