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중도척수장애인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요인
Factors Influencing Quality of Life of People with Noncongenital Spinal Cord Injury 원문보기

성인간호학회지 =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v.26 no.4, 2014년, pp.444 - 454  

황혜민 (부천대학교 간호과) ,  이명선 (서울대학교 간호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among pain belief, perceived social support, coping strategies, and quality of life of people with noncongenital spinal cord injury and to identify factors influencing quality of life. Methods: A correlational predictive design was u...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중도척수장애인의 통증신념, 사회적 지지, 대처 전략 및 삶의 질 정도와 이들 간의 상관관계를 파악하고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예측적 상관관계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중도척수장애인의 통증신념, 지각된 사회적 지지, 대처 전략과 삶의 질의 정도를 파악하고,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상관관계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중도척수장애인의 통증신념, 지각된 사회적 지지, 대처전략 및 삶의 질 정도를 파악하고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확인하기 위해 시도되었으며, 구체적인 목표는 다음과 같다.
  • 본 연구의 대상자는 N재활병원에 입원하였거나 외래를 이용하고 있는 중도척수장애인과 서울시에서 활동하는 척수장애 자조모임을 이용하는 자로, 본 연구의 목적을 이해하고 수락한 자로 하였다. 척수손상 기간이 너무 오래된 대상자를 배제하기 위하여 손상 후 최대 20년까지로 제한을 두어 자료를 수집하였다.
  • 이에 본 연구는 성인기에 척수손상을 입어 중도척수장애인이 된 장애인을 대상으로 이들이 경험하고 있는 신체적 문제에서 기인한 통증신념, 심리 ‧ 사회적 요인인 지각된 사회적 지지, 장애에 대한 대처전략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봄으로써 이들의 삶의 질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는 중재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중도척수장애인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해서 무엇이 중요한가? 통증신념이 중도척수장애인의 삶의 질에 가장 크게 영향을 준 것으로 볼 때 척수손상 후 각 개인들이 경험하는 다양한 종류의 통증에 대해 관심이 필요하며 실제적인 통증 관리 및 중재 프로그램 개발을 통해 이들의 통증신념을 낮춰 삶의 질을 높이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다음으로 지각된 사회적 지지가 삶의 질도 높이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므로 동료 ‧ 가족 ‧ 전문가 상담과 같은 적극적인 사회적 지지 프로그램 개발 및 중재와 같은 간호중재를 제공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중도척수장애인은 손상 후에도 환경에 대한 도전과 극복하려는 적극적인 노력의 대처전략을 가장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도척수장애란 무엇인가? 우리나라의 장애인은 2000년 약 1백 50만명에서 2011년 2백 7십만명으로 10년 사이에 2배 가까이 증가하였다(The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2012). 그 중에서 척수의 손상으로 영구적인 신체적 기능장애를 가진 중도척수장애인은 약 6만 4천여 명으로 매년 약 2천명이 새롭게 척수장애인이 되고 있다(Korea Spinal Cord Injury Association, 2010). 이렇듯 중도척수장애인이 증가하는 이유는 현대의 위험 사회 속에서 발생하는 각종 사고와 재해로 인한 것이기도 하지만, 의료기술의 발달로 척수손상으로 인한 생존률이 증가하기 때문이기도 하다.
중도척수장애인이 증가하는 원인은 무엇인가? 그 중에서 척수의 손상으로 영구적인 신체적 기능장애를 가진 중도척수장애인은 약 6만 4천여 명으로 매년 약 2천명이 새롭게 척수장애인이 되고 있다(Korea Spinal Cord Injury Association, 2010). 이렇듯 중도척수장애인이 증가하는 이유는 현대의 위험 사회 속에서 발생하는 각종 사고와 재해로 인한 것이기도 하지만, 의료기술의 발달로 척수손상으로 인한 생존률이 증가하기 때문이기도 하다. 따라서 사고 예방을 위한 안전 의식 제고와 각종 사고 및 범죄에 대한 피해 예방에 힘쓸 뿐 아니라, 중도척수장애인들을 위한 의료인들의 적극적인 관심과 우리나라의 장애인은 2000년 약 1백 50만명에서 2011년 2백 7십만명으로 10년 사이에 2배 가까이 증가하였다(The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201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Choi, S. N., & Kim, J. H. (2012). Relationships among the pain belief, pain coping, and pain disability of patients with chronic musculoskeletal pain. The Korean Journal of Rehabilitation Nursing, 15(1), 30-38. 

  2. Choi, Y. S., Kim, H. L., Kim, Y. H., & Lim, J. R. (2011). The association among activity of daily living, 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 depression and isolation in disabled people. The Korean Journal of Rehabilitation Nursing, 14(1), 5-12. 

