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성인의 타액 내 구강세균 검출과 위험요인에 관한 연구
Study on Detection of Oral Bacteria in the Saliva and Risk Factors of Adults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5 no.9, 2014년, pp.5675 - 5682  

홍민희 (백석대학교 치위생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구강질환은 단독 진행만이 아닌 혼합감염증으로 발생하므로 치아우식증치주질환에 관여하는 원인 균주들의 명확한 분석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치아우식증 및 치주질환의 원인균으로 잘 알려져 있는 세균을 검출하기 위해 타액을 채취하였다. 성인의 연령, 흡연 및 음주, 질병유무에 따른 구강세균분포 차이를 보고 구강세균의 위험요소를 확인하고자 한다. 본 연구 대상은 20대 이상 65세 미만 성인 120명을 대상으로 2014년 3월 15일 - 5월 10일까지 조사하였다. 타액 내 gDNA를 추출 후 PCR 방법을 이용하여 구강질환의 균 분포도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S. mutans는 72명, P. intermedia 88명, S. mutans와 P. intermedia 균이 모두 검출된 성인은 54명, 구강세균이 검출되지 않은 성인은 14명으로 나타났다. 구강세균의 위험 요소 결과, 흡연자는 비흡연자에 비해 S. mutans 2.8배, P. intermedia 3.5배 더 높게 나타났다. 음주자는 비음주자에 비해 S. mutans 검출 위험도가 3.3배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전신질환자는 정상인에 비해 P. intermedia 검출된 위험도가 4.1배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흡연, 음주, 전신질환은 구강 내 세균 검출위험도가 높은 인자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연령이 증가할수록 치주질환 세균이 더 많이 검출되었으며, 20대는 치아우식증과 치주질환이 공존하는 연령대인 만큼 구강세균의 분포가 더 두드러지게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구강세균이 검출된 성인은 치아우식증과 치주질환에 이환될 위험도가 그만큼 높다고 볼 수 있으므로, 구강환경을 청결히하고 정기적인 치과방문을 통해 구강질환을 예방해야 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s oral diseases are developed by mixed infections, not by any single element, an accurate analysis of the causative microorganisms related to dental caries and periodontal diseases is required. In this study, saliva was collected from selected adults to determine if the bacteria that are well know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구강질환을 일으킬 수 있는 구강 내 세균을 검출하는 것은 구강건강 예방에 큰 의미가 있다고 본다. 따라서 본연구는 성인의 치아우식증 및 치주질환의 원인균을 검출 하기 위하여 타액을 채취하였다. 또한, 성인의 연령, 흡연, 음주 및 질병에 따른 구강세균검출의 차이를 살펴보 고, 구강세균의 검출 위험 요인을 확인하고자 한다.
  • 따라서 본연구는 성인의 치아우식증 및 치주질환의 원인균을 검출 하기 위하여 타액을 채취하였다. 또한, 성인의 연령, 흡연, 음주 및 질병에 따른 구강세균검출의 차이를 살펴보 고, 구강세균의 검출 위험 요인을 확인하고자 한다.
  • 또한, 흡연, 음주 및 전신질환에 따른 구강세균의 위험 요인에 대하여 살펴보고자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구강질환은 발생하기 전에 원인 균주를 억제하여 예방하는 것이 중요한 이유는 무엇인가? mutans는 사람의 우식병소에서 거의 100% 검출되며, 우식이 발증하면 그 수도 증가하므로 인간의 우식 원인균으로 가장 주목받고 있다[9]. 성인의 치주질환을 일으키는 주요한 원인균주 중에 하나인 P. intermedia균이 존재할 경우 비외과적인 치주치료를 하여도 예후가 좋지 않다고 보고되었다. 그러므로, 구강질환은 발생하기 전에 원인 균주를 억제하여 예방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타액은 어떤 역할을 하는가? 타액은 구강건강의 유지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며, 타액 내에는 약 500종 이상의 세균이 존재한다 [1]. 타액은 구강세균의 활동을 조절함으로써 구강에 나타나는 세균의 종류를 결정하는데 중요한 인자이다.
구강영역에서 미생물 감염에 의해 발생하는 대표적 질환은 무엇인가? 구강영역의 치아우식증과 치주질환은 미생물 감염에 의해 발생하는 대표적 질환이다[3]. 치아우식증은 숙주요인, 병원체요인, 식이요인 및 시간요인 등의 복합적인 원인에 의해 발병 및 진행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P. N. Papapanou. "Population studies of microbial ecology in periodontal health and disease". Ann Periodontol, 7(1), pp. 54-61, 2002. DOI : http://dx.doi.org/10.1902/annals.2002.7.1.54 

  2. S. H. Jung, Q. S. Auh, Y. H. Chun, J. P. Hong. "The Effect of S. thermophilus Isolated from Saliva Treated with Phytoncide on P. gingivalis". Korean Acad Orofacial Pain and Oral Med, 34(1), pp. 23-37, 2009. 

  3. K. H. Kang, Y. K. Kim, H. S. Lee, "Ingnyol Jin. Analysis of Gene Expression in response to acid stress of Streptococcus mutans Isolated from a Korean Child".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0(10), pp. 2990-6, 2009. 

  4. R. A. Whiley, D. Beighton. "Current classification of the oral streptococci". Oral Microbiol. Immunol, 13(4), pp. 195-216. 1998. DOI: http://dx.doi.org/10.1111/j.1399-302X.1998.tb00698.x 

  5. W. J. Loesche. "The identification of bacteria associated with periodontal disease and dental caries by enzymatic methods". Oral Microbiol immol, 1(1), pp. 65-72. 1986. 

