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미세조류를 이용한 중온 및 고온 혐기성 수소 발효
Hydrogen Production from Microalgae in Anaerobic Mesophilic and Thermophilic Conditions 원문보기

한국수소 및 신에너지학회 논문집 = Transactions of the Korean Hydrogen and New Energy Society, v.25 no.4, 2014년, pp.337 - 343  

한선기 (한국방송통신대학교 환경보건학과) ,  최재민 (수원대학교 토목공학과.하천환경기술연구소) ,  이채영 (수원대학교 토목공학과.하천환경기술연구소)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characteristics of dark fermentative $H_2$ production from microalgae (Chlorella vulgaris) using batch reactors under mesophilic (25, $35^{\circ}C$) and thermophilic (45, $55^{\circ}C$) conditions. The $H_2$ yield 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3) 본 연구를 통해 미세조류를 이용한 혐기성 수소 발효 시 배양 온도에 대한 영향을 평가하였다. 향후 미세조류를 이용한 에너지 생산 연구 시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선행 문헌 조사를 통해 적정의 전처리 조건으로 수행된 미세조류를 기질로 이용하였으며 배양 온도에 따른 수소 발생 특성에 대해 파악하고자 한다. 또한 총 휘발성 유기산(total volatile fatty acids)분석을 통해 배양 온도에 따른 수소 발생 시 부산물의 거동을 파악하고자 한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초산/뷰틸산의 비율과 수소 전환율의 관계를 제시하였다(Fig. 5). 배양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초산/뷰틸산의 비가 증가하였으며 수소 전환율도 증가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선행 문헌 조사를 통해 적정의 전처리 조건으로 수행된 미세조류를 기질로 이용하였으며 배양 온도에 따른 수소 발생 특성에 대해 파악하고자 한다. 또한 총 휘발성 유기산(total volatile fatty acids)분석을 통해 배양 온도에 따른 수소 발생 시 부산물의 거동을 파악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미세조류인 C. vulgaris를 이용한 중온(25, 35°C) 및 고온(45, 55°C) 혐기성 발효의 수소 발생 특성을 평가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혐기성 발효 수소 생산 시 미생물의 활성도에 영향을 주는 것은? 혐기성 발효를 통한 수소 생산 시 배양 온도, 기질 종류 및 농도는 주요 운전 인자들이다. 배양 온도는 수소 생성 미생물의 활성도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인자 중 하나이다. 그러나 선행 연구들에 의하면 상이한 결과를 나타내는 결과들이 보고되고 있다. Wang과 Wan (2008)은 포도당(glucose)를 기질로 이용하였으며 배양 온도는 20-55°C로 제어하였다. 그 결과에 따르면 중온 소화(35°C) 시 고온(55°C)에 비해 수소 발생 속도가 3.8배 높게 나타났다6). 그러나 Nazlina 등(2009)에 따르면 음식물을 기질로 이용할 경우 온도가 상승함에 따라 수소 전환율이 높아진 것으로 보고되었다7). 또한, Koskinene 등(2008)에 따르면 온천수를 이용한 수소 발효 시 최적의 배양 온도(37-70°C)는 45°C로 보고되었다. 이렇듯 배양 온도는 기질의 종류에 따라 적정 조건에 상이한 것으로 나타났다8).
화석연료는 어떤 문제를 유발하는가? 경제가 성장함에 따라 에너지 수요는 지속적으로 증하고 있다. 화석연료는 연소 시 부산물에 의한 온실효과 등의 환경적 문제, 유가 상승 등의 사회경제적인 문제를 유발한다1,2).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는 방안으로 환경에 미치는 영향이 적으며 재생가능한 에너지 매체인 수소의 관심과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1,2).
생물학적 수소 생산 방법은? 생물학적으로 수소를 생산하는 방법은 크게 광합 (photosynthetic) 미생물에 의한 수소 생산 방법과 빛 에너지가 필요 없는 혐기성 발효로 구분할 수 있다3,4). 광합성 미생물을 이용한 수소 생산은 효율이 낮으며 빛이 없을 경우 운영되지 못하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G. Cipriani, V. D. Dio, F. Genduso, D. L. Cascia, R. Liga, R. Miceli, and G. R. Galluzzo, "Perspective on hydrogen energy carrier and its automotive applications", International Journal of Hydrogen Energy, Vol. 39, No. 16, 2014, pp. 8482-8494. 

  2. Y. J. Lee, D. Y. Kim, M. H. Han, K. S. Kang, G. G. Bae, and J. H. Lee, "Electrodeposition characteristics of corrosion resistant tantalum coating layer for hydrogen production sulfide-iodine process", Trans. of the Korean Hydrogen and New Energy Society, Vol. 23, No. 6, 2012, pp. 573-580. 

