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강원도 중왕산 지역에서 부게꽃나무의 개화, 결실, 종자낙하량 및 종자활력
Flowering, Fruiting, Seed Fall and Seed Viability of Acer ukurunduense in Mt. Jungwang, Gangwondo 원문보기

韓國林學會誌 =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v.103 no.2, 2014년, pp.153 - 158  

김갑태 (상지대학교 산림과학과) ,  김회진 (국립산림품종관리센터 종묘관리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천연활엽수림의 천연갱신 가능성을 파악하고자, 부게꽃나무(Acer ukurunduense Trautv. & C.A. Mey.)의 개화 결실, 종자낙하, 종자활력을 강원도 평창군 중왕산 지역에서 2009년부터 2013년까지 조사하였다. 부게꽃나무 꽃은 총 상화서(드물게 원추화서)에 양성화와 웅성화가 많이 달렸으며, 꽃의 배열은 화서마다 서로 달랐다. 화서 내에서 성형태간 개화시기가 달랐다. 양성화로 암술이 수분되어 자라기 시작한 꽃에서는 수술은 더 이상 성숙하지 않고 소실되었으며, 수술이 발달한 꽃에는 암술은 흔적으로만 존재하였다. 부게꽃나무는 꿀벌, 깜둥이창나방, 하늘소류, 애꽃벌류, 대모각다귀류 등이 수분하며, 자가수분을 회피하는 기작을 가지고 있다고 사료된다. 화서당 꽃의 수는 6월 8일에 189개였다가, 6월 21에는 과수당 시과?의 수는 41.2개였으며, 9월 5일에는 과수당 33.4개로 줄어들었다. 시과낙하량은 670~17,930 ea/ha의 범위로 평균은 6,720 ea/ha이었다. 건전배를 가진 것이 43.2%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피해 부후인 것이 41.8%, 미발육 10.2%, 쭉정이배 4.8%로 나타났다. 건전종자 생산량을 좌우하는 요인은 개화기인 6월 초순에 화분매개충의 활동과 어린 자방이 자라는 6월 초 중순 흡즙성 해충의 밀도와 활동성이 가장 중요한 요인이라 사료된다. 부게꽃나무의 천연갱신은 종자다산해에 발아와 생장에 유리한 조건을 갖춘 갭에서 이루어질 것으로 사료된다. 단풍나무류의 천연갱신을 이해하기 위해서 종자결실과 비산전 후 종자피식 문제에 대한 장기간의 연구가 필요할 것이라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o examine the natural regeneration in the natural mixed-broadlived forest, flowering, fruiting, seed-fall, and seed viabilities of Acer ukurunduense Trautv. & C.A. Mey. (AU) were investigated in Mt. Jungwang, Gangwon-do, from 2009 to 2013. The flower of AU consisited many male and bisexual flowers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이 연구는 우리나라의 천연활엽수림의 천연갱신 가능성을 파악하고자, 부게꽃나무의 개화 · 결실 특성, 종자낙하량, 종자활력을 강원도 평창군 중왕산 지역에서 2009년부터 2013년까지 조사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천연갱신의 성공 여부는 어떤 요인과 관련이 있는가? Grubb(1977)은 생태계 보전을 위하여 천연갱신에 대한 연구는 매우 중요하며, regereration niche에는 개화, 수분 및 결실을 포함한 활력 있는 종자생산, 발아, 정착, 성장 등의 단계가 관련되어 있음을 주장하였다. 천연갱신의 성공 여부는 개화결실의 특성(Tal, 2009; Shibata et al., 2009), Predispersal seed predation (Kim and Lee, 2010; Fukumoto and Kajimura, 2003; Tanaka, 1995)과 post-dispersal seed predation (Yasaka et al., 2003; Hulme, 1998; Harmer and Gill, 1995; Janzen, 1971), 결실주기(Herrera et al., 1998) 등을 포함한 활력있는 종자의 생산과 공급(Karlsson, 2001; Koenig and Knops, 2000; Ishikawa and Ito, 1989; Crawley, 1989), 종자발아와 생장, 하층식생의 영향(Filipiak, 2002), 토양특성 등의 입지인자(Gautam et al., 2007), 수종의 생태적 특성 (Heineman et al., 2002) 등 다양한 요인과 관련이 있다.
2009년부터 2013년까지 부게꽃나무의 시과 낙하량 측정치의 통걔분석 결과는? 2009년부터 2013년까지 부게꽃나무의 시과 낙하량과 종자활력 측정치에 대한 통계분석 결과를 Table 2에 보였다. 시과낙하량은 670~17,930 ea/ha의 범위로 평균은 6,720 ea/ha이었다. 연변동이 있으며, 최고치가 최저치의 26배 가량이었다. 부게꽃나무의 종자낙하량이 상대적으로 적은 것은 연구대상지에서 상대우점치가 7.4%임을 보고한 Kim(2009)의 결과와 같이 상대적으로 낮은 밀도를 보이는 중층수종이기 때문이라 사료된다. 해마다 배의 형태에 따른 종자량 간에 고도의 통계적 유의성이 인정되었다. 배의 형태별 시과수의 연도 간에도 고도의 유의성이 인정되었다. 낙하종자 중 건전배를 가진 종자의 수는 종자 낙하량과는 무관하고 피해·부후, 미발육 및 빈 종자가 감소하는 것과 관련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천연갱신의 이점은? 이러한 변화에 적합한 천연 갱신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고 있다. 천연갱신은 식재조림보다 경제적(Clason, 2002)이며 지역의 유전자원의 유지보전 및 숲의 다층적 구조를 유지하는 장점(Harmer and Gill, 2000; Harmer and Kerr, 1995)이 있으며, 자연보전을 목적으로 침엽수 인공조림지를 천연활엽수림으로 복원하는 데 천연갱신 과정을 통하여 에너지 저소비, 최소 비용으로 할 수 있어(Zerbe, 2002) 선호된다. Grubb(1977)은 생태계 보전을 위하여 천연갱신에 대한 연구는 매우 중요하며, regereration niche에는 개화, 수분 및 결실을 포함한 활력 있는 종자생산, 발아, 정착, 성장 등의 단계가 관련되어 있음을 주장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8)

