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 침몰유조선 잔존유 회수작업의 합리적 종료절차 제안
A Proposition on Reasonable Termination Procedure in Remaining-oil Recovery Work from a Sunken Tanker in Korean Territory 원문보기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Journal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v.38 no.4, 2014년, pp.379 - 384  

강광구 (해양환경관리공단) ,  심유택 (해양환경관리공단) ,  강신영 (한국해양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선박 침몰사고 중 유조선이 침몰한 경우에는 일반적으로 대형 유류오염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잔존유를 회수해야만 한다. 그러나 수중작업의 특성상 이러한 잔존유 회수작업 완료 후 육안으로 완료 상태를 확인하기 곤란하므로 합리적인 회수작업 종료절차 수립이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실제 이루어 진 두 차례의 잔존유 회수작업 사례(제1유일호 및 제3오성호, 경신호)의 서로 다른 회수방법에 따른 작업종료 절차의 상호 비교분석을 통해 합리적 작업종료 절차를 제안하였다. 구체적으로 과거 적용된 방법 및 기술을 조사하여, 작업의 신속성, 안전성, 경제성 등 다양한 각도에서 상호 비교분석을 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잔존유 회수작업 종료절차는 화물유 탱크별 잔존유 회수 및 세척작업 진행 중 독립검정사가 만족할만한 수준에서 화물유 탱크별 선체 최상단부분의 잔존유 유무를 막대로 확인하고, 선체 최상단부 또는 해치를 개방하는 순서로 단계별로 구분되어 진행된다. 또한, 각 단계별 진행과정은 발주자, 작업수행자, 독립검정사 상호간 협의에 따라 탄력적 적용이 가능토록 설계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case of sunken tankers, remaining-oil recovery operation should be conducted due to possible oil spill accident. However, the deep sea operation make difficulties in checking the completion of remaining oil recovery process, therefore the work termination procedure is very important. In this pap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논문에서 제안한 국내 침몰유조선 잔존유 회수작업시합리적 종료절차에 대한 내용은 국내에서 실제 이루어진 두차례의 침몰유조선 잔존유 회수작업에 적용된 절차를 상호 보완한 것이다. 향후 이 절차가 조업 및 항로에 방해가 되거나 자칫 추가유출로 인한 대형 오염사고를 유발할 수 있는 위험한 상태의 심해 침몰유조선 내 잔존유를 제거하는 작업이 신속하게 추진되는데 기여하고, 국내 유조선 침몰사고별 탄력적 적용이 가능한 작업종료 절차의 표준으로 활용되기를 기대해 본다.
  • 앞서 ROLS가 설치된 화물유 탱크 내 잔존유 회수가 거의 완료되어 기름이 아닌 해수가 다량 섞여 회수되기 시작하면 해상기지선에서 미리 가열된 고온수로 해당 화물유 탱크 세척 작업을 실시하였다. 이 작업의 목적은 탱크 벽면과 구석부분에 부착된 잔존유를 탈착시키기 위한 작업으로, 작업 실시 후에는 기름이 화물유 탱크 내 해수와 분리될 수 있도록 일정한 시간동안 대기하게 된다. 일정시간 대기 후 기름과 해수가 충분히 분리되었다고 판단되는 시점에 분리된 잔존유에 대한 회수작업을 다시 시작하며, 이러한 작업을 몇 차례 반복하면서 해당 화물유 탱크에 대한 잔존유 회수작업이 마무리 되었다.
  • 이에 따라 국내에서 이루어진 두 차례의 침몰유조선 내 잔존유 회수작업에 대한 작업 진행과정 및 종료절차의 비교를 통해 합리적인 잔존유 회수작업에 대한 종료절차를 도출해 제안하고자 하였다
  • 이 두 가지 잔존유 회수 작업기법은 각각의 장단점을 가지고 있으며, 공교롭게도 국내에서 실시된 유일한 두 차례의 70m 이상 심해에 침몰한 유조선 내 잔존유 회수작업이 이 두 가지 방법이 각각 적용되어 이루어졌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이 두 작업사례에 각각 적용된 잔존유 회수작업별 진행된 작업 종료절차를 비교분석해 보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유조선이 침몰한 경우 어떠한 조치를 취해야하는가? 선박 침몰사고 중 유조선이 침몰한 경우에는 일반적으로 대형 유류오염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잔존유를 회수해야만 한다. 그러나 수중작업의 특성상 이러한 잔존유 회수작업 완료 후 육안으로 완료 상태를 확인하기 곤란하므로 합리적인 회수작업 종료절차 수립이 매우 중요하다.
유조선 침몰 후 회수작업 종료절차 수립이 중요한 이유는 무엇인가 선박 침몰사고 중 유조선이 침몰한 경우에는 일반적으로 대형 유류오염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잔존유를 회수해야만 한다. 그러나 수중작업의 특성상 이러한 잔존유 회수작업 완료 후 육안으로 완료 상태를 확인하기 곤란하므로 합리적인 회수작업 종료절차 수립이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실제 이루어 진 두 차례의 잔존유 회수작업 사례(제1유일호 및 제3오성호, 경신호)의 서로 다른 회수방법에 따른 작업종료 절차의 상호 비교분석을 통해 합리적 작업종료 절차를 제안하였다.
MALPOL 협약을 개정 시킨 후 침몰한 유조선의 저장된 기름이 해상으로 유출되지 않은 채로 심해로 침몰할 가능성이 높아진 이유는 무엇인가? 1992년 국제해사기구에서는 1989년 알래스카 연안 1600k를 기름으로 오염시킨 엑슨 발데즈호 유류오염사고를 계기로 MALPOL 협약을 개정, 1993년 7월 이후 건조되는 5000㎘급 이상의 모든 유조선의 이중선체를 의무화하도록 했다(IMO, 1994). 1993년 MALPOL 협약이 발효됨과 동시에 이중선체로 건조된 유조선이 좌초하거나 침몰하게 되는 경우 선체가 쉽게 파공되지 않을 가능성이 높아짐에 따라 화물유 탱크 내 저장된 기름이 해상으로 유출되지 않은 채로 온전히 심해로 침몰할 가능성도 높아졌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9)

  1. Choi, H. J. et al.(2003), "A Study on Remotely Off-Loading Techniques from a Sunken Ship", Paper from Consolidated Symposium of Korean Society for Marine Environment, pp. 117-121. 

  2. Frank Mohn Flatoy AS Oil & Gas Division(2003), Technical Description Remote Operated Offloading System ROLS, pp. 5-8. 

  3. IMO(1994), MALPOL 73/78 in the revised Annex I, International Maritime Organization. 

  4. IMO(2010), Technical Guidelines on Sunken Oil Assessment and Removal Techniques, International Maritime Organization, pp. 79-80. 

  5. KMPRC(1998), The White Paper of Sunken Vessel Remaining-oil Recovery Work, Korea Marine Pollution Response Corporation. pp. 101-171. 

  6. KOEM(2011a), The White Paper of Kyung-Shin Wreck Remaining-oil Recovery Project, Korea Marine Environment Management Corporation. pp. 281-323. 

  7. KOEM(2011b), The Final Report of Kyung-Shin Wreck Remaining-oil Recovery Project, Korea Marine Environment Management Corporation. pp. 20-67. 

  8. KOSIS(2007), Vessel entry/departure Statistics, 2012, http://kosis.kr. 

  9. Shim, Y. T.(2004), "A Study on Remaining-Oil Recovery Method from a Sunken Ship", Dissertation, Korea Marine and Ocean University, Seoul, Korea.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