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지상 LiDAR를 이용한 토공 사면의 안정성 평가
Evaluation for Earthwork Slope Safety Using Terrestrial LiDAR 원문보기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v.17 no.3, 2014년, pp.82 - 92  

김희규 (경남정보대학교 토목과) ,  노태호 (경남도립거창대학 토목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건설공사에서 흙을 주재료로 하는 비율은 상당히 많으며, 구조물의 형태 및 기초 등의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따라서 토공사회기반시설의 중요 구조물을 구성하고 이러한 구조물들은 시공 시행당시 보다 완성된 형태의 안정성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토공에서의 중요 부분을 차지하는 사면에 대한 안정성 평가 자료를 지상 LiDAR로 취득할 경우의 정확도, 경제성, 효용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현장 실험을 통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토털스테이션과 지상 LiDAR를 이용하여 관측한 결과, 수평위치오차 RMSE는 ${\pm}2.2cm$, 수직위치오차 RMSE는 ${\pm}3.0cm$로 분석되었으며, 공공측량 작업 규정의 허용범위와 비교한 결과 충분히 정확도를 확보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토공 사면의 안정평가 자료중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는 검토단면의 추출을 지상 LiDAR 자료를 이용함으로써 과학적이고 합리적으로 추출 할 수 있었으며, 이러한 추출 결과들은 토공 사면 안정평가자료에 중요한 기초자료로 제공되리라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ratio of using soil as the main material in construction is quite numerous, and it covers many parts in forms and bases of the structure. Thus, the earthwork forms many structures for social infrastructure, and the stability of these structures is most crucial when completed than under construc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하지만, 건설현장에서 필요로 하는 토공에 대한 공간적 자료 및 활용에 대한 연구가 더욱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토공에서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는 사면에 대한 공간 자료를 지상 LiDAR로 취득할 경우의 토털스테이션과의 비교 정확도를 분석하며, 속성자료를 통한 공간분석으로 사면 자료를 구축하여 토공 사면의 안정성 평가를 위한 전반적인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토공에서의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는 사면에 대한 안정성 평가 자료를 지상 LiDAR로 취득할 경우의 정확도 및 효용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현장 실험을 통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 지상 LiDAR를 이용하여 토공사면의 안정평가자료의 취득 및 활용성을 연구하기 위하여 토공 사면의 안정평가자료의 중요한 요소인 토공 사면 경사를 추출하였다. 횡단면의 설정 단면은 그림 11과 같으며 취득된 횡단면들중 한 개의 단면의 추출결과는 그림 12와 같이 정확하게 취득됨과 소요시간 또한 짧은 시간에 검출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토공이란 무엇인가? 토공이란 흙을 쌓거나 파는 것과 관련된 일, 목재, 철재, 석재, 흙, 시멘트 따위를 이용하여, 도로, 제방, 교량, 항만, 철도 등을 건설하고 유지하는 온갖 공사를 통틀어 이르는 말이라는 사전적 의미를 가지고 있다(The national institute of the korean language, 2013.).
TOF 방식이란 무엇이며, 어떻게 구성되는가? TOF 방식은 그림 1에서와 같이 송신된 레이저가 대상물의 표면에서 반사되어 되돌아오는 시간적 차이를 이용하여 거리를 계산하는 방식으로 송신부, 수신부, 처리부로 구성되어진다.
LiDAR는 측정 원리에 따라 어떻게 구분되는가? 또한 효율적인 3차원 위치정보의 획득을 위해서 레이저의 주사거리, 측정 정확도, 대상물의 규모, 스캐닝 속도 등을 고려하여 적합한 측정방식의 레이저 스캐너를 사용해야 한다. 측정원리에 따라 TOP(Time Of Flight) 방식, 위상변위방식, 삼각측량방식으로 구분된다. 이러한 측정원리는 거리 및 범위, 측정 정확도, 스캐닝 속도에 있어서 표 1과 같은 특징을 가진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Booth, A.M., J.J. Roering and J.T. Perron. 2009. Automated landslide mapping using spectral analysis and highresolution topographic data: Puget sound lowland, washington, and Portland, Oregon. Geomorphology 109:132-147. 

  2. Chang, K.T., J.R. Chang and J.K. Liu. 2005. Detection of pavement distress using 3D laser scanning technology. Computing in Civil Engineering 2005: 1-11. 

  3. Glenn, N.F. D.R. Streutkera, D.J. Chadwickb, G.D. Thackrayb, S.J. Dorschb and J.D. Stephen. 2006. Analysis of LiDAR-derived topographic information for characterizing and differentiating landslide morphology and activity. Geomorphology 73(1-2):131-148. 

  4. Han, D.Y., Y.W. Cho, Y.I. Kim and K.Y. Yu. 2003. 3D modeling of terrain objects according to the point densities of LiDAR dat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23(5D):711-717 (한동엽, 조영욱, 김용일, 유기윤. 2003. LiDAR 데이터의 정밀도에 따른 지물의 3D 모델링. 대한토목학회논문집 23(5D): 711-717). 

  5. Hudak, A.T., J.S. Evans and A.M.S. Smith. 2009. LiDAR utility for natural resource manager. Remote Sensing 1(4):934-951. 

  6. Jang, Y.G., Y.J. Kwak and I.J. Kang. 2006. GIS management on risk evaluation of a road slope using terrestrial LiDAR.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26(1):169-175 (장용구, 곽영주, 강인준. 2006. 지상 LiDAR를 활용한 접도사면 위험평가에 따른 GIS관리. 대한토목학회논문집 26(1):169-175). 

