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안전교육과 건설근로자 휴먼에러 상관관계 분석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Safety Education and Human Error by Construction Workers 원문보기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Building Construction, v.14 no.4, 2014년, pp.343 - 349  

안성훈 (Department of Architectural Engineering, Daegu University)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건설 프로젝트가 대형화되고 복잡해지면서 건설업의 재해도 대형화되고 있다. 최근 건설 프로젝트에서 휴먼에러를 감소시켜 재해를 감소시키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건설현장의 근로자를 대상으로 안전교육과 휴먼에러의 상관관계에 대해서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안전교육은 중소규모현장보다는 대규모현장에서 더 많이 실시하고 있으나 법적 기준에는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대규모현장 건설근로자의 경우 안전교육 실시횟수가 많을수록 휴먼에러가 감소하는 경향이 있으나, 중소규모현장 건설근로자는 반대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효율적인 안전교육을 통해 건설근로자의 휴먼에러를 감소시는데 도움을 줄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construction projects are larger and more complex, and so the construction accidents are bigger. Recently, the studies for reducing the human errors are researched to decrease the construction acciden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sis a correlation between the safety education and hum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건설현장의 근로자를 대상으로 안전교육과 휴먼에러의 상관관계에 대해서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 본 연구의 목적인 안전교육과 건설근로자 휴먼에러의 상관관계를 파악하기 위해서 휴먼에러와 건설공사의 안전교육에 대해서 문헌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안전교육 관련 요소가 무엇인지, 건설근로자에게 발생할 수 있는 휴먼에러가 무엇인지 파악하였다. 이후 건설근로자를 대상으로 안전교육 현황 및 휴먼에러를 설문조사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였다.
  • 안전교육 효과성은 안전교육이 안전의식 향상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하는지, 안전교육이 재해예방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하는지, 안전교육이 필요한 지에 대해서 조사하였다. 안전교육 참여성은 안전교육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지, 안전교육 내용을 숙지하고 있는지에 대해서 조사하였다. 모든 질문은 5점 척도를 사용하였다.
  • 안전교육 적정성은 안전교육 실시 횟수가 적정하다고 생각하는지, 안전교육 방법이 적정하다고 생각하는지를 조사하였다. 안전교육 효과성은 안전교육이 안전의식 향상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하는지, 안전교육이 재해예방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하는지, 안전교육이 필요한 지에 대해서 조사하였다. 안전교육 참여성은 안전교육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지, 안전교육 내용을 숙지하고 있는지에 대해서 조사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안전교육과 관련된 연구가 건설 프로젝트에서 재해를 방지하는 방안으로 가장 많이 연구된 분야 중 하나인데 가장 많이 연구한 이유는? 그 중에서 안전교육과 관련된 연구가 건설 프로젝트에서 재해를 방지하는 방안으로 가장 많이 연구된 분야 중 하나이다. 안전교육을 통한 재해방지 대책은 건설 안전관리의 가장 기본적인 방안이기 때문이다[2]. 그러나 지금까지 건설 안전교육에 관한 연구는 대부분 안전교육 현황 분석에 대한 연구[3,4,5,6]와 안전교육 방법에 대한 연구[7,8,9,10,11]가 주를 이루고 있다.
휴먼에러란? 휴먼에러란 인간이 어떤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의도를 가지고 감지하고 판단하여 행동하는 도중, 본인의 의지와는 관계없이 목표를 달성하지 못한 경우, 감지, 판단, 의사결정 및 행동을 통틀어 말하고 있다[15]. 안전관리 분야에서 휴먼에러는 인간의 불완전한 행동을 분류하여 현장에서 사고를 예방하기 위한 관리대상이 무엇인지를 파악하는 것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안전관리 분야에서 휴먼에러는 무엇에 초점을 맞추고 있는가? 휴먼에러란 인간이 어떤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의도를 가지고 감지하고 판단하여 행동하는 도중, 본인의 의지와는 관계없이 목표를 달성하지 못한 경우, 감지, 판단, 의사결정 및 행동을 통틀어 말하고 있다[15]. 안전관리 분야에서 휴먼에러는 인간의 불완전한 행동을 분류하여 현장에서 사고를 예방하기 위한 관리대상이 무엇인지를 파악하는 것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State of industrial disaster at 2013 [Internet]. Sejeong(Korea):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2014 [updated 2014 Apr 1; cited 2014 May 10]. Available from: http://www.moel.go.kr/policyinfo/safety/view.jsp?cate10&sec1 

  2.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Building construction management. Seoul, Kimoondang; 2006. 

