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자생 관상용 Heloniopsis와 Thalictrum속 종자의 형태적 및 형태생리적 휴면
Morphological and Morphophysiological Dormancy in Seeds of Two Genera (Heloniopsis and Thalictrum) Native to Korea 원문보기

원예과학기술지 = Korean journal of horticultural science & technology, v.32 no.3, 2014년, pp.310 - 317  

이승연 (서울대학교 원예생명공학전공) ,  이용하 (서울대학교 원예생명공학전공) ,  정현환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도시농업연구팀) ,  김기선 (서울대학교 원예생명공학전공)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많은 백합과, 미나리아재비과 식물들의 종자들은 모식물체에서 미숙배를 가지고 탈리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이러한 종자들은 형태적 또는 형태생리적 휴면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몇 가지 자생 관상용 Helopniopsis, Thalictrum속 식물의 형태적 종자휴면 연구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수행하였다. 백합과의 처녀치마와 숙은처녀치마, 미나리아재비과의 금꿩의다리, 자주꿩의다리 및 연잎꿩의다리 종자의 배의 형태와 발아율을 조사하였다. 연구대상 다섯 종 모두 미숙배 종자였다. 백합과의 처녀치마와 숙은처녀치마는 미발달형 배를 가지고 있었다. 미나리아재비과의 꿩의다리 세 종은 모두 미발달형과 직선형의 중간형태로 판단되었다. 연구된 다섯 종 모두 유근이 돌출하기 전에 배가 일정 크기까지 신장하였다. 백합과의 처녀치마와 숙은처녀치마는 30일 동안 각각 22.7%, 40.7% 정도가 발아한 반면, 미나리아재비과의 금꿩의다리, 자주꿩의다리 및 연잎꿩의다리는 각각 12.5%, 3.3% 및 0%가 발아하였다. 따라서 처녀치마와 숙은처녀치마의 종자는 각각 약 78%, 60%정도가 형태생리적 휴면을 보였고, 금꿩의다리, 자주꿩의다리 및 연잎꿩의다리는 각각 약 87%, 96% 및 100%가 형태 생리적 휴면을 보였다. 한 종 내에서도 형태적 휴면과 형태 생리적 휴면을 동시에 가지고 있었다. 따라서 미숙배가 발아 지연의 원인으로 판단되었다. 이 결과들은 추후 한반도 자생식물의 형태학적 종자휴면을 연구하는데 유용한 자료가 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find basic information for the research of morphological dormancy in seeds of two genera (Heloniopsis and Thalictrum) native to Korea. Seeds of Heloniopsis koreana, Heloniopsis tubiflora, Thalictrum rochenbrunianum, Thalictrum uchiyamai, and Thalictrum coreanum were coll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coreana)는 멸종위기 식물로 지정되어 있다(Hammer and Khoshbakht, 2005; Korea National Arboretum, 2012).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몇 가지 자생 관상용 Heloniopsis와 Thalictrum속 식물들을 대상으로 첫째, 종자가 형태적으로 미숙한지, 둘째, 만약 미숙배 종자라면 어떠한 형태인지, 셋째, 형태적 휴면 또는 형태생리적 휴면 중 어떤 휴면 유형을 보이는지를 조사하여, 추후 이러한 종자휴면의 생태・생리적 연구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수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식물의 종자로부터 유묘로 발달하는 과정이 중요한 단계인 이유는 무엇인가? 식물의 종자로부터 유묘로 발달하는 과정은 향후 개체군의 생존과 정착을 결정하기 때문에 생활사에서 매우 중요한 단계이다(Harper, 1977). 종자가 발아하고 유묘가 출현하는 시점은 종 특이적인데, 이는 식물의 생활환, 서식지의 조건및 지리적인 분포에 따라 다르다(Baskin and Baskin, 1998; Nikolaeva, 1999).
Drosera anglica의 특징은 무엇인가? , 1999). 그러나 Drosera anglica의 경우, 종자의 크기에 비해 배의 크기는 작지만, 유근이 돌출하기 전에 추가적인 배의 신장은 일어나지 않기 때문에 완전히 성숙한 배로 판단한다(Baskin and Baskin, 2005).
우리나라에 자생하는Heloniopsis와 Thalictrum속은 무엇이 있는가? 남한에 자생하는 Heloniopsis속 식물로는 처녀치마(Heloniopsis koreana)와 숙은처녀치마(H. tubiflora)가 대표적인데, 두 종모두 특산식물로 분류되어 있다(Fuse et al., 2004). 처녀치마는 산속의 습한 음지에서 자라는 상록성 다년초로서 이른 봄에 개화하는 것이 특징이며, 지상부의 잎이 늦가을까지 녹색을 유지하여 관상용, 지피용으로 유망한 자생식물이다. Thalictrum속의 경우 남한에 약 16종이 자생하고 있는데(Jeon et al., 2007), 이 중 금꿩의다리(Thalictrum rochenbrunianum)는 관상용으로 재배되고 있다. 또한 자주꿩의다리(T. uchiyamai)는 특산식물이고 연잎꿩의다리(T. coreana)는 멸종위기 식물로 지정되어 있다(Hammer and Khoshbakht, 2005; Korea National Arboretum, 2012).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몇 가지 자생 관상용 Heloniopsis와 Thalictrum속 식물들을 대상으로 첫째, 종자가 형태적으로 미숙한지, 둘째, 만약 미숙배 종자라면 어떠한 형태인지, 셋째, 형태적 휴면 또는 형태생리적 휴면 중 어떤 휴면 유형을 보이는지를 조사하여, 추후 이러한 종자휴면의 생태・생리적 연구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수행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Adams, C.A., J.M. Baskin, and C.C. Baskin. 2005. Trait stasis versus adaptation in disjunct relict species: Evolutionary changes in seed dormancy-breaking and germination requirements in a subclade of Aristolochia subgenus Siphisia (Piperales). Seed Sci. Res. 15:161-173. 

