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간호대학생의 임상시험실무역량강화를 위한 '임상연구관리' 교과목 개발
Development of Clinical Research Management: Enhancement of Nursing Students' Clinical Competency in Handling Clinical Trials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v.16 no.3, 2014년, pp.192 - 200  

추상희 (연세대학교 간호대학, 간호정책연구소) ,  장연수 (연세대학교 간호대학, 간호정책연구소) ,  여기선 (세브란스병원) ,  안지현 (세브란스병원) ,  김두리 (연세대학교 대학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new course entitled 'Clinical Research Management' to enhance nursing students' clinical competency in handling clinical trials. Methods: The goals and content of the existing current education program for clinical research professionals such as clini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간호대학 졸업 후 임상시험 분야로 진출하고자 하는 학생들이 졸업 시점에서 갖추어야 할 임상시험전문인력 핵심 실무역량을 파악하고, 이를 기반으로 간호대학 학부 교과과정에 적용 가능한 선택 교과목의 목표와 내용, 성과지표로 구성된 ‘임상연구관리’ 교과목 수업계획서를 개발하기 위함이다.
  • 전문직 표준과 요구되는 역할을 위해서는 국가임상시험사업단에서 운영하는 CRC, CRA 초급교육과정을 비교· 분석하였고, 최소한에 요구되는 역량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전 · 현직 CRC, CRA를 대상으로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수행하였다. 마지막으로 교과목 내용 및 성과평가 지표 선정을 위해서는 전문가로부터 이에 대한 자문을 받았다.
  • 본 연구는 간호대학 졸업 후 임상시험 분야로 진출하고자 하는 간호대학생들이 갖추어야 할 임상시험 전문인력으로서의 핵심실무역량을 파악하고, 이를 기반으로 간호대학 학부 선택 교과과정으로 ‘임상연구관리’ 교과목 수업계획서를 개발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들에게 임상시험 전문 인력으로의 역량강화를 위한 ‘임상연구관리’ 교과목 개발을 위한 방법론적 연구이다.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임상시험 핵심 실무역량 강화를 위한 2학점 선택과목(임상연구관리)을 성과기반 교육과정 개발 3단계에 따라 개발한 방법론적 연구로, KoNECT의 CRA 및 CRC 교육과정 분석과 실무자들의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통해 확인한 임상시험 전문 인력으로서의 핵심 실무역량을 바탕으로 ‘임상연구관리’ 교과목을 개발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임상시험 전문인력으로서 간호대학생이 갖추어야 할 실무역량을 파악하기 위해 서울 소재 간호대학을 졸업한 전 · 현직 임상연구 코디네이터 및 임상시험 모니터 요원 6인을 대상으로 포커스 그룹 인터뷰(Focus group interview, FGI)를 수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조직적 차원에서 역량이란 무엇인가? 최근 각광받고 있는 성과기반 교육과정에서는 지식뿐 아니라 직업세계에서 요구되는 전인적이고 통합적인 능력인 ‘역량(competency)’을 중요시한다. Sung과 Jeong (2006)은 역량이란 조직적 차원에서는 ‘개인이 수행하는 업무의 주요한 부분들에 영향을 주고, 업무성과와 관련성이 높고, 조직에서 널리 받아들여지는 성과기준에 대비 하여 측정될 수 있으며, 교육훈련과 개발을 통하여 개선될 수 있는 지식과 기술, 태도의 집합체’ 라고 정의하였다(Sung & Jeong, 2006). 즉, 자신이 맡은 직무를 성공적으로 수행하는 데 요구되는 지식, 기술, 태도를 포함하는 행동 특성을 의미하며, 이러한 개인적 역량은 직무만족 또는 업무성과에 순 상관관계를 보이므로(Ha & Choi, 2010), 전문직으로 진입하기 전에 요구되는 행동특성을 학부 교육과정에서 강화하는 것이 필요하다.
임상연구코디네이터와 임상시험 모니터요원의 자격요건은 어떻게 되는가? , 2012). 또한 CRA/CRC의 자격요건으로 학력은 교육부에서 인정하는 전문대학 또는 대학교 졸업자, 교육은 KoNECT에서 실시하는 CRC/CRA 기본 교육과정 이상을 수료한 자로 간호학부생이 학부과정 동안 미리 임상시험 전문인력으로의 교육과정을 통한 경험이 있다면, 졸업 후 임상시험 전문인력으로서의 기본적인 실무역량을 갖추는 데 많은 도움이 될 것이다.
최근 간호학 분야에서 제시된 성과기반 교육과정 개발 과정 3단계 모형은 어떻게 구성되어 있는가? 최근 간호학 분야에서 제시된 성과기반 교육과정 개발 과정 3단계 모형은 첫 번째 전문직 표준과 역할을 확인하여, 이해 상응하는 지식, 가치 및 기술이 교육과정에 포함되어야 하며, 두 번째 최소 요구 역량, 즉, 졸업 시 갖추어야 할 핵심역량을 정의하고 이를 바탕으로 교육 내용을 구성하고, 마지막으로 교육 성과를 정의하고 평가할 수 있어야 한다고 제시하고 있다(Kim, 201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Bowen, K. E., & Rice, L. S.(1998). Who is clinical research nurse? Research Nurse, 4(4), 1-4. 