  1. Cho, H.S., Kim, G.T. and Choo, G.C. 2005. Studies on the structure of forest community at the Danggol Valley in Taebaeksan area, the Baekdudaegan.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19(1): 55-62. 

  2. Clason, T.R. 2002. Cost effectiveness of natural regeneration for sustaining production continuity in commercial pine plantations. Pages 287-290 in Outcall, Kenneth W., ed. Proceedings of the eleventh biennial southern silvicultural research conference. General Technical Report SRS-48. Asheville, NC: USDA, Forest Service, Southern Research Station, pp. 622. 

  3. Crawley, M. J. 1989. Insect herbivores and plant population dynamics. Annual Review of Entomology 34: 531-564. 

  4. Filipiak, M. 2002. Age structure of natural regeneration of European silver-fir (Abies alba Mill.) the Sudety Mts. Dendrobiology 48: 9-14. 

  5. Fukumoto, H. and Kajimura, H. 2003. Seed-Insect Fauna in Pre-Dispersal Acorns of Quercus variabilis and Q. serrata and Its Impact on Acorn Production. In pages 90-93, Proccedings: IUFRO Kanazawa 2003 "Forest Insects Population Dynamics and Host Influences". 

  6. Gautam, M.K., Tripathi, A.K., and Manhas, R.K. 2007. Indicator species for the natural regeneration of Shorea robusta Gaertn. f.(sal). Current Science 91(10): 1359-1361. 

  7. Grubb, P.J. 1977. The maintenance of species-richness in plant communities: The importance of the regeneration niche. Biological Review 52: 107-145. 

  8. Harmer, R. and Kerr, G. 1995. Natural Regeneration of Broadleaved Trees. Research Division of the Forestry Commission, Research Information Note 275, pp. 6. 

  9. Harmer, R. and Grill, R. 2000. Natural Regeneration in Broadleaved Woodland: Deer Browsing and the Establishment of Advance Regeneration. Information Note 35. Forestry Commission, Edinburgh, pp. 6. 

  10. Heineman, J.L., Simard, S.W. and Mather, W.J. 2002. Natural Regeneration of Small Patch Cuts in a Sourthern Interior ICH Forest. British Columbia, Ministry of Forests, Forest Science Program, Working Paper 64, pp. 14. 

  11. Hulme, P.E. 1998. Post-dispersal seed predation: consequences for plant demography and evolution. Perspectives in Plant Ecology, Evolution and Systematics 1(1): 32-46. 

  12. Ishikawa, Y. and Ito, K. 1989. The regeneration process in a mixed forest in central Hokkaido, Japan, Vegetatio 79: 75-84. 

  13. Ishikawa, Y and Krestov, P.V. 1999. Disturbance history and tree establishment in old-growth Pinus koraiensis-hardwood forests in the Russian Far East. Journal of Vegetation 10: 439-448. 

  14. Janzen, D.H. 1971. Seed predation by animals. Annual Review of Biology and Systematics 2: 465-492. 

  15. Jin, G., Xie, X., Tian, Y., and Kim, J.H. 2006. The Pattern of Seed Rain in the Broadleaved-Korean Pine Mixed Forest of Xiaoxing an Mountains, China. Journal of Korean Forestry Society 95(5): 621-627. 

  16. Jin, Y.H., Lee, D.K., and Kang, H.S. 2005. Natural regeneration characteristics of Pinus koraiensis-Broadleaved forests after selective cutting in Mt. Changbai. Journal of Korean Forestry Society 94(1): 6-10. 

