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플라즈마의 바이오 분야 응용에 관한 연구 동향 원문보기

인포메이션 디스플레이 = Information display, v.15 no.3, 2014년, pp.18 - 25  

서정현 (인천대학교 전자공학과)

초록이 없습니다.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원고에서는 플라즈마를 바이오 분야에 응용하기 위해서 필요한 안정성 문제와 플라즈마를 활용한 연구 성과들에 대해서 살펴보고 플라즈마 분야의 바이오 응용 가능성에 대해서 검토해 보고자 한다.

가설 설정

  • Collins 교수 연구진에서는 대기압 플라즈마를 이용하여 배양액 속에 황색포도상구균을 30초 안에 세정할 수 있었으나, 진피세포상에서는 효과가 크게 떨어짐을 확인하였다. 그 원인을 피부 구획의 불규칙한 표면이 박테리아로부터 가스플라즈마를 차폐할 수 있다는 가정 하에, 액체 플라즈마를 활용하면 이러한 틈새에 훨씬 접근이 용이하며, 액체 플라즈마의 높은 라디칼 밀도가 살균 효과를 높일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하고 실험을 수행하였다. 그림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2분 안에 박테리아의 비활성화가 급격히 이루어짐을 확인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플라즈마의 바이오 응용은 플라즈마의 어떤 특성을 활용하고자 하는가? 플라즈마는 오래 전부터 의학용 장비의 세정이나 식품 산업에서 패키징의 세정, 또는 혈액응고 등에 부분적으로 활용되어 왔다. 이것은 플라즈마가 박테리아를 살균하는데 매우 효과적이며, 좁은 영역에 쉽게 접근할 수 있는 장점을 활용한 것이다. 최근에는 플라즈마의 이러한 특성을 활용하여 환경(대기, 물) 오염을 해결하는 부분이나 바이오 응용에 많은 관심이 대두되고 있다.
바이오 응용을 위한 플라즈마로는 어떤 것들이 활용되고 있는가? 바이오 응용을 위해서는 대체로 40℃ 이하의 낮은 온도에서 동작하는 플라즈마가 요구되며, 대기압 플라즈마나 액체 플라즈마가 활용되고 있다. 최근에 40℃이하의 냉대기압 플라즈마(cold atmospheric plasma)가 개발되어 살아있는 세포에 플라즈마 처리를 할 수 있는 가능성이 열렸다.
액체 플라즈마는 어떤 분야에 응용되는가? [6] 또한 생성된 종들의 밀도는 기체상태와 비교하여 104배 정도의 매우 높은 밀도를 갖는다. 따라서 액체 플라즈마는 수술(surgery), 유기물 분해, 수질 처리 등과 같은 다양한 분야에 응용 된다. 많은 용액 중에서도 saline용액은 인체의 수액과 동일하기 때문에 생의학적(biomedical) 응용분야에 매우 중요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Foster JE, Weatherford B, Gillman E, Yee B, Plasma Sources Sci. Technol. 19, 025001(2010) 

  2. Stalder K R, McMillen D F, and Woloszko J, J. Phys. D:Appl. Phys. 38, 1728(2005) 

  3. Deng X, Shi J J and Kong M G, J. Appl. Phys. 101, 074701(2007) 

  4. Farin G., and Grund K. E, Endosc. Surg. Allied Technol. 2, 71-77(1994) 

  5. Lee H. W., Kim G. J., Kim J. M., Park J. K., Lee J. K. and Kim G. C., J. Endod. 35, 587-591(2009) 

  6. Kanazawa. S, Kawano H., Watanabe S., Furuki T., Akamine S., Ichiki R., Ohkubo T., Kocik M., Mizeraczyk J, Plasma Sources Sci Technol 20, 034010(2011) 

  7. E. Stoffels, A. J. Flikweert, W. W. Stoffels, and G. M. W. Kroesen, Plasma Sources Sci. Technol., 4, 383-388(2002) 

  8. J. Park, I. Henins, H. W. Herrmann, G. S. Selwyn, and R. F. Hicks., J. Appl. Phys., 89(1), 20-28(2001) 

  9. X. P. Lu, and M. Laroussi,J. Phys. D: Appl. Phys., 36(6), 661-665(2003) 

  10. J. Toshifuji, T. Katsumata, H. Takikawa, T. Sakakibara, and I. Shimizu, Surf. Coat. Technol., 171(1-3), 302-306(2002) 

  11. S. Y. Moon and W. Choe, Spectrochimica Acta B - Atomic Spectroscopy, 58(2), 249-257(2003) 

  12. M. Baeva, A. Dogan, J. Ehlbeck, A. Pott, and J. Uhlenbusch, Plasma Chem. Plasma Process., 19(4), 445-466(1999) 

  13. O. Motret, C. Hibert, S. Pellerin, and J. M. Pouvesle, J. Phys. D: Appl. Phys., 33(12), 1493-1498(2000) 

  14. A. A. H. Mohamed, R. Block, and K. H. Schoenbach, IEEE Trans. Plasma Sci., 30(1), 182-183(2002) 

  15. E. Stoffells, A. J. Flikweert, W. W. Stoffells, and G. M. W. Kroesen, Plasma sources Sci. Technol., 4, 383-388(2002) 

  16. E. Stoffels, I. E. Kieft, and R. E. J Sladek, J. Phys. D: Appl. Phys., 36, 2908-2913(2003) 

  17. C.Polk, IEEE Trans. Plasma Sci., 28, 6-14 (2000) 

  18. Barry Halliwell and John M. C. Gutteridge, Oxford University Press, New York (1999) 

  19. Stefan A. J. Coolen, Ph.D thesis, Eindhoven University of Technology, Eindhoven(2000) 

  20. E. Straface, P. Ulderico Giacomoni, and W. Malorni, J. Photochem. Photobiol. B, 63(1-3), 52-60(2001) 

  21. A. Hsieh, H. Chang, and C.Hsu,J. Phys. D: Appl. Phys. 45, 415202(2012) 

  22. M. Y. Choi, S. K. Kang, I. G. Koo, J.H.Cho, J.C. Jung, G.J.Collins, IEEE Trans. Plasma Sci., 41(4), 907-914(2013) 

  23. D. V. Palanker, A. Vankov, and P. Huie, IEEE Trans. Biom. Eng., 55(2), 838-841 (2008) 

  24. C. J. Slager, C. E. Essed, J. C. H. Schuurbiers, N. Bom, P. W. Serruys, and G. T. Meester, J. Am. Coll. Cardiol., 5(6), 1382-1386(1985) 

  25. P.Y.Kim, Y.Kim, I.G.Koo, J.C.Jung, G.J.Kim, M.Y.Choi, Z.Yu., G.J.Collins, PLoS ONE:www.plosone.org, 6(8), e24104(2011)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