  2. Chu, S. H. (2009). Recognition survey on clinical trials, a research report supported by the Kore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KFDA). 

  3. Cho, H., & Lee, G. Y. (2006). Self esteem and career identity of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 community health nursing academic society, 20(2), 163-173. 

  4. Choi, N. K., Kim, H. J., Lee, S. M., Jung, S. Y., Kim, O. J., Park, K. H., et al. (2005). Current status and preferred model of clinical trial education and certification program for investigators: a questionnaire survey. Kor J Clin Pharmacol Ther, 13(2), 186-194. 

  5. Chu, S. H., Jeong, S. H., Kim, E. J., Park, M. S., Park, K., Nam, M., et al. (2012). The views of patients and healthy volunteers on participation in clinical trials: an exploratory survey study. Contemp Clin Trials, 33(4), 611-619. 

  6. Commission on Collegiate Nursing Education. (2009). Standards for accreditation of baccalaureate and graduate degree nursing programs. Washington, DC: Author. 

  7. Ha, N. S., & Choi, J. (2010). An analysis of nursing competency affecting on job satisfaction and nursing performance among clinical nurses. J Korean Acad Nurs Admin, 16(3), 286-294. 

  8. Jeong, I. S. (2011). Current tasks and appropriate tasks of clinical research coordinators in Korea. J Korean Soc Clin Pharmacol Ther, 19(2), 117-129. 

  9. Jeong, I. S., Kang, H. S., & Kim, W. O. (2007). Clinical research nurses: roles and qualification s in South Korea. Drug Inform J, 41, 251-256. 

  10. Jeong, I. S., Kang, H. W., & Kim, W. O. (2005). Current status of educational experience and preferred educational and certification program of clinical research nurses: A questionnaire survey. Kor J Clin Pharmacol Ther, 13(2), 195-207. 

  11. Kang, H. S., Kim, W. O., Jeong, I. S., & Baik, J. M. (2004). The working conditions and clinical trial practice of research nurses.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9(2), 41-55. 

  12. Kim, T. E., & Kim, K. H. (2009). Job status and job satisfaction among clinical research coordinator. J Korean Acad Nurs Admin, 15(3), 336-345. 

  13. Kim, H. S. (2012). Outcomes-based curriculum development and student evaluation in nursing education. J Korean Acad Nurs, 42(7), 917-927. 

  14. Kim, K. H., Kim, K. S., Choe, B., & Kim, Y. I. (2011). The study of education and qualification for the maintenance of clinical research associate (CRA) professionalism. J Korean Soc Clin Pharmacol Ther, 19(2), 130-143. 

  15. Korea National Enterprise For Clinical Trials (KONECT). Domestic and International Clinical Trials. http://www.konect.or.kr/html/02_clinic/clinic_03.jsp?header02&sub03 [Online] (last visited on October 30, 2013) 

  16. Korean Accreditation Board of Nursing Education. (2012). The standards of accreditation for nursing education. Seoul: Author. 

  17. Krueger, R. A., & Casey, M. A. (2000). Focus Group (3rd ed). California: Sage publications. 

  18. Lee, J. K. (2002). Reflection on a methodology of developing competency-based curriculum: based on a case of curriculum development for improving marketing competency.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18(4), 25-56. 

  19. Seong, S. J., Lim, M. S., Oak, S. N., Lee, J. M., Park, S. M., Park, J., et al. (2012). Shin S-G, Park MS, Yoon Y-R. Results of 2012 KoNECT certification program of the human resource project. J Korean Soc Clin Pharmacol Ther, 20(2), 182-194. 

  20. Song, K. O. (2007). Education innovation characteristic of competency based and exploration of applicability. Journal of Korean Education, 34(3), 155-182. 

  21. Sung, Y. H., & Jeong, J. H. (2006). Defining the Core Competencies of the Nurses in A Tertiary Hospital and Comparing Different Units based on Their Respective Characteristics. J Korean Aca Nurs Admin, 12(1), 76-93. 

  22. Yoo, J. S., Ahn, J. A., Yeo, K. S., & Chu, S. H. (2008). The study to reorganize the course of basic nursing science in a college of nursing. J Korean Biol Nurs Sci, 10(2), 162-169. 

  23. Yoon, Y. M., & Suk, M. H. (2012). Effect of a Mentoring Program to Improve Adaptation to Department and Career Identity in Nursing College Students. The Korean Society of Management Consulting, 12(1), 185-20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