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해양에너지 개발사업의 친환경적 개발을 위한 정책 및 제도개선 방안
Improving Policies and Regulations for Environmental-friendly Ocean Renewable Energy Development in Korea 원문보기

환경영향평가 = Journal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v.23 no.4, 2014년, pp.237 - 250  

박정일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  김태윤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전 세계적으로 다양한 해양에너지 개발사업이 활발하게 추진되고 있으며 세계 각국은 해양에너지 개발에 대한 투자와 정책지원을 확대하고 있다. 삼면이 바다로 둘러싸인 우리나라는 풍부한 해양에너지 자원을 가지고 있으며 그 중에서도 해상풍력, 조류발전, 파력발전, 해수온도차 발전 등에 관심과 투자가 더욱 집중되고 있다. 하지만 친환경적이라 여겨지는 해양에너지 개발사업이 오히려 환경을 훼손하고 지역주민과의 갈등을 유발하는 대상으로 지적되기도 한다. 이러한 문제는 경제적 효율성만을 강조하여 입지를 선정하거나 발전시설의 건설과 운영이 미치는 해양생태계와 해양환경에 대한 영향조사가 소홀히 되거나 현실적으로 이에 대한 정보수집이 어렵다는데서 출발한다. 이에 본 연구는 국내외 사례분석을 통해 우리나라 해양에너지 개발사업이 보다 친환경적으로 추진될 수 있는 정책적, 제도적 방안은 무엇인지 모색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에서는 해양에너지 개발사업 계획 수립 시 전략환경영향평가를 실시하여 환경성을 고려한 선제적 입지선정을 진행할 것과 해양에너지 개발사업의 건설과 운영과정에서 지속적인 해양환경 모니터링을 실시하여 환경영향자료가 확대되는 방안이 강구 될 것 등을 제안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 wide range of projects for ocean renewable energy are currently in development around the world and ocean energy industries continue to receive significant support from their governments. Surrounded by sea on three sides, Korea has potentially abundant renewable ocean energy resources, which inclu...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계획에서는 신재생에너지 분야별 개발목표와 단계별 목표도 함께 제시하고 있는데, 해양에너지의 경우 ‘해양에너지 자원의 개발·이용기술 실용화 및 산업화’라는 개발목표 아래 단기(2010년까지)적으로는 정부 주도하에 분야별 핵심기술의 개발과 연안역 해양에너지 이용기술개발을 중점으로 하였다.
  • 본 연구는 우리나라 해양에너지 개발사업이 보다 친환경적으로 추진될 수 있는 정책적, 제도적 방안을 국내외 사례분석을 통해 모색하고자 하였다. 해외의 정책과 제도를 살펴본 결과, 인·허가 및 환경성평가 제도의 운영은 국가별로 차이는 있지만 해양에너지개발사업이 환경성을 고려하면서도 보다 효율적으로 추진될 수 있는 방향으로 진행되고 있었다(Table 2 참조).
  • 이와 더불어 산업자원부와 에너지관리공단이 2007년에 수립한 “신·재생에너지 RD&D 전략 2030 [해양]”은 보다 구체적인 해양에너지 개발 관련 계획과 정책을 담고 있다. 이 보고서는 해양 신재생 에너지 분야의 중장기 연구개발에 대한 기본 계획적 성격을 띠고 있으며, 해양에너지 기술개요를 고찰하고 국내외 기술 및 시장동향과 기술 수준을 분석한 것을 바탕으로 기술개발의 추진전략 및 목표를 제시하였다. 해양에너지 4대 핵심 분야에는 파력발전, 조류발전, 조력발전, 해수온도차발전이 포함되어 있으며 단기, 중기, 장기의 3단계로 구분된 추진전략이제시되어 있다.
  • 이러한 문제는 경제적 효율성만을 강조하여 입지를 선정하거나, 발전시설의 건설과 운영이 미치는 해양생태계와 해양환경에 대한 영향조사가 소홀히 되거나 현실적으로 이에 대한 정보수집이 어렵다는데서 출발한다. 이러한 문제인식에서 본 연구는 해양에너지 개발 사업의 환경성 제고를 위한 정책과 제도의 개선방향은 무엇인지를 국내외 사례분석을 통해 모색하고자 하였다. 특히 현재 우리나라의 해양에너지 개발사업의 문제점으로 지적되는 환경성을 고려한 입지선정 전략 부재와 해양환경 및 해양생태계 관련정보의 부족을 어떻게 해결하면서 해양에너지 개발사업을 장려할 수 있을지에 초점을 맞췄다.
  • 이러한 문제인식에서 본 연구는 해양에너지 개발 사업의 환경성 제고를 위한 정책과 제도의 개선방향은 무엇인지를 국내외 사례분석을 통해 모색하고자 하였다. 특히 현재 우리나라의 해양에너지 개발사업의 문제점으로 지적되는 환경성을 고려한 입지선정 전략 부재와 해양환경 및 해양생태계 관련정보의 부족을 어떻게 해결하면서 해양에너지 개발사업을 장려할 수 있을지에 초점을 맞췄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조류발전에 대한 발전차액지원제도란 무엇인가? 한편 노바스코샤 주의 해양에너지 개발에 대한 의지는 조류발전에 대한 발전차액지원제도(FIT, Feed-in-Tariff)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 이 제도는 신재생에너지 설비로부터 생산된 전력량에 대해 기준가격과 전력시장가격의 차액을 보전해 주는 것으로 조류발전에 관련해서는 노바스코샤 주가 세계적으로도 가장 강력하게 추진하는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현재 기술수준에서 조류발전 발전단가는 kWh당 44~51 캐나다 센트 정도로 알려지는데 노바스코샤주 앞바다에서 생산한 500kW이하의 소규모 조류발전 전력에 대해서는 이 제도를 통해 kWh당 65.
해양에너지 개발사업이 오히려 환경을 훼손하고 지역주민과의 갈등을 유발하는 대상이 되어버린 이유는 무엇인가? 하지만 친환경적이라 여겨지는 해양에너지 개발사업이 오히려 환경을 훼손하고 지역주민과의 갈등을 유발하는 대상으로 지적되기도 한다. 이러한 문제는 경제적 효율성만을 강조하여 입지를 선정하거나 발전시설의 건설과 운영이 미치는 해양생태계와 해양환경에 대한 영향조사가 소홀히 되거나 현실적으로 이에 대한 정보수집이 어렵다는데서 출발한다. 이에 본 연구는 국내외 사례분석을 통해 우리나라 해양에너지 개발사업이 보다 친환경적으로 추진될 수 있는 정책적, 제도적 방안은 무엇인지 모색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우리나라가 관심과 투자를 집중하고 있는 해양에너지 개발사업은 무엇인가? 전 세계적으로 다양한 해양에너지 개발사업이 활발하게 추진되고 있으며 세계 각국은 해양에너지 개발에 대한 투자와 정책지원을 확대하고 있다. 삼면이 바다로 둘러싸인 우리나라는 풍부한 해양에너지 자원을 가지고 있으며 그 중에서도 해상풍력, 조류발전, 파력발전, 해수온도차 발전 등에 관심과 투자가 더욱 집중되고 있다. 하지만 친환경적이라 여겨지는 해양에너지 개발사업이 오히려 환경을 훼손하고 지역주민과의 갈등을 유발하는 대상으로 지적되기도 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김태윤, 맹준호, 박정일. 2013. 조류발전사업 환경 평가방안 연구.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2. 맹준호, 선효성, 주용준, 조범준, 임오정, 서재인. 2012. 조력 및 해상풍력사업 환경평가방안 연구: II. 해상풍력발전사업.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3. 산업자원부.에너지관리공단. 2007. 신.재생에너지 RD&D 전략 2030 [해양]. 