  2. Baskin, C.C. and J.M. Baskin. 1985. Seed germination ecophysiology of the woodland spring geophyte Erythronium albidum. Bot. Gaz. 146:130-136. 

  3. Baskin, C.C. and J.M. Baskin. 1998. Seeds: Ecology, biogeography, evolution of dormancy and germination. Academic Press, San Diego, California, USA. 

  4. Baskin, J.M. and C.C Baskin. 2004. A classification system for seed dormancy. Seed Sci. Res. 14:1-16. 

  5. Baskin, J.M. and C.C Baskin. 2005. Underdeveloped embryos in dwarf seeds and implications for assignment to dormancy class. Seed Sci. Res. 15:357-360. 

  6. Copete, E., J.M. Herranz, M.A. Copete, J.M. Baskin, and C.C. Baskin. 2011. Non-deep complex morphophysiological dormancy in seeds of the Iberian Peninsula endemic geophyte Merendera Montana (Colchicaceae). Seed Sci. Res. 21:1-15. 

  7. Fuse, S., N.S. Lee, and M.N. Tamura. 2004. Biosystematic studies on the genus Heloniopsis (Melanthiaceae) II. Two new species from Korea based on morphological and molecular evidence. Taxon 53:949-958. 

  8. Hammer, K. and K. Khoshbakht. 2005. Towards a 'red list' for crop plant species. Genet. Resour. Crop Evolut. 52:249-265. 

  9. Harper, J.L. 1977. Population biology of plants. Academic Press, London. 

  10. Jeon, K.S., K.I. Heo, and S.T. Lee. 2007. Palynological and revisional studies of Thalictrum L. in Korea. Kor. J. Plant Taxon. 37:447-476. 

  11. Kang, J.H., K.J. Jeong, K.O. Choi, Y.S. Chon, and J.G. Yun. 2010.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germination as affected by low temperature and GA in Orostachys 'Jirisan' and 'Jejuyeonhwa' seeds, Korea native plant. Kor. J. Hort. Sci. Technol. 28:913-920. 

  12. Kim, H.J., H.H. Jung, and K.S. Kim. 2010. Influence of dry storage duration, gibberellic acid, and priming on germination of Aster koraiensis at low temperature. Hort. Environ. Biotechnol. 51: 471-476. 

