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과산화수소 적용 TIM의 LED 패키지 열특성 개선효과
Improved Thermal Resistance of an LED Package Interfaced with an Epoxy Composite of Diamond Powder Suspended in H2O2 원문보기

한국광학회지 = Korean journal of optics and photonics, v.25 no.4, 2014년, pp.221 - 224  

최봉만 (인하대학교 정보통신공학과, LED PD 연구팀) ,  홍성훈 (인하대학교 정보통신공학과, LED PD 연구팀) ,  정용범 (인하대학교 정보통신공학과, LED PD 연구팀) ,  김기보 (인하대학교 정보통신공학과, LED PD 연구팀) ,  이승걸 (인하대학교 정보통신공학과, LED PD 연구팀) ,  박세근 (인하대학교 정보통신공학과, LED PD 연구팀) ,  오범환 (인하대학교 정보통신공학과, LED PD 연구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고출력 LED 소자의 활용이 많아지면서, 온도상승 문제를 극복하고 신뢰성을 향상해야 하는 요구가 높아짐에 따라 광원 패키지의 방열이 매우 중요해졌다. 패키지에 칩을 접합하는 열전달 물질(TIM, Thermal Interface Material)은 열전도도가 높은 물질과 폴리머를 혼합하여 재료 자체의 열전달 특성을 향상시키는 방안이 사용되어 왔으나, 실제 패키지의 열 특성은 칩 부착계면의 높은 열저항으로 인해 기대에 미치지 못하고 있다. 본 연구는 diamond 분말과 epoxy의 혼합으로 열 특성을 개선함에 있어서, 과산화수소를 적용하면서도 기포를 효율적으로 제거하여, 각 계면의 친화성을 높이고 전체 점도를 낮추어 diamond 분말의 분산을 촉진하고, 결과적으로 대부분의 경우에 전체 열 저항을 약 30% 이상 개선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e present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TIM used for packaging a high-power LED. In this method a mixture of diamond powder and hydrogen peroxide is used as a filler epoxy. The thermal resistance of the TIM with hydrogen peroxide was improved by about 30% over the thermal resistance of the TIM with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diamond 분말과 epoxy의 혼합 시에 과산화수소 용액을 사용하여 LED 소자의 열 특성을 개선하는 결과를 제시한다. 기존 TIM 시료와 본 공정을 적용한 TIM 시료를 비교하여 LED 광원과 기판의 접착 시 유발되는 계면 열저항의 영향이 큰 것을 확인하고, 과산화수소 용액을 적용하여 실험 전반의 경우에 전체 열저항을 약 30% 이상 개선한 결과를 보고한다.
  • 본 논문에서는 diamond 분말과 epoxy를 혼합하는 과정에 과산화수소 용액을 적용한 TIM을 제작하여 방열 특성을 개선한 결과를 보고하였다. 이 방식은 diamond 분말 표면을 개질하여 혼합물질 내의 diamond 분말의 분산을 개선하고, TIM precursor의 점도를 낮추어 접촉면과의 젖음성을 개선할 뿐 아니라, 내부의 기포 제거에도 도움을 주어, 대부분의 실험 조건 하에서 열저항이 약 30% 이상 개선되었다.
  • 본 연구는 diamond 분말과 epoxy의 혼합 시에 과산화수소 용액을 사용하여 LED 소자의 열 특성을 개선하는 결과를 제시한다. 기존 TIM 시료와 본 공정을 적용한 TIM 시료를 비교하여 LED 광원과 기판의 접착 시 유발되는 계면 열저항의 영향이 큰 것을 확인하고, 과산화수소 용액을 적용하여 실험 전반의 경우에 전체 열저항을 약 30% 이상 개선한 결과를 보고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LED 소자에서 발생한 열은 어떤 문제를 발생시키는가? 특히, 기존 조명을 대체하면서 고출력, 고효율의 LED 광원이 요구되고, 온도상승에 따른 소자의 신뢰성 저하가 우려됨에 따라 LED의 발열과 방열 문제는 중요한 문제로 부각되고 있다. LED 소자에서 발생한 열은 소자의 광속과 수명을 단축시키고, LED를 적용한 제품의 주변 회로에 영향을 미쳐 신뢰성을 떨어뜨린다. LED의 방열 기술은 LED가 실장 된 PCB기판에 히트싱크를 부착하는 방식이 보편적으로 사용되며, 효율적인 방열을 도모하기 위해 광원의 배열을 다양하게 변형하거나, 광원과 기판 사이의 열 전달물질(TIM, Thermal Interface Material)을 개선하는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TIM을 제작하여 방열 특성을 개선한 결과는? 본 논문에서는 diamond 분말과 epoxy를 혼합하는 과정에 과산화수소 용액을 적용한 TIM을 제작하여 방열 특성을 개선한 결과를 보고하였다. 이 방식은 diamond 분말 표면을 개질하여 혼합물질 내의 diamond 분말의 분산을 개선하고, TIM precursor의 점도를 낮추어 접촉면과의 젖음성을 개선할 뿐 아니라, 내부의 기포 제거에도 도움을 주어, 대부분의 실험 조건 하에서 열저항이 약 30% 이상 개선되었다. 또한, 경화개시 직전의 추가적인 초음파 자극으로 열저항 개선효과(추가적인 44% 감소)도 얻었다. 과산화수소를 적용한 TIM precursor 방식은 LED 칩의 방열효과를 개선할 뿐 아니라 추후 다양한 응용분야에 적용 가능할 것으로 기대한다.
고출력 LED 소자의 활용이 많아지면서 어떤 것이 중요해 졌는가? 고출력 LED 소자의 활용이 많아지면서, 온도상승 문제를 극복하고 신뢰성을 향상해야 하는 요구가 높아짐에 따라 광원 패키지의 방열이 매우 중요해졌다. 패키지에 칩을 접합하는 열전달 물질(TIM, Thermal Interface Material)은 열전도도가 높은 물질과 폴리머를 혼합하여 재료 자체의 열전달 특성을 향상시키는 방안이 사용되어 왔으나, 실제 패키지의 열 특성은 칩 부착계면의 높은 열저항으로 인해 기대에 미치지 못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8)

  1. J. K. Kim, W. Nakayama, and S. K. Lee, "Characterization of a thermal interface material with heat spreader," KSME, 45-46 (2010). 

  2. R. S. Prasher and J. C. Matayabas, Jr., "Thermal contact resistance of cured gel polymeric thermal interface material," Proc. IEEE 27, 702-709 (2004). 

  3. M. H. Shin and J. P. Kim, "Introduction to LED packaging technology," Bookshill, 88-99, 978-89-5526-502-6 (2008). 

  4. K. M. F. Shahil and A. A. Balandin, "Thermal properties of grapheme and multilayer grapheme: Applications in thermal interface materials," Elsevier 152, 1331-1340 (2012). 

  5. W. S. Lee and J. Yu, "Comparative study of thermally conductive fillers in underfill for the electronic components," Elsevier 14, 1647-1653 (2005). 

  6. V. N. Mochalin and I. Neitzel, "Covalent incorporation of aminated nanodiamond into and epoxy polymer network," ACSNANO 5, 7494-7502 (2011). 

  7. K. Zhang, Y. Chai, M. M. F. Yuen, D. G. W. Xiao, and P. C. H. Chan, "Carbon nanotube thermal interface material for high-brightness light-emitting-diode cooling," IOP 19, 8-15 (2008). 

  8. SEOUL SEMICONDUCTOR Paper.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