  6. C. S. Kim, J. G. Kim, Y. M. Yang et al. "Detection of salivary Streptococcus mutans levels using monoclonal antibiodies". J Korean Acad Pediatr Dent, 37(2), pp. 186-192, 2010. 

  7. M. J. Lee. The comparison of the characteristics of Streptococcus mutans isolated from caries free and high caries children[Doctor's thesis] Chonju: Univ. of Chonbuk. 2014. 

  8. P. M. Loomer. "Microbiological diagnostic testing in the treatment of periodontal diseases". J Periodontol, 34(1), pp. 49-56, 2004. DOI: http://dx.doi.org/10.1046/j.0906-6713.2002.003424.x 

  9. M. D. Han, Y. K. Kim. Oral microbiology. Seoul. Komoonsa 4nd. pp. 300, 2010. 

  10. S. S. Socransky, A. D. Haffajee, M. A. Cugini, C. Smith, R. L. Kent. "Microbial complexes in subgingival plaque". J Clin Periodontol, 25, pp. 134-144, 1998. DOI: http://dx.doi.org/10.1111/j.1600-051X.1998.tb02419.x 

  11. B. K. Choi, S. H. Park, Y. J. Yoo ett al. "Detection of major putative periodontopathogens in Korean advanced adult periodontitispatients using a nucleic acid-based approach". J Periodontol, 71, pp. 1387-1394, 2000. DOI: http://dx.doi.org/10.1902/jop.2000.71.9.1387 

  12. M. D. Han, Y. K. Kim. Oral microbiology. Seoul. Komoonsa 4nd. pp. 17-29, 2005. 

  13. M. Okada, F. Hayashi, N. Nagasaka. "PCR detection of 5 putative periodontal pathogens in dental plaque samples from children 2 to 12 years of age". J Clin Periodontol, 28(6), pp. 576-582, 2001. DOI: http://dx.doi.org/10.1034/j.1600-051x.2001.028006576.x 

  14. S. M. Kim, K. H. Yang, N. K. Choi, M. S. Kang, J. S. Oh. "Quantitative Detection of periodontopathiic bacteria using real-time PCR". J Korean Acad Pediatr Dent, 35(3), pp. 494-503, 2008. 

  15. M. H. Choi, S. Y. Yoo, D. W. Kang, C. K. Lim, J. K. Kook. "Nested PCR for the Detection of Streptococcus mutans". The Korean Journal of Microbiology, 42(1), pp. 19-25, 2006.  

  16. S. Eick, W. Pfister. "Comparison of microbial cultivation and a commercial PCR based method for detection of periodontopathogenic species in subgingival plaque samples". J Clin Periodontol, 29(7), pp. 638-644. 2002. DOI: http://dx.doi.org/10.1034/j.1600-051X.2002.290708.x 

  17. J. H. Yun, J. E. Park, D. I. Kim, S. I. Lee, S. H. Choi, K.. S. Cho, D. S. Lee. "Identification of putative periodontal pathogens in Korean chronic periodontitis patients". J Periodontal Implant Sci, 38(2), pp. 143-152, 2008. 

  18. J. I. Lee. Correlation co-efficiency between the caries incidence and the periodontal status in Korea[Master's thesis]. Chungnam: Univ. of Dankook. 2005. 

  19. J. O. Jung, J. Y. Chun, K. H. Lee. "The relationship between smoking and periodontal diseases in korean adults:based on the data from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10". J Korean Soc Dent Hyg, 13(3), pp. 483-9, 2013. DOI: http://dx.doi.org/10.13065/jksdh.2013.13.3.481 

  20. I. S. Park, S. H. Lee, H. J. Youn. "A comparatives study on oral environment between smokers and non-smokers". J Dent Hyg Sci, 8(3), pp. 139-46, 2008. 

  21. N. Suzuki, A. Yoshida, T. Saito, M. Kawada, Y. Nakano. "Quantitative microbiological study of subgingival plaque by realtime PCR shows correlation between levels of Tannerella forsythensis and Fusobacterium spp". J Clin Microbiol, 42(5), pp. 2255-2257, 2004. DOI: http://dx.doi.org/10.1128/JCM.42.5.2255-2257.2004. 

  22. B. Klock, M. Svanberg, L. G. Petersson. "Dental caries, mutans streptococci, lactobacilli, and saliva secretion rate in adults". Community Dent Oral Epide, 18(5), pp. 249-252, 1990. 

  23. M. H. Yoo. The effects of smoking on oral mucosa. The Journal of Namseoul Univ, 10, pp. 229-468, 2004. 

  24. R. C. Page, J. D. Beck. "Risk assessment for periodontal diseases". Int Dent J, 47(2), pp. 61-87, 1997. DOI: http://dx.doi.org/10.1111/j.1875-595X.1997.tb00680.x 

  25. A. D. Haffajee, S. S. Socransky. "Relationship of cigarette smoking to subgingival microbiota". J Clin Periodontol, 28(5), pp. 377-388, 2001. DOI: http://dx.doi.org/10.1034/j.1600-051x.2001.028005377.x 

  26. D. H. Han, J. B. Kim. "The association between smoking and periodontitis: findings from the korean national oral health survey 2006". J Korean Acad Dent Health, 33(4), pp. 634-43, 2009. 

  27. N. L. Thenisch, L. M. Bachmann, T. Imfeld, T. L. Minder, J. Steurer. "Are Mutans Streptococci Detected in Preschool Children a Reliable Predictive Factor for Dental Caries Risk? A Systematic Review", Caries Res, 40(5), pp. 366-374, 2006. DOI: http://dx.doi.org/10.1159/00009428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