  17. Karlsson, M. 2001. Natural Regeneration of Broadleaved Tree Species in Southern Sweden -Effects of silvicultural treatments and seed dispersal from surrounding stands-. Doctoral thesis, Swedish Univ. of Agricultural Sciences, pp. 44. 

  18. Kim, D.S. 2010. Apoptotic effect of oleanolic acid from stem bark extracts of Acer ukurunduense Trautv. et Meyer on rat C6 glioma cells. A MS Thesis GraduateSchool, Kookmin University. pp. 41. 

  19. Kim, G.T. 2011a. Sex morph, fruiting characteristics, and seed viability of Acer palmatum var. matsumurae(Koidz.) Makino.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100(2): 131-135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0. Kim, H.J. 2011b. Effects of Sex Morph, Flowering, Fruiting and Insect Predation on Viable Seed Production of Acer pictum subsp. mono in Mt. Jungwang, Gangwon-do, Korea. M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pp. 46 (in Korean). 

  21. Kim, G.T. and Kim, H.J. 2012. Sex morph, fruiting habit, and seed viability of Acer palmatum.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101(1): 91-95 (in Korean). 

  22. Kim, G.T. and Kim, H.J. 2011. Studies on the seed characteristics and seed viabilities of six Acer species in relation to natural regeneration in Korea. Korean Journal of Enviroment and Ecology Society 25(3): 358-364 (in Korean). 

  23. Kim, W.S. 2009. Effects of different Seedbeds on Natural Regeneration of Abies nephrolepis Maxim. in the Southern Sichote-Alin Mountains, Primorsky Kari, Far East Russia and Mt. Jungwang, Gangwon-do, Repulic of Korea. MS thesis, Graduate School, Kangwon National University, pp. 41. 

  24. Kim, Y.S. 2006. A Study of Morphological Variation and Habitat of the Oplopanax elatus. MS thesis, Graduate School, Kangwon National University, pp. 41 (in Korean). 

  25. Ko, S.Y. 2013. Stand Structure and Disturbance Regime of the Picea jezoensis in Mt. Gyebangsan. Ms thesis, Graduate School, Kongju National University, pp. 87 (in Korean). 

  26. Koenig, W.D. and Knops, J.M.H. 2000. Patterns of annual seed production by Northern Hemisphrer trees: A global perspective. The American Naturalist 155(1): 59-69. 

  27. Kubota, Y. and Hara, T. 1995. Tree competition and species coexistence in a sub-boreal forest, northern Japan. Annals of Botany 78: 741-748. 

  28. Kubota, Y. and Hara, T. 1996. Recruitment Processes and Species Coexistence in a Sub-boreal Forest in Northern Japan Annals of Botany 78: 741-748. 

  29. Lee, D.K., Shin, M.Y., Kim, G.T., Kwon, K.W., Kim, J.H., and Park, P.S. 2009. Practical Application Research on Eco-friendly Silvicultural Techniques and Development of Sustainable Forest Management Techniques in Natural Hardwood Forests. Korea Forest Service. Research Report, pp. 337 (in Korean). 

  30. Lee, I.Y. 2003. Temporal Changes in the Vegetation and Microenvironmental Factors Affecting the Vegetation Distribution in Mt. Sorak. Ms thesis, Graduate School, Catholic University, pp. 74. 

  31. Liu, Q.J. 1997. Structure and dynamics of the subalpine coniferous forest on Changbai mountain, China. Plant Ecology 132: 97-105. 

  32. Moon, H.S. 2001. Studies on the forest vegetation structure in subalpine zone of Mt. Deokyu National Park. Journal of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35(2): 47-54 (in Korean). 

  33. Shibata, M., Kikuchi, S., Tanaka, H., Sueyoshi, H., Yoshimaru, H., and Niiyama, K. 2009. Effects of population density, sex morph, and tree size on reproduction in heterodichogamous maple, Acer mono, in a temperate forest of Japan. Ecological Research 24: 1-9. 

  34. Tal, O. 2009. Acer pseudoplatanus (Sapindaceae): Heterodichogamy and thrips pollination. Plant Systematics and Evolution 278: 211-221. 

  35. Tanaka, H. 1995. Seed demography of three co-occurring Acer species in a Japanese temperate deciduous forest. Journal of Vegetation Science 6: 887-896. 

  36. Um, T.W. and Kim, G.T. 2006. Distribution and Growth Characteristics of Acer pictum var. mono in Relation to Topography and Soil in Mt. Joongwang, Gangwon Province.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 and Ecology 20(2): 200-207 (in Korean). 

  37. Yasaka, M., Terazawa, K., Koyama H., and Kon, H. 2003. Masting behaviour of Fagus crenata: spatial synchrony and predispersal seed predation. Forest Ecology and Management 184: 277-284. 

  38. Zerbe, S. 2002. Restoration of natural broad-leaved woodland in Central Europe on sites with coniferous forest plantation. Forest Ecology and Management 167: 27-42.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