  4. 산업통상자원부. 2014. 제2차 에너지기본계획. 

  5. 제주특별자치도. 2012. 제주특별자치도 풍력발전 종합관리계획. 

  6. 조기선. 2012. RPS 정책방향 및 REC 거래시장. 전기설비. 4: 1-9. http://www.electimes.com/admin/FileDir/news/47538.pdf 

  7. 지식경제부. 2008. 제3차 신재생에너지 기술개발 및 이용.보급 기본계획 (2009-30). 

  8. 지식경제부. 2012. 신.재생에너지 공급의무화제도 관리 및 운영지침. 

  9. Elefant, Carolyn. 2009. Overview of Global Regulatory Processes for Permits. Consents and Authorization of Marine Renewables. OES Annual Report 2009. pp. 47-53. 

  10. Highlands and Islands Enterprise. 2013. HImarine energy park. http://www.hienergy.org.uk/hi-marine-energy-park.htm 

  11. Marine Renewables Canada. 2011. Canada's Marine Renewable Energy Technology Roadmap. 

  12. Nova Scotia. 2012. Marine Renewable Energy Strategy. 

  13. Ocean Plug. 2014. Ocean Plug - Portuguese Pilot Zone. http://www.oceanplug.pt/ 

  14. OES. 2012. Annual Report 2012. 

  15. OES. 2013. Environmental Effects of Marine Energy Development around the World: Annex IV Final Report. 

  16. Regen SW. 2013a. The South West Marine Energy Park. http://www.regensw.co.uk/projects/offshore-renewables/marineenergy-parks 

  17. Regen SW. 2013b. The South West Marine Energy Park-Unlocking the potential of the global marine energy industry. 4th Ed. 

  18. Tethys. 2014. Environmental Effects of Renewable Energy from the Sea. http://tethys.pnnl.gov/ 

  19. The Scottish Government. 2010a. Saltire Prize Competition Guidelines. 

  20. The Scottish Government. 2010b. Strategic Environmental Assessment(SEA) of Draft Plan for Offshore Wind Energy in Scottish Territorial Waters: Volume 1: Environmental Report. 

  21. The Scottish Government. 2011. 2020 Routemap for Renewable Energy in Scotland. 

  22. The Scottish Government. 2012a. 2020 Renewable Routemap For Scotland-Update. http://www.scotland.gov.uk/Topics/Business-Industry/Energy/UpdateRenewableRoutemap. 

  23. The Scottish Government. 2012b. Saltire Prize. http://www.saltireprize.com/ 

  24. UK Department of Energy and Climate Change. 2011. UK Renewable Energy Road Map.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