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리튬 2차전지 모듈의 전장운용을 위한 안전성 평가기법 연구
A Study on Safety Evaluation Method of Lithium Secondary Battery Module for Military Operation 원문보기

韓國軍事科學技術學會誌 = Journal of the KIMST, v.17 no.3, 2014년, pp.378 - 386  

유은지 (국방과학연구소 제4기술연구본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paper, safety evaluation method simulating battlefield environment was studied to verify military operability of commercial lithium secondary battery. Based on the MIL-STD-2105D and STANAG standards, safety tests of lithium secondary battery module were conducted, such as bullet impact, frag...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 결과는 다양한 전장 운용 모사 환경에서 리튬 2차전지의 군적용 가능성을 검토하였다는 점에서의의를 가진다. 또한 전지 안전성 평가 방법 및 기준을 정확히 모사함으로써 민수용 전지의 군용 활용을 위한 안전성 평가 기법의 새로운 기준을 제시하였다.
  • 1). 본 논문에서는 60 Ah급 리튬 2차전지 모듈의 군용 운용 가능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군용안전성 평가항목을 선별하여 평가하였다. 이를 위해 전장운용 환경을 모사 반영함에 있어서 필수적으로 검증이 필요한 탄자충격, 파편충격, 급속가열, 완속가열 시험에 대해 MIL-STD-2105D 규격을 바탕으로 한 안전성 시험기법을 연구하였고, 2차전지 모듈의 안전성 평가에 적용하였다.
  • 본 연구 결과는 다양한 전장 운용 모사 환경에서 리튬 2차전지의 군적용 가능성을 검토하였다는 점에서의의를 가진다. 또한 전지 안전성 평가 방법 및 기준을 정확히 모사함으로써 민수용 전지의 군용 활용을 위한 안전성 평가 기법의 새로운 기준을 제시하였다.
  • 완속가열시험은 전지 모듈이 포함되어 있는 쉘터내에 장시간 고열이 유입되는 전장 상황을 모사하여 이에 대한 안전성을 확인하는데 목적이 있다.
  • 탄자충격시험은 전시상황에서 탄자에 의해 전지 모듈이 영향을 받을 경우 전지 모듈의 안전성을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전지 모듈은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목적으로 각종 통신장치 및 병사와 근접한 거리에 위치하고 있다.
  • 파편충격시험은 전시 상황에서 파편이 매우 빠른 속도로 전지 모듈에 충격을 가할 경우 전지 모듈의 반응도를 파악하는데 목적이 있다. 전지 모듈이 쉘터내부 또는 외부에 노출되어 있을 시, 폭격에 의한 1차 피해 외에도 포탄이나 기타 파편에 의해 2차적으로 손상이 가해질 수 있기 때문에 이에 대한 안전성 검증이 필수적이다.

가설 설정

  • 3 ℃/hr의 속도로 반응이 일어날 때까지 가열하여 전지 모듈의 반응현상을 확인하였다. 본 시험에서는 단전지 시험 결과를 바탕으로 전지 모듈의 반응 시작점을 130~180℃로 가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대한민국에서 군용전지로 이용하는 것은 어떤 방식의 전지인가? 특히 가장 기본적인 전력 공급원으로 사용되는 전지(battery)는 전장의 극한 환경 조건에서도 동작이 될 수 있는 높은 신뢰성을 보장해야 한다. 이와 같은 이유로 대한민국을 포함한 선진국에서는 에너지밀도가 높고 저온특성, 고율방전특성이 우수한 Li/SOCl2 1차전지를 군용전지로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Li/SOCl2 전지는 방전 중에 SO2 기체가 발생되어 전지 파열이 일어날 수 있으며, 재사용이 불가능하여 폐기량이 많다는 단점이 있다.
Li/SOCl2 전지의 문제점은 무엇인가? 이와 같은 이유로 대한민국을 포함한 선진국에서는 에너지밀도가 높고 저온특성, 고율방전특성이 우수한 Li/SOCl2 1차전지를 군용전지로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Li/SOCl2 전지는 방전 중에 SO2 기체가 발생되어 전지 파열이 일어날 수 있으며, 재사용이 불가능하여 폐기량이 많다는 단점이 있다. 최근 들어 전지 기술의 발달과 함께 기존의 1차전지를 대체하여 성능이 우수한 2차전지의 기술 소요가 증가하고 있다.
무기체계용 전자장비의 운용을 위해 전력공급원으로 사용되는 것은 주로 무엇이며 어떤 운용조건을 보장해야하는가? 이러한 무기체계용 전자장비의 운용을 위해서는 전력의 안정적인 공급이 필수적이다. 특히 가장 기본적인 전력 공급원으로 사용되는 전지(battery)는 전장의 극한 환경 조건에서도 동작이 될 수 있는 높은 신뢰성을 보장해야 한다. 이와 같은 이유로 대한민국을 포함한 선진국에서는 에너지밀도가 높고 저온특성, 고율방전특성이 우수한 Li/SOCl2 1차전지를 군용전지로 사용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8)

  1. Daniel H. Doughty, "Sandia Report (SAND 2005-3123)," August 2006. 

  2. US Department Of Defence, "MIL-STD-810F," 1 January 2000. 

  3. US Department Of Defence, "MIL-STD-2105D," p. 23, 19 April 2011. 

  4. Nato Standardization Agency, Standardization Agreement (STANAG) 4241 (Edition2), 15 April 2003. 

  5. US Department Of Defence, "MIL-STD-2105C," 14 July 2003. 

  6. Nato Standardization Agency, Standardization Agreement (STANAG) 4496 (Edition 1), 13 December 2006. 

  7. Nato Standardization Agency, Standardization Agreement (STANAG) 4240 (Edition 2), 15 April 2003. 

  8. Nato Standardization Agency, Standardization Agreement (STANAG) 4382 (Edition 2), 15 April 2003.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