  13. Kondo, T., M. Mikubo, K. Yamada, J.L. Walk, and S.N. Hidayati. 2011. Seed dormancy in Trillium camschatcense (Melanthiaceae) and the possible roles of light and temperature requirements for seed germination in forests. Amer. J. Bot. 92:215-226. 

  14. Kondo, T., N. Ocubo, T. Miura, K. Honda, and Y. Ishikawa. 2002. Ecophysiology of seed germination in Erythronium japonicum (Liliaceae) with underdeveloped embryos. Amer. J. Bot. 89:1779-1784. 

  15. Korea National Arboretum. 2012. Thalictrum uchiyamai Nakai. http://www.nature.go.kr/wkbik1/wkbik1312.leaf?hbacktrue &plntIlstrNo31959. 

  16. La, Y.J. and J.J. Jeong. 2008. Effect of GA3, moist chilling storage and priming treatment on seed germination of Caltha palustris var. membranacea Turcz. Flower Res. J. 16:174-178. 

  17. Lee, H.S., J.E. Jang, D.L. Yoo, and S.Y. Ryu. 2003. Effects of temperature and gibberellin treatments on seed germination of Megaleranthis saniculifolia. J. Kor. Soc. Hort. Sci. 44: 388-392. 

  18. Lee, S.Y., Y.H. Rhie, H.H. Jung, and K.S. Kim. 2011. Determination of the type of dormancy in seeds of Adonis amurensis Regel & Radde by ecological study. Kor. J. Hort. Sci. Technol. 29(Suppl. I):53. (Abstr.) 

  19. Lee, S.Y., Y.H. Rhie, Y.J. Kim, and K.S. Kim. 2012. Morphological and morphophysiological dormancy in seeds of several spring ephemerals native to Korea. Flower Res. J. 20:193-199. 

  20. Martin, A.C. 1946. The comparative internal morphology of seeds. The Amer. Midl. Nat. 36:513-660. 

  21. Niimi, Y., D. Han, and S. Abe. 2006. Temperature affecting embryo development and seed germination of Christmas rose (Helleborus niger) after sowing. Scientia Hort. 107:292-296. 

  22. Nikolaeva, M.G. 1999. Pattern of seeds dormancy and germination as related to plant phylogeny and ecological and geographical conditions of their habitats. Russ. J. Plant Physiol. 46:369-373. 

  23. Nomizu, T., Y. Niimi, and E. Watanabe. 2004. Embryo development and seed germination of Hepatica nobilis Schreber var. japonica as affected by temperature after sowing. Scientia Hort. 99:345-352. 

  24. Rhie, Y.H., H.H. Jung, and K.S. Kim. 2010. Seed dormancy and germination of Jeffersonia dubia. Kor. J. Hort. Sci. Technol. 28(Suppl. II):36-37. (Abstr.) 

  25. Takahashi, H. 1984. Germination ecology of Heloniopsis orientalis (Liliaceae). Sci. Rpt. of the Faculty of Educ., Gifu University. Natural Sci. 8:1-8. 

  26. Vandelook, F., N. Bolle, and J.A. van Assche. 2007. Seed dormancy and germination of the European Chaerophyllum temulum (Apiaceae), a member of a trans-atlantic genus. Ann. Bot. 100:233-139. 

  27. Vandelook, F., J. Lenaerts, and J. Van Assche. 2009. The role of temperature in post-dispersal embryo growth and dormancy break in seeds of Aconitum lycoctonum L. Flora 204:536-542. 

  28. Walk, J.F., C.C. Baskin, and J.M. Baskin. 1999. Seeds of Thalictrum merabile (Ranunculaceae) require cold stratification for loss of nondeep simple morphophysiological dormancy. Botany 77:1769-1776. 

  29. Yeam, D.Y., J.J. Murray, H.L. Portz, and Y.K. Joo. 1985. Optimum seed coat scarification and light treatment for the germination of zoysiagrass (Zoysia japonica Steud) seed. J. Kor. Soc. Hort. Sci. 7:197-18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