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GFRP 보강근을 사용한 콘크리트 보의 휨파괴 거동
Flexural Behavior of Concrete Beams Reinforced with GFRP Bars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5 no.8, 2014년, pp.5318 - 5326  

어석홍 (창원대학교 토목공학과) ,  하상훈 (한국농어촌공사)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논문은 철근대체재로서 유리섬유보강 플라스틱봉(GFRP : Glass Fiber Reinforced Plastic Bar)으로 보강한 콘크리트 보 및 일반 RC보의 휨파괴 실험결과를 비교하여 제시한 것으로 보강비와 콘크리트의 압축강도를 주요 실험변수로 설정하여 보의 균열발생 양상과 파괴모우드, 처짐, 변형률 및 최대하중을 측정하고 분석하였다. 실험결과, GFRP 보강보의 하중강도는 보강비와 콘크리트 강도가 증가할수록 크게 나타났으며, 동일 보강비일 경우 일반 RC보에 비하여 41.3~51.6% 증가하였다. GFRP 보강보의 처짐은 일반 RC보에 비하여 약 4.1~6.3배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실측처짐이 이론값보다 평균 31% 정도 작게 나타나 GFRP 보의 처짐계산시 사용되는 휨강성이 최대하중시 과소평가되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GFRP 보의 균열폭은 RC보에 비하여 1.87~2.79배 크게 발생하였으며, 보강비와 콘그리트 강도가 증가할수록 다소 작은 것으로 나타났다. ACI code 440에 의해 산정한 설계휨강도는 대체적으로 안전측의 값을 나타내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paper presents the results of flexural test of concrete beams reinforced with GFRP and conventional steel reinforcement for comparison. The beams were tested under a static load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reinforcement ratio and compressive strength of concrete on cracking, deflection, ultim...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GFRP로 보강된 휨부재의 파괴거동을 분석하기 위하여 실험변수로 GFRP Bar의 보강비 및 콘크리트의 압축강도를 설정하였으며, 비교를 위하여 동일한 직경과 단면적의 철근보강 콘크리트 보를 설정하였다. Table 1에 각 실험변수를 정리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보강비와 콘크리트 강도를 변수로 하여 일반 RC보와 GFRP보에 대한 비교시험을 수행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콘트리트 구조물에서 철근이나 PS강재가 부식되는 현상이 일어나는 이유는? 최근 콘크리트 구조물이 중성화되거나 제설제 및 해양환경에 의한 염화물의 침투, 확산 등 여러 가지 유해요소로 인해 철근이나 PS강재가 부식되어 구조물의 성능이 저하되고 수명이 단축되는 심각한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다. 국내의 경우 보고된 결과에 따르면 해양환경에 위치한 콘크리트 교량뿐만 아니라 고속도로 및 도심지에 위치한 콘크리트 교량 바닥판에서도 약 15% 정도 철근의 부식이 진행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1].
여러가지 선진국에서 철근이나 PS강재가 부식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어떻게 하는가? 국내의 경우 보고된 결과에 따르면 해양환경에 위치한 콘크리트 교량뿐만 아니라 고속도로 및 도심지에 위치한 콘크리트 교량 바닥판에서도 약 15% 정도 철근의 부식이 진행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1]. 여러 기술 선진국의 경우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콘크리트 내 보강철근의 부식과 같은 내구성과 관련된 문제를 일으키지 않는 철근대체재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었다. 그 중의 하나가 섬유보강 플라스틱계 복합재료(Fiber reinforced plastics, FRP)로써 많은 연구결과와 현장적용 경험을 바탕으로 FRP를 보강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설계기준을 확립해 가고 있는 실정이다[2,3].
GFRP의 단점은? 그러나 국내의 경우 FRP 보강 콘크리트 구조물의 거동에 대한 이론적, 실험적 연구가 아직 미흡한 실정이고 체계적인 설계기준이 확립되어 있지 않은 실정이다[4]. 특히, GFRP는 철근에 비하여 탄성계수가 상당히 작고 항복점과 소성구간이 없는 특성을 가지고 있어 부재의 과다한 처짐과 균열발생 등 사용성의 문제가 예상되며 또 한편으로는 매우 큰 인장강도로 인하여 극한하중시의 파괴거동이 일반 철근 콘크리트 부재와는 상이한 파괴모드가 발생됨을 여러 문헌에서 지적되고 있다[5,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9)

  1. Han-Young Moon, Seoung-Soo Kim, and Hong-Sam Kim, "Investigation on Steel Corrosion in Domestic Concrete Structures", Journal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Vol.13, No.5, pp.58-63, 2001. 

  2. Benmokrane, B., Chaallal, O., and Masmoudi, R. "Flexural Response of Concrete Beams Reinforced with GFRP Rebars," ACI Structural Journal, Vol.93, No.1, pp. 46-55, 1996. 

  3. Masmoudi, R., Theriault, M., and Benmokrane, B, "Flexural Behavior of Concrete Beams Reinforced Plastic Reinforcing Rods," ACI Structural Journal, Vol.95, No.6, pp.665-676, 1998. 

  4. Chae-Saeng Kim, "An Experimental Study on Structural Behavior of Concrete Members Reinforced with FRP Re-Bars", M.S. Thesis, Hanyang University, Feb. 2007. 

  5. Soon-Jong Yoon, Byung-Suk Kim, Sang-Kyoon Jeong, and Jae-Ho Jung, "Flexural Behavior of GFRP Re-Bar Bundle Reinforced Concrete Beams", Journal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Vol.23, No.6, pp.1067-1075, November 2003. 

  6. Jong-Sung Sim, Hong-Seob-Oh, Se-jun Oh, Won-Gi Jung, and Jun-Hyun Lim, "Study on the Deflection of Beams Reinforced with GFRP Rebar", Journal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Vol.19, No.1 pp.477-480, May 2007. 

  7. ACI Committee 440, Guide for the Design and Construction of Concrete Reinforced with FRP Bars, American Concrete Institute, U.S.A., 2000. 

  8. Design Manual No.3, Reinforcing Concrete Structures with Fibre Reinforced Polymers, ISIS Canada, Sep. 2001. 

  9. oon-Jong Yoon, Byung-Suk Kim, Sung-Kun You, Jae-Ho Jung, and Sang-Kyoon Jeong, "Experimental Investigations on the Flexural Behavior of One-way Concrete Slabs Reinforced with GFRP Re-Bar Bundl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Composite Materials, Vol.16, No.3, pp.32-40, 200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