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SNS를 이용한 POI 공간관계 데이터베이스 구축과 활용
Construction and Application of POI Database with Spatial Relations Using SNS 원문보기

한국공간정보학회지 = Journal of Korea Spatial Information Society, v.22 no.4, 2014년, pp.21 - 38  

김민규 (Dept. of GeoInformatic Engineering, Inha University) ,  박수홍 (Dept. of GeoInformatic Engineering, Inha University)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지도를 검색하는 사용자는 특정 장소에 대한 정식 명칭보다는 자신이 알고 있는 명칭이나 일반적으로 불리어지는 명칭을 이용해 검색을 수행하기 때문에 원하는 장소를 찾는데 빈번히 실패하게 된다. 또한 지도의 공간검색에 있어서 대표적인 웹 지도 서비스에서는 '근처'와 '주변'이라는 공간어휘를 가지고 공간상 인접 장소를 탐색하는데 2km 이상 떨어진 장소까지 검색되어 원하지 않는 위치의 장소 정보를 제공하기도 한다. 본 연구에서는 SNS 중 트위터를 이용하여 POI 데이터를 추출하고, 기구축되어 있는 기존POI로부터 공간관계를 구축해 사람이 인지할 수 있는 공간범위를 산정하였다. 그 결과, 다양한 장소 명칭을 획득하여 기존 POI 데이터의 다른 이름의 명칭으로 활용할 수 있었고, 기존에 없는 새로운 POI 데이터는 POI 변화가 많은 지역을 파악하는데 활용하여 POI 데이터 구축을 위한 지역선정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공간검색에 사용될 수 있는 다양한 공간어휘와 사람이 인지할 수 있는 공간범위를 이용해 보다 효율적인 공간검색을 수행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Since users who search maps conduct their searching using the name they already know or is commonly called rather than formal name of a specific place, they tend to fail to find their destination. In addition, in typical web map service in terms of spatial searching of map. Location information of u...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트위터 메시지에서 POI를 뜻하기 보다는 다른 의미로 활용되는 경우가 많은 이유는 무엇인가? POI는 다양하기 때문에 ‘친구, 오빠, 마음’과 같이 흔히 사용하는 단어를 포함하기도 한다. 그렇기 때문에 트위터 메시지에서 POI를 뜻하기 보다는 다른 의미로 활용되는 경우가 많다.
지도 서비스는 사용자에게 무엇을 제공하는가? 지도 서비스는 사용자에게 지리정보와 다양한 교통·생활정보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러한 서비스에서 지도검색의 기본적인 기능은 사용자가 알고자하는 지점의 명칭을 입력하면 검색된 결과를 지도에 표시하여 정보를 제공해주는 것이다.
POI 데이터 구축에는 적합한 지역선정이 필요한 이유는 무엇인가? 공간검색 에 있어서 기존에는 한정된 공간어휘를 이용해 광범위한 원의 형태로 검색했기 때문에 원하지 않는 위치의 정보를 제공받기도 한다. 또한 POI 데이터 구축에서는 데이터 취득에 많은 시간과 비용이 요구되기 때문에 적합한 지역선정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지리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SNS 데이터를 이용해 새로운 POI 데이터를 추출하고자 하며, POI간의 공간관계를 활용한 범위산출로 공간검색에서의 정보검색을 효율적으로 하고자 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Kim, K. R. 2012, Location Extraction from Meeting Announcements, KAIST, Master's Thesis. 

  2. Kim, J. H; Kim, H. C; Choi, Y. S. 2010, Feature Generation of Dictionary for Named-Entity Recognition based on Machine Learning, Journal of Information Management, 41(2):31-46. 

  3. Sin, E. K. 2005, A Study on Semantic Change of Spatial Vocabulary in Korean - focused on Locational Words, Korea University, Doctoral Thesis. 

  4. Yang, S. W; Lee, H. Y; Wang, J. H. 2009, A Point-Of-Interest Allomorph Database Construction System,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Scientists and Engineer, 36(3):226-235. 

  5. Oh, S. H. 2006, Infrastructure 21 Seminar - Current Situation of Construction and Future Direction of POI Data in Korea,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Human Settlements : planning and policy, 291(1): 152-157. 

  6. Lee, J. E; Shin, S. H; Hwang, H. S; Jeong, S. I; Kim, C. S. 2007, Service Model of Information Registration based on PoI in Life-GIS, Proc. of Korea Contents Association, Jun 16-20. 

  7. Lee, J. W. 2008, Which Direction Is the Opposite Side? The Ambiguity of Spatial Language and Communication Problems,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43(1):71-86. 

  8. Lee, H. Y; Kim, H. Y; Jeong, B. Y; Jang, D. J; Kim, K. H. 2011, The Growth of Social Media and Evolution of Online Social Relationship, Korea Information Society Development Institute. 

  9. Jang, B. T. 2007, Next-Generation Machine Learning Technologies, Communication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Scientists and Engineers, 25(3):96-107. 

  10. Jeong, S. J. 2011, A Study on Meaning Etension of Korean Spatial Language,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Doctoral Thesis. 

  11. Jo, S. W. 2011, Technology in Age of Big Data,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Doctoral Thesis. 

  12. Ek, T; Kirkegaard, C; Jonsson, H; Nugues, P. 2011, Named Entity Recognition for Short Text Messages, Proc. of International Conference of the Pacific Association for Computational Linguistics, p. 178-187. 

  13. Hong, L; Ahmed, A; Gurumurthy, S; Smola, A; Tsioutsiouliklis, K. 2012, Discovering geographical topics in the twitter stream, Proc. of th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World Wide Web, p. 769-778. 

  14. Kumar, S; Morstatter, F; Liu, H. 2013, Twitter Data Analytics, Database Management & Information Retrieval. 

  15. Mummidi, L. N; Krumm, J. 2008, Discovering points of interest from users' map annotations, GeoJournal, 72(3):215-227. 

  16. Nagarajan, M; Gomadam, K; Sheth, A. P; Ranabahu, A; Mutharaju, R; Jadhav, A. 2009, Spatio-Temporal- Thematic Analysis of Citizen Sensor Data: Challenges and Experiences, Proc. of International Conference on Web Information Systems Engineering, p. 539-553. 

  17. Rae, A; Popescu, A; Murdock, V; Bouchard, H. 2012, Mining the Web for Points of Interest, Proc. of International SIGIR Conference on Research and Development in Information Retrieval, p. 711-720. 

  18. Sakaki, T; Okazaki, M; Matsuo, Y. 2010, Earthquake Shakes Twitter Users: Real-time Event Detection by Social Sensors, Proc. of International Conference on World Wide Web, p. 851-860. 

  19. Kind Korean Morpheme Analyzer, http://kkma.snu.ac.kr. 

  20. CRFsuite, http://www.chokkan.org/software/crfsuite/benchmark.html 

  21. Twitter Developers, https://dev.twitter.com. 

  22. Twitter4j, http://twitter4j.org.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