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새만금 방조제 내측과 외측 조하대 대형저서동물의 생태학적 연구
An ecological study on subtidal macrobenthos inside and outside of Saemangeum dike 원문보기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v.28 no.4, 2014년, pp.442 - 449  

김종춘 (순천향대학교 해양생명공학과) ,  마채우 (순천향대학교 해양생명공학과) ,  복영욱 (순천향대학교 해양생명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새만금 지역에 서식하는 조하대 대형저서동물의 계절별 종조성과 양적 변화를 조사하여 저서동물의 주요 종 분포와 군집 변화양상을 파악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전체 종수는 총 64종이었으며, 분류군별로는 환형동물(Annelida)이 34종 출현하여 전체의 53.0%를 점유 하였으며, 절지동물(Arthropoda)과 연체동물(Mollusca)이 각각 12종 출현하여 18.8%을 차지하였으며, 기타동물(Other)이 6종으로 9.4%를 점유하였다. 개체수는 총 24,885개체로 단위 면적당 개체수는 4147.5개체/$m^2$였으며, 이중 환형동물이 19,805개체로 79.6%를 나타냈고, 연체동물이 4,620개체로 18.5%, 기타 295개체 1.19%, 절지동물 165개체 0.7%를 차지하였다. Bray-Curtis 유사도(Similarity)를 분석한 결과, 새만금방조제를 기준으로 내측과 외측의 2개 그룹(A, B)으로 구분되어 나누어졌다. 또한, nMDS분석 결과와도 일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저서오염지수(BPI)를 이용한 저서동물의 군집 분석결과, 각 정점별 지리적 위치, 내측 및 외측에 있어 뚜렷한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계절별로는 3월에 가장 양호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measure the seasonal changes in community structure and species composition of marobenthos on the subtidal area of Saemangeum regions. The macrobenthos comprised 64 species were during this study, predominately annelids (53.0%), arthropods (18.8%), mollusks (18.8%) and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 지역인 새만금 해역은 방조제 건설로 인하여 생태적인 변화가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을 것으로 판단되어 환경적으로 매우 중요한 특성을 나타내고 있는 곳이다. 따라서, 새만금 방조제를 기준으로 내측과 외측 조하대 대형저서동물 군집의 종수, 개체수 및 우점종, 생태학적 제지수, 군집구조, 섭식형태에 따른 저서오염지수 등을 분석하여 방조제 건설 이후 내측과 외측의 저서동물 분포양상 및 군집의 변동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방조제 내부의 저층이 저산소 혹은 무산소 환경에 이를 수도 있는 이유는? , 2008). 또한, 외해와 차단된 방조제 내부는 해수의 유동이 급속히 감소할 것이며, 이에 따라 수직 성층이 강화되어, 대기로부터 수층 깊숙이 공급되는 산소의 양이 감소된 상태에서 퇴적물 내 산소요구량이 증가하면, 저층은 저산소 혹은 무산소 환경에 이를 수도 있다(Wu 2002; Diaz et al., 1992).
방조제란? 방조제는 일반적으로 조석에 의한 해수면 상승을 방어하기 위한 시설로서 2003년 6월 새만금 4호 방조제가 연결되면서 내측에 위치한 북측해역의 조류세기는 그 전에 비해 큰 폭으로 감소되었고, 이는 갯벌을 포함하는 주변 해역의 퇴적환경을 변화시키는 것으로 연구된 바 있다(Koo et al., 2008).
저서동물 군집연구가 플랑크톤이나 어류 군집과 비교하여 해역의 환경을 모니터링하는데 활용할 수 있는 이유는? 방조제 공사가 저서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은 다양한 측면에서 살펴 볼 수 있는데, 방조제와 같은 대형 구조물은 해수유동을 바꾸며, 표층 퇴적상을 변화시킬 뿐만 아니라, 수층의 성층 정도를 바꾸고, 오염물질 유입과 희석률에 영향을 미쳐 직접적으로 혹은 간접적으로 저서동물 군집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Sanders, 1968; Lianso, 1992). 일반적으로 저서생물들은 이동성이 적어, 환경변화를 피할 수 없고, 비교적 오래 살며, 같은 장소에 계속해서 나타나는 경향이 있으므로, 환경변화가 왔을 때 군집 변화를 일으킬 가능성이 크며, 이러한 군집 변화를 살펴봄으로서 환경 변화의 방향과 세기를 가늠해 볼 수 있다(Boesch et al., 1976; Simboura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An, S.M., J.H. Lee, H.J. Woo, B.J. Koo, H.G. Lee, J.W. Yoo and J.G. Je(2006) Benthic Environment and Macrofaunal Community Changes During the Dike Construction in Saemangeum Subtidal Area, Korea. Ocean and Polar Research. 28(4): 369-383.(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 Arntz, W.E. and H.R. Rumohr(1982) An experimental study of macrobenthic colonization and succession, and the importance of seasonal variation in temperate latitudes. J. Exp. Mar. Biol. Ecol. 64: 17-45. 

  3. Bagheri, E.A. and D.S. McLusky(1982) Population dynamics of oligochaetes and small polychaetes in the polluted forth estuary ecosystem Neth. J. Sea Res. 16: 55-66. 

