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OpenFlow 기반 KREONET 가상 네트워크 플랫폼 연구
A Study on OpenFlow based Virtual Network Platform for KREONET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2 no.8, 2014년, pp.309 - 319  

석승준 (경남대학교 컴퓨터공학과) ,  정현욱 (경남대학교 컴퓨터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국제적으로 논의되고 있는 미래 인터넷의 핵심 특징 중의 하나는 네트워크 가상화 서비스 이다. 최근 논의되고 있는 네트워크 가상화 기술에는 네트워크 기능요소의 가상화와 가상 네트워크 서비스의 두 가지 접근 방법이 있다. 미국의 GENI를 비롯한 여러 국가의 연구망을 중심으로 미래 인터넷 기술을 실험하고 있으며 그 중 가상화 서비스가 주요 이슈에 포함되어 있다. 국내 대표적인 연구망인 KREOENT에서도 미래 인터넷 서비스 도입을 위한 단계로서 미래 인터넷을 위한 핵심 네트워크 모델인 SDN/OpenFlow의 가상화 모델을 사용하여 가상 네트워크 프레임워크 구축을 추진하고 있다. 이를 위해 본 논문에서는 KREONET에서 가상 네트워크 서비스를 도입하기 위한 단계적 모델을 제시한다. 먼저 KREONET 사용자의 가상 네트워크 서비스 요구사항을 분석하고, 요구사항을 만족시킬 수 있는 자원 관리 방안 및 가상 네트워크 구축 방안을 제시한다. 마지막으로 KREONET 가상 네트워크 모델의 타당성을 검증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Virtual Network service is a key characteristics of future Internet which is debate internationally. There are two kinds of network virtualization technologies considered lately: network functions virtualization and virtual network approaches. Several national wide research networks including US's G...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논문에서는 KREONET에서 가상 네트워크 서비스를 도입하기 위한 단계적 모델을 제시한다. 먼저 KREONET의 가상 네트워크 서비스 요구사항을 분석하고 요구사항을 만족시킬 수 있는 자원 관리 방안 및 가상 네트워크 구축 방안을 제시한다.
  • 국내에서 항상 선도적인 인터넷 기술을 도입해온 KISTI의 첨단연구망(KREONET)에서 가상화 플랫폼 도입을 본격적으로 준비하고자 본 연구에서는 OpenFlow 기반 가상화 네트워크 모델을 기반으로 KREONET 가상 네트워크 프레임워크 구축을 추진한다.
  • 본 연구에서는 가상화 네트워크 서비스를 KREONET 사용자들에게 동적으로 제공하기 위해 OpenFlow 네트워크 플랫폼으로 [Fig. 3]의 모델을 제안한다.
  • 논문에서는 앞서 제안한 OpenFlow 기반 KREONET 가상 네트워크 서비스 플랫폼에 대한 3단계 구축방안을 제안한다. 먼저 1단계 모델([Fig.
  • 16]은 KREONET의 OpenFlow 테스트베드 구성도 이다. 본 연구에서는 OpenFlow@KREONET의 가상 네트워크 서비스 타당성을 검증한다. 제어평면은 [Fig.
  • 본 논문에서는 OpenFlow@KREONET의 데이터 전송 성능을 검증하기 위하여 [Table 5]의 실험을 수행한다.