  7. Kang, Y.M. and J.M. Kang. 2006. The monitoring of sediments on the basin using LiDAR dat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24(1): 27-36 (강영미, 강준묵. 2006. LiDAR 자료를 이용한 유역의 퇴적물 모니터링. 한국측량학회지 24(1):27-36). 

  8. Korean Geotechnical Society. 1996. Handbook of Soil Mechanics and Foundation Engineering pp.1601-1610 (토질공학회. 1996. 토질공학 핸드북. 1601-1610쪽). 

  9. Lee, D.H., Y.S. Kim and Y.C. Suh. 2009. Analysis possibility of the landslide occurrence in Knagwon-Do using a high-resolution LiDAR-derived DEM. The Journal of GIS Association of Korea 17(3):381-387 (이동하, 김영섭, 서용철. 고해상도 항공라이다 DEM 해석을 통한 강원도 일원의 산사태 예측 가능성 분석. 한국GIS학회지 17(3):381-387). 

  10. Lee, I.J., D.H. Lee and Y.C. Suh. 2010. GIS-based analysis of the debris flow occurrence possibility using an airborne LiDAR DEM around Pyeongchang-Gun, Kangwon-Do.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13(4):50-66 (이인지, 이동하, 서 용철. 항공라이다 DEM을 이용한 강원도 평창군 일원의 GIS 기반의 토석류 발생가능성 분석. 한국지리정보학회지 13(4):50-66). 

  11. Lee, S.H. 2005. A study on measurement of rock slope joint using 3D image processing.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25(2):79-84 (이승호. 2005. 3차원 영상처리를 이용한 암반사면 절리 측정 연구. 대한토목학회논문집 25(2):79- 84). 

  12.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2006. Making a hazard map of road slope using GIS. pp.175-183 (건설교통부. 2006. GIS를 이용한 도로 접도 사면 재해 위험도 작성 연구보고서. 175-183쪽). 

  13. Oh, H.J. 2010.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geological event prediction model by geospatial correlative intergration. Ph.D.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Korea, pp.54-59 (오현주, 2010. 지공간 상관관계 통합기법을 이용한 지질현상 예측모델 개발 및 응용.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54-59쪽). 

  14. Razak, K.A., M.W. Straatsma, C.J. van Westen, J.P. Malet and S.M. de Jong. 2011. Airborne laser scanning of forested landslides characterization: terrain model quality and visualization. Geomorphology 126(1-2):186-200. 

  15. Sankey, J.B., N.F. Gelnn, M.J. Germino, A.I.N. Gironella, G.D. Thackray. 2010. Relationship of aeolian erosion and deposition with LiDAR-derived lavdscape surface roughness following windfire. Geomorphology 119(1-2):135-145. 

  16. Shin, I.Y., H. Mineo, K. Junji, A. Yukihide and N. Kenji. 2004. Measurement accuracy of airbone-scanning LiDAR on the Miho coast. Journal of the School of Marine Science and Technology 2(1): 31-39. 

  17. The National Institute of the Korean Language. 2013. Standard Korean Dictionary (국립국어원. 2013. 표준국어대 사전). 

  18. Tomoyo, T. and S. Tatsunori. 2010. A study on measurement possibility of road alignments by using airbone LiDAR. College of Science and Technology Nihon University. pp.435-436. 

  19. Walters, R.C. and E. Jaselskis. 2005. Using scanning lasers for real-time pavement thickness measurement. Computing in Civil Engineering 2005:1-11. 

  20. Wilson, D.J., Gallant, J.C. 2000. Digital terrain analysis. In : Wilson DJ, Gallant JC(eds) Terrain Analysis : Principles and Applications. Wiley, Newyork. pp.1-27. 

  21. Woo, C.S., H.J. Youn, C.W. Lee and K.S. Lee. 2011. Development of the topography restoration method for debris flow area using airborne LiDAR data.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14(3):174-187 (우충식, 윤호중, 이창우, 이규성. 2011. 항공 라이다 자료를 이용한 토석류 발생지역의 지형복원기법 개발. 한국지리정보학회지 14(3):174-187). 

  22. Yoich, M., I. Fumihiko, K. Syunich, N. Shingeru, K. Yoshiyuki and N. Kanzutaka. 2007. Application of highresolution topographic model for design and planning of tsunami countermeasure and its required condition. JSCE Journal of Coastal Engineering 54: 1371-1375. 

  23. Yoo, C.H., Y.S. Choi and J.M. Kim. 2008. Analysis of slope fracturing using a terrestrial LiDAR. The Journal of GIS Association of Korea 16(3):279-290 (유창호, 최윤수, 김재명. 2008. 지상라이다를 이용한 사면파괴 거동분석. 한국GIS학회지 16(3):279-290). 

  24. Yoon, H.C. and J.K. Park. 2007. A study on the construction of 3D GIS DB by Lidar.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10(2):171-182 (윤희천, 박준규. 2007. LIDAR에 의한 3차원 GIS DB 구축에 관한 연구. 한국지리정보학회지 10(2):171-182). 

  25. Yun, D.G., D.H. Jeong, J.G. Sung and S.H. Lee. 2006. A study for measuring of cross slope using instrument vehicle with multiple sensor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Road Engineers 8(2):105-116 (윤덕근, 정동훈, 성정곤, 이상화. 2006. 센서를 장착한 차량을 이용한 도로 횡단경사 측정에 관한 연구. 한국도로학회지 8(2):105-11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