  4. Boesch, D.F., M.L. Wass and R.W. Virnstein(1976) The dynamics of estuarine benthic communities. 177-196. In: Estuarine Processes. Vol. 1. ed. by M.L. Wiley. Academic Press. New York. 

  5. Borja, A., I. Muxika and J. Franco(2003) The application of a marine biotic index to different impact sources affecting soft-bottom benthic communities along European coasts. Mar. Poll. Bull. 46: 835-845. 

  6. Bray, J.R. and J.T. Curtis(1957) An ordination of upland forest communities of southern Wisconsin. Ecol. Monogr. 27: 325-349. 

  7. Choi, J.W. and C.H. Koh(1992) The distribution and feeding guilds of the Polychaete Community in the west coast off Kunsan Korea. J. Oceanol. Soc. Kor. 27(3): 197-209.(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8. Choi, J.W. and C.H. Koh(1994) Macrobenthos Community in Keum-Mankyung-Dongjin estuaries and its adjacent coastal region, Korea. J. Oceanol. Soc. Kor. 29(3): 304-318.(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9. Choi, J.W. O.H. Yoo and Y.J. Lee(2003) The Summer Spatial Distributional Pattern of Macrobenthic Fauna in Gwangyaug Bay, Southern Coast of Korea. J. Oceanol. Soc. Kor. 8(1): 14-28.(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0. Diaz, R.J., R.J. Newbauer, L.C. Schaffiner, L. Phil and S.P. Baden(1992) Continuous monitoring of dissolved oxygen in an estuary experieing periodic hypoxia and the effect of hypoxia on macrobenthos and fish. 1055-1068. 

  11. Dobbs, F.C. and T.A. Scholly(1986) Sediment processing and selective feeding by Pectinaria koreni(Polychaeta: Pectinariidae). Mar. Ecol. Prog. Ser. 29: 165-176. 

  12. Fried, C.L.J., K.G. Harwood, S.J. Hall and J.A. Hall(2000) Long-term changes in the benthic communities on North Sea fishing grounds. ICES J. Mar. Sci. 57: 1303-1309. 

  13. KIOST(2011) Saemangeum coastal system research for marine environmental conservation. 893.(in Korean) 

  14. Koh, B.S., J.H. Lee. and J.S. Hong(1997) Distribution Patterns of the Benthic Macrofaunal Community in the Coastal Area of Inchon, Korea. The Sea Vol. 2. No. 1: 31-41.(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5. Koo, B.J., S.H. Shin, H.J. Woo, E.S. Kim and J.G. Je(2008) Changes in Macrobenthic Community Structure on Gunsan Tidal Flat after the Closing of the Saemangeum 4th Dyke Ocean and Polar Research. 30(4): 497-507.(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6. KORDI(1993) Marine environment assessment based on the benthic faunal communities. 95.(in Korean) 

  17. KORDI(1994) Marine environment assessment based on the benthic faunal communities. 244.(in Korean) 

  18. KORDI(1995) Marine environment assessment based on the benthic faunal communities. 339.(in Korean) 

  19. Lee, J.H., J.Y. Park, H.K. Lee, H.S. Park, and D.S. Kim(2003) Environmental Assessment of the Shihwa Lake by using the Benthic Pollution Index. Ocean and Polar Research. 25(2): 183-200.(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0. Lee, S.H.(2012) Spatial and Temporal Variation of Benthic Polychaetous Community in the offshore area outside Saemangeum Dike sine Saemangeum Dike Construction. Chonnam National Univ.(in Korean) 

  21. Lianso, R.J.(1992) Effects of hypoxia on esturaine benthos: the lower Rappahannock River(Chesapeak Bay), a case study. Estuar. Coast. Shelf. Sci. 35: 491-515. 

  22. Margalef. R.(1958) Information theory in ecology. Gen. Syst. 3:157-175. 

  23. Park, S.H.(2009) Macrobenthic community health assessment in the Saemangeum subtidal area using the benthic biotic index. Pusna Univ.(in Korean) 

  24. Pearson, T. and R. Rosenberg(1978) Macrobenthic succession in relation to organic enrichment and pollution of the marine environment. Oceanogr. Mar. Biol. Ann. Rev. 16: 229-311. 

  25. Pielou, E.C.(1975) Ecological diversity. Wiley. NewYork. 

  26. Sanders, H.L.(1968) Marine benthic diversity: A comparative study. Am. Nat. 102: 243-282. 

  27. Shannon, C.E. and W. Weaver(1949) The mathematical theory of communication. Univ. of Illinois Press. Urbana Illinois. 

  28. Simboura, N., A. Zenetus, P. Panayotides and A. Makra(1995) Changes in benthic community structure along anenvironmental pollution gradient. Mar. Pollut. Bull. 30: 470-474. 

  29. Taghon, G.L.(1992) Effect of animal diversity and supply of deposited and suspended food particles on feeding, growth and small-scale distributions of two spionid polychaetes. J. Exp. Mar. Biol. Ecol. 162: 77-95. 

  30. Willhelm, R. and T.J. Hilbish(1998) Assessment of natural selection in a hybrid population of mussel: evaluation of exogenous vs endogenous selection models. Mar. Biol. 131: 505-514. 

  31. Wu, R.S.S.(2002) Hypoxia: from molecular responses to ecosystem responses. Mar. Pollut. Bull. 45: 35-4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