가설 설정

  • 가상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의 핵심 성능은 슬라이스 분할(Isolation) 성능이다. 가상 네트워크(슬라이스) 사용자는 독립된 물리 네트워크와 같은 성능을 망 서비스 제공자에게 요구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가상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분할 방식에는 어떤 종류들이 있는가? 가상 네트워크는 네트워크를 논리적으로 분할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네트워크 분할은 네트워크 장치를 논리적으로 분할하는 방식과 네트워크 장치에 입력되는 트래픽을 논리적으로 분할하는 방식이 있다. 또한 데이터 평면에서 트래픽을 직접 다루는 방법과 제어 평면에서 간접적으로 분할을 시도하는 접근 방법이 있다. 이 중 OpenFlow/SDN 기술은 제어평면에서 트래픽을 분할하는 방식으로 가상 네트워크 서비스를 구현한다.
SDN/OpenFlow 기술의 가장 큰 특징은 무엇인가? 특히, 최근에는 미래 인터넷을 위한 네트워크 기술로서 SDN이 적극적으로 고려되고 있다. SDN/OpenFlow 기술의 가장 큰 특징은 전체 혹은 일부 네트워크 영역 내 스위치들의 내부 제어 기능을 분리하여 집중화된 하나의 제어 노드에서 수행되도록 한다는 것이다. 또한 중앙 제어 노드는 네트워크 내 정보를 수집하고 스위치를 직접 제어할 수 있으며 기능 추가를 위한 오픈 인터페이스를 갖추고 있다.
가상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의 핵심 성능은 무엇인가? 가상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의 핵심 성능은 슬라이스 분할(Isolation) 성능이다. 가상 네트워크(슬라이스) 사용자는 독립된 물리 네트워크와 같은 성능을 망 서비스 제공자에게 요구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1)

  1. A. Lara, A. Kolasani, B. Ramamurthy, "Network Innovation using OpenFlow: A Survey," IEEE Communications Surveys & Tutorials, Vol. 16, Issue 1, pp. 493-512, 2014. 

  2. Pang-Wei Tsai, Yu-Ting Lai, Pei-Wen Cheng, Chu-Sing Yang, Mon-Yen Luo, "Design and develop an OpenFlow Testbed within virtualized architecture," in Proc. of APNOMS 2013, pp. 1-3, 2013. 

  3. N. McKeown, T Anderson, H. Balakrishnan, G. Parulkar, L. peterson, J. Rexford, S. Shenker, J. Turner, "OpenFlow: Enabling Innovation in Campus Networks," OpenFlow White Paper, Stanford Univ., 2009. 

  4. R. Sherwood, G. Gibb, K. Yap, G. Appenzeller, M. Casado, N. McKeown, G. Parulkar, "FlowVisor: A Network Virtualization Layer,"OpenFlow Technical Report 2009-01, Stanford Univ., 2009. 

  5. E. Salvadori, R. Doriguzzi Corin, A. Broglio, M. Gerola, "Generalizing Virtual Network Topologies in OpenFlow-Based Networks," in Proc. of GLOBECOM 2011, pp. 1-6, 2011. 

  6. S. Azodolmolky, R. Nejabati, Shuping Peng, A. Hammad, M.P. Channegowda, N. Efstathiou, A. Autenrieth, P. Kaczmarek, D. Simeonidou, "Optical FlowVisor: An OpenFlow-based optical network virtualization approach,"in Proc. of OFC/NFOEC 2012, pp. 1-3, 2012 

  7. B. Sonkoly, A. Gulyas, F. Nemeth, J. Czentye, K. Kurucz, B. Novak, G. Vaszkun, " OpenFlow Virtualization Framework with Advanced Capabilities," in Proc. of EWSDN 2012, pp. 18-23, 2012. 

  8. R. Doriguzzi Corin, M. Gerola, R. Riggio, F. De Pellegrini, E. Salvadori, "VeRTIGO: Network Virtualization and Beyond," in Proc. of EWSDN 2012, pp. 24-29, 2012. 

  9. N. B. Melazzi, A. Detti, G. Mazza, G. Morabito, S. Salsano, L. Veltri, "An OpenFlow-based testbed for information centric networking," in Proc. of FutureNetW 2012, pp. 1-9, 2012. 

  10. R. Narisetty, L Dane, A. Malishevskiy, D. Gurkan, S. Bailey, S. Narayan, S. Mysore, "OpenFlow Configuration Protocol: Implementation for the of Management Plane," in Proc. of GREE 2013, pp. 66-67, 2013. 

  11. P. Calyam, S. Rajagopalan, A. Selvadhurai, S. Mohan, A. Venkataraman, A. Berryman, R. Ramnath, "Leveraging OpenFlow for resource placement of virtual desktop cloud applications," in Proc. of IM 2013. pp. 311-319, 2013.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