  3. Hong S-W, Bae K-S, Ahn Y-S. A survey of actual condition and improvement plan about safety education in construction sites. Journal of the Regional Association of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2005 Feb;7(1):75-83. 

  4. Jung S-H, Kim T-S, Joo Y-M, Lee Y-B, Kang K-S. Introduction to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training scheme for construction works. Journal of Korea Safety Management & Science. 2011 Jun;13(2):9-18. 

  5. Lee H-B. Safety education situation and efficient measures of small construction sites in Deajeon area. [master's thesis]. [Daejeon(Korea)]: Hanbat University; 2012. 61 p. 

  6. Jo J, Woo H, Park M. An empirical study on the influence of industrial safety education to workers in construction field-Focus on the supervisor and the worker-. Journal of Korea Safety Management & Science. 2009 Dec;11(4):43-55. 

  7. Kim E, Yu I, Kim K, Kim K. Optimal set of safety education considering individual characteristics of construction workers. Canadian Journal of Civil Engineering. 2011 May;38(5):506-18. 

  8. Son J, Lin K, Rojas E. Developing and testing a 3D video game for construction safety education. Computing in Civil Engineering. 2011 Jun;2011:867-74. 

  9. Ho C-L, Dzeng R-J. Construction safety training via e-Learning: Learning effectiveness and user satisfaction. Computers & Education. 2010 Mar;55(2010):858-67. 

  10. Wilkins JR. Construction workers' perceptions of health and safety training programmes. Construction Management and Economics. 2011 Oct;29(10):1017-26. 

  11. Sacks R, Perlman A, Barak R. Construction safety training using immersive virtual reality. Construction Management and Economics. 2013 Sep;31(9):1005-17. 

  12. Kim J, Park J. Reduction of test and maintenance human errors by analyzing tack characteristics and work conditions. Progress in Nuclear Energy. 2012 Feb;58(2012):89-99. 

  13. Kim J, Park J, Jung W, Kim JT. Characteristics of test and maintenance human errors leading to unplanned reactor trips in nuclear power plants. Nuclear Engineering and Design. 2009 Jun;239(2009):2530-6. 

  14. Kim DG. Identification and prevention of human errors based on risk assessment in nuclear facility decommissioning process. [master's thesis]. [Cheongju(Korea)]: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2012. 97 p. 

  15. Lee GS, Lim HG, Shin SH, Jang SR, Kim YC, Lee DG, Lee GW. Human errors prevention and management. Seoul (Korea): Hanson Academy; 2011. 204 p. Korean. 

  16. Woo HS, Ryu BH, Jo JH. A study on the effect of safety education to prevent the disasters and accidents on construction field. Journal of the KOSOS. 2009 Jun;24(3):32-38. 

  17. Kim SH. A study on reliability for crane handler with human errors. [Dissertation]. [Busan(Korea)]: Korea Maritime University; 2005. 70 p. 

  18. Reason J. Safety in the operation theatre-Part 2: Human error and organisational failure. Current Anaesthesia and Critical Care. 1995 Apr;6(2):121-6. 

  19. Choi YW. Effects of fatigue and job stress on human error (Focused on the workers in special gas manufacturing company). [master's thesis]. [Suwon (Korea)]: Ajou University; 2012. 59p. 

  20. Kang BS, Kim GS, The statistical analysis of social science. 4th ed. Seoul (Korea): Hannarae Academy; 2009. 442 p. Korean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