  3. J. Wang and W. Wan, "Experimental design methods for fermentative hydrogen production: A review", International Journal of Hydrogen Energy, Vol. 34, No. 1, 2009, pp. 235-244. 

  4. Y. H. Jo, B. H. Jo, and H. J. Cha, "Hydrogen production in biological way as alternative energy", J of Korea Organic Resource Recycling Association, Vol. 19, No. 1, 2011, pp. 57-63. 

  5. J. M. Choi, "Optimization of hydrogen production from microalgae using anaerobic fermentation", Master dissertation, The Univ. of Suwon, 2012. 

  6. J. L. Wang, and W. Wan, "Effect of temperature on fermentative hydrogen production by mixed culture", International Journal of Hydrogen Energy, Vol. 33, No. 20, 2008, pp. 5392-5397. 

  7. H. M. Y. Nazlina, A. R. N. Aini, F. Ismail, and M. S. M. Yusof, "Effect of different temperature, initial pH and substrate composition on biohydrogen production from food waste in batch fermentation", Asian Journal of Biotechnology, Vol. 1, No. 2, 2009, pp. 42-50. 

  8. P. E. P. Koskinen, C. H. Lay, S. B. Beck, K. E. S. Tolvanen, A. H. Kaksonen, and J. Orlygsson, C. Y. Lin, and J. A. Puhakka, "Bioprospecting thermophilic microorganisms from Icelandic hot spring for hydrogen and ethanol production", Energy & Fuels, Vol. 22, 2008, pp. 134-140. 

  9. S. A. Scott, M. P. Davey, J. S. Dennis, I. Horst, C. J. Howe, D. J. Smith, and A. G. Smith, "Biodeisel from algae: Challenges and prospects", Energy Biotechnology-Environmental Biotechnology, Vol. 21, No. 3, 2010, p. 277-286. 

  10. K. W. Jung, D. H. Kim, and H. S. Shin, "Fermentative hydrogen production from Laminaria japonica and optimization of thermal pretreatment conditions", Bioresource Technology, Vol. 102, No. 3, 2011, pp. 2745-2750. 

  11. Y. M. Yun, K. W. Jung, D. H. Kim, Y. K. Oh, and H. S. Shin, "Microalgal biomass as a feedstock for bio-hydrogen produc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Hydrogen Energy, Vol. 37, No. 20, 2012, pp. 15533-15539. 

  12. APHA-AWWA-WEF, "Standard Methods for the Examination of Water and Wastewater", 18th edition, American Public Health Assoc., Washington, D. C., USA, 1992. 

  13. Y. M. Yun, K. W. Jung, D. H. Kim, Y. K. Oh, S. K. Cho, and H. S. Shin, "Optimization of dark fermentative $H_2$ production from microalgal biomass by combined (acid+ultrasonic) pretreatment", Bioresource Technology, Vol. 141, 2013, pp. 220-226. 

  14. S. Roy, K. Kumar, S. Ghosh, and D. Das, "Thermophilic biohydrogen production using pretreated algal biomass as substrate", Biomass and Bioenergy, Vol. 61, 2014, pp. 157-166. 

  15. S. M. Carver, C. J. Hulatt, D. N. Thomas, and O. H. Tuovinen, "Thermophilic, anaerobic co-digestion of microalgal biomass and cellulose for H2 production", Biodegradation, Vol. 22, No. 4, 2011, pp. 804-814. 

  16. Y. Mu, X. J. Zheng, H. Q. Yu, and R. F. Zhu, "Biological hydrogen production by anaerobic sludge at various temperatures", International Journal of Hydrogen Energy, Vol. 31, 2006, pp. 780-785. 

  17. N. Kumar, and D. Das, "Enhancement of hydrogen production by Enterobacter cloacae IIT-BT 08", International Journal of Hydrogen Energy, Vol. 35, 2000, pp. 589-593. 

  18. B. Fabiano, and P. Perego, "Thermophilic study and optimization of hydrogen production by Enterobacter aerogenes", International Journal of Hydrogen Energy, Vol. 27, 2002, pp. 149-156. 

  19. D. H. Kim, S. K. Han, S. H. Kim, and H. S. Shin, "Effect of gas sparging on continuous fermentative hydrogen produc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Hydrogen Energy, Vol. 31, No. 15, 2006, pp. 2158-2169. 

  20. D. H. Kim, S. H. Kim, and H. S. Shin, "Sodium inhibition of fermentative hydrogen produc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Hydrogen Energy, Vol. 34, 2009, pp. 3295-3304. 

  21. Y. M. Yun, D. H. Kim, Y. K. Oh, H. S. Shin, and K. W. Jung, "Application of a novel enzyme pretreatment using crude hydrolytic extracellular enzyme solution to microalgal biomass for dark fermentative hydrogen produc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Hydrogen Energy, Vol. 159, 2014, pp. 365-37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