  3. Cohen, J. (1988). Statistical power analysis for the behavioral science (2nd ed). New York: Academic Press. 

  4. Dysvik, E., Lindstrom, T. C., Eikelan, O. J., & Natvig, G. K. (2004).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nd pain beliefs among people suffering from chronic pain. Pain Management Nursing, 5(2), 66-74. http://dx.doi.org/10.1016/j.pmn.2003.11.003 

  5. Elfstrom, M. L., Ryden, A., Kreuter, M., Persson, L. O., & Sullivan, M. (2002) Linkages between coping and psychological outcome in the spinal cord lesioned: Development of SCLrelated measure. Spinal Cord, 40, 23-29. http://dx.doi.org/10.1038/sj.sc.3101238 

  6. Elfstrom, M. L., Ryden, A., Kreuter, M., Taft, C., & Sullivan, M. (2005). Relations between coping strategies and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in patients with spinal cord lesion. Journal of Rehabilitation Medicine, 37, 9-16. http://dx.doi.org/10.1080/16501970410034414 

  7. Fann, J. R., Bombardier, C. H., Richards, J. S., Tate, D. G., Wilson, C. S., & Temkin, N. (2009). Depression after spinal cord injury: Comorbidities, mental health service use, and adequacy of treatment. Archives of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92(3), 352-360. http://dx.doi.org/10.1016/j.apmr.2010.05.016 

  8. Hammell, K. W. (2004). Exploring quality of life following high spinal cord injury: A review and critique. Spinal Cord, 42, 491-502. http://dx.doi.org/10.1038/sj.sc.3101636 

  9. Hammell, K. W. (2010). Spinal cord injury rehabilitation research: Patient priorities, current deficiencies and potential directions. Disability and Rehabilitation, 32(14), 1209-1218. http://dx.doi.org/10.3109/09638280903420325 

  10. Hampton, M. Z. (2001). Disability status, perceived health, social support, self efficacy, and quality of life among people with spinal cord injury in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International Journal of Rehabilitation Research, 24, 69-71. 

  11. Hwang, H. M., Yi, M. S., Park, E. Y., & Kwon, E. J. (2012). Phenomenology on the lived experience of Korean women with spinal cord injuries. Journal of Korean Academy Nursing, 42(4), 508-516. http://dx.doi.org/10.4040/jkan.2012.42.4.508 

  12. Middleton, J., Tran, Y., & Craig, A. (2007). Relationship between quality of life and self-efficacy in persons with spinal cord injuries. Archives of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88, 1643-1648. http://dx.doi.org/10.1016/j.apmr.2007.09.001 

  13. Jang, H, K. (2006). A study on chronic pain, pain beliefs, pain coping, and fatigue in the elderly.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18(3), 377-385. 

  14. Jeong, H. S., & Park, H. S. (2004). The relationship between activity daily living and powerlessness of spinal cord injury patients. Korean Journal of Rehabilitation Nursing, 7(2), 197-206. 

  15. Korea Spinal Cord Injury Association. (2010). A study on survey of spinal cord injury disabled persons. Seoul: Korea Spinal Cord Injury Association. 

  16. Krause, J. S., & Carter, R. E. (2009). Risk of mortality after spinal cord injury: Relationship with social support, education, and income. Spinal Cord, 47, 592-596. http://dx.doi.org/10.1038/sc.2009.15 

  17. Lee, J. R., & Park, C. M. (2000). Quality of life using WHOQOLBref in Taegu. Korean Journal of Health Policy and Administration, 10(3), 129-154. 

  18. Lim, M. K., Shin, Y. S., Yoo, W. S., & Yang, B. M. (2003). Social support and self-rated health status in a low income neighborhood of Seoul, Korea. Korean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36(1), 54-62. 

  19. Min, S. K., Lee, C. I., Kim, K. I., Suh, S. Y., & Kim, D. K. (2000). Development of Korean version of WHO quality of life scale abbreviated version. Journal of the Kore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39(3), 571-579. 

  20. Park, E. O. (2011). A study on social support and depression by gender among adults. Korea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17(2), 169-177. http://dx.doi.org/10.4069/kjwhn.2011.17.2.169 

  21. Persson, L. O., & Ryden, A. (2006). Themes of effective coping in physical disability: An interview study of 26 persons who have learnt to live with their disability. Scandinavian Journal of Caring Sciences, 20(3), 355-363. http://dx.doi.org/10.1111/j.1471-6712.2006.00418.x 

  22. Sherbourne, C. D., & Stewart, A. L. (1991). The MOS social support survey. Social Science & Medicine, 32(6), 705-714. http://dx.doi.org/10.1016/0277-9536(91)90150-B 

  23. Shin, S. R., & Kim, A. L. (2001). Factors effect on quality of life of spinal cord injury pati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1(1), 126-138. 

  24. Siddall, P. J., Taylor, D. A., & Cousins, M. J. (1997). Classification of pain following spinal cord injury. Spinal Cord, 35(2), 69-75. http://dx.doi.org/10.1038/sj.sc.3100365 

  25. The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2012). Survey on person with disabilities. Issue Brief No.: 2011-82 . Seoul: The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26. Williams, D. A., & Thorn, B. E. (1989). An empirical assessment of pain beliefs. Pain, 36(3), 351-358. http://dx.doi.org/10.1016/0304-3959(89)90095-X 

  27. Unalan, H., Celik, B., Sahin, A., Caglar, N., Esen, S., & Karamehmetoglu, S. S. (2007). Quality of life after spinal cord injury: The comparison of the SF-36 health survey and its spinal cord injury-modified version in assessing the health status of people with spinal cord injury. Neurosurgery Quarterly, 17(3), 175-179. http://dx.doi.org/10.1097/WNQ.0b013e318063eb72 

  28. World Health Organization. (2001). 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functioning, disability and health(ICF). Geneva: WHO. 

  29. Wollaars, M. M., Post, M. W., Asbeck, F. W. A., & Brand, N. (2007). Spinal cord injury pain: The influence of psychologic factors and impact on quality of life. The Clinical Journal of Pain, 23(5), 383-391. http://dx.doi.org/10.1097/AJP.0b013e31804463e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