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착유로봇 매니퓰레이터와 구동제어장치 설계
Design of Driving Control Unit and Milking Robot Manipulator 원문보기

Journal of the Institute of Electronics and Information Engineers = 전자공학회논문지, v.51 no.9, 2014년, pp.238 - 247  

신규재 (부산외국어대학교 디지털미디어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착유로봇 시스템은 움직이는 젖소의 유두 위치를 정확하게 검출해야 하고, 로봇 매니퓰레이터는 검출된 유두 위치값을 추적하여 착유컵이 유두에 장착하도록 제어되어야 한다. 제안된 착유로봇 매니퓰레이터는 위치검출 레이저 센서를 이용하여 유두를 스캐닝하고 임베디드 구동제어장치를 통하여 독립된 3축 브러쉬리스 서보 구동제어 메커니즘에 의하여 구현된다. 이 로봇 매니퓰레이터는 유두 위치검출용 레이저센서, 4개의 착유컵, 3축 x, y, z축의 매니퓰레이터, g축 방향 이송기능을 가진 유두인 식장치와 착유컵 구동장치, 임베디드 구동제어장치와 자동 밀크 제어라인으로 구성된다. 제안된 로봇시스템은 구동시스템 전체가 전기구동방식으로 설계되어 있기 때문에 구조가 간단하고, 저가로 제작이 가능하며, 구동시에 소음이 적기 때문에 젖소의 심적 안정성을 줄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설계된 로봇은 축산과학원 농장에서 젖소를 대상으로 실험을 실시하였으며, 실험결과에 의하여 설계사양의 성능조건이 만족됨을 확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milking robot system is very important to detect correctly the teats position in the moving condition of cow. Also, the robot manipulator must control tracking the teat cup to the detected teat position. The presented milking robot is designed using the one point laser sensor for teat position 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논문에서는 국내 농가의 국제 시장 경쟁력 강화, 농가의 착유작업의 해결, 젖소 복지를 고려한 착유 자동화, 자동화장비 도입에 따른 농가의 경제적 문제 해소를 위하여 착유로봇 국산화 탐색모델을 연구한다. 국내 농가에 적합한 저가 보급형의 착유로봇을 설계를 목표로 착유로봇의 매니퓰레이터와 임베디드 구동제어 시스템을 설계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착유자동화 로봇을 개발하여 보급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착유로봇 시설은 1990년대 초에 개발되어 2010년 세계 30여 개국에서 3,000여대가 사용 중에 있으며, 국내 농가에도 국외제품을 수입해서 약 90 농가에서 120대 정도 사용 중에 있는 도입 초기 단계이다. 축산 젖소농가에서 우유를 생산하는 작업은 농가 소득을 결정하는 가장 중요한 작업이다. 착유작업은 매일 2∼3회 반복되는 힘든 작업으로 젖소의 질병관리에도 중요하며, 농가의 소득을 결정하는 작업이다. 젖소관리 작업으로는 착유, 사료조리 및 먹이급여, 젖소관리 및 청소, 우유운반, 방목 및 청소 등이 있다. 특히 착유작업은 인력에 의존하는 작업으로 젖소 관리시간 중에 51.9%의 노동력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착유관련 작업의 완전 자동화가 절실히 필요한 실정이다[1~2]. 이러한 착유작업에 소요되는 노동력을 감소하기 위하여 네덜란드(Prolion, Gascoigne Melotte, Lely), 스웨덴(DeLaval, VMS), 일본(Orion), 프랑스(Cemagref), 영국(AFRC), 독일(Duveldrorf, Reonardo, FAL)에서 착유자동화 로봇을 개발하여 보급하고 있다[3~4].
국내에서 착유자동화시스템의 도입 기반이 조성되는 이유는 무엇인가? 국내 축산업은 노령화에 따른 노동력 감소문제와 국제적으로 WTO와 FTA에 의한 국내 시장개방으로 농가의 경쟁력 강화가 필요하며, 낙농 축산업의 자동화를 통한 생산성 향상과 원가절감이 필요하다. 또한 국내 젖소 낙농사업은 1997년 IMF이후 영세 농가가 감소하였고, 사육규모가 확대되어 대규모 형태의 전업화가 됨으로써 착유자동화시스템의 도입 기반이 조성되고 있다.
착유자동화 로봇이 도입된다면 농가에 어떠한 이점이 생기는가? 착유자동화 로봇을 도입 할 경우 노동비가 감소하고 생산성증가와 젖소관리의 편의성 때문에 수익 채산성이 있다고 판단되며 산유량 증가, 우유품질 향상효과와 젖소 건강관리에 용이한 장점을 가진다. 또한 1일3회 착유를 하면, 산유량이 경산우는 18%, 초산우는 25%가 증가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9)

  1. Y. U. Kim, "Dairy", Rural development agency, 2003. 

  2. D. Butler, L. Holloway, C. Bear, "The impact of technological change in diary farming : Robotic milking systems and changing role of the stockperson" Journal of the royal agricultrural society of England, Vol. 173, pp.1-6, 2012. 

  3. W. Kim and D. W. Lee, "Development of teat-cups attachment module for robot milking system", J. of biosystems Eng., Vol.30, No.3, pp.179-184, 2005. 

  4. D. J. Reinemann, P. L. Ruegg and M. A. Davis, "Assessment of robotic milking in wisconsin", The 2001 ASAE Annual international meeting, paper No. 013008, August 2001. 

  5. K. J. Shin, "Development of milking robot system" Report of Ministry of Agriculture and Forestry, suncheon first college, 2007. 

  6. C. W. Cho, "Design of a nonlinear multivariable self-tuning PID controller based on neural network" Journal of the IEEK, vol.44, SC no.6, pp.394-403, 2007.11 

  7. K. J Shin and D. J Kwon, "Milking automatic robot and milking automatic method", Patent no. 10-2007-0099351, Oct. 2007. 

  8. Y. Dote and S. Kinoshita, "Brushless Servo motors Fundamentals and application", Oxford, 1990. 

  9. I. Boldea and S. A. Nasar, "Electric drives", CRC press, 1999.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