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건축물 외장재의 사용 현황과 친환경 성능
Usage Status and Environmental Sustainability Guidelines for Building Exterior Materials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5 no.9, 2014년, pp.5861 - 5869  

박종수 (인하공업전문대학 건축과) ,  고훈범 (인하공업전문대학 건축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외장재에 대한 기존의 연구는 디자인 측면에서 계획적인 접근이 많아 외장재의 성능보다 외장재의 색채나 질감 등에 초점을 맞춘 연구가 많았으며 용도에 따른 공학적인 접근에서는 환경과 설비, 화재 구조 등 일반적인 연구 주제들에 국한되어 건물 유형에 적합한 외장재 선정과 성능제시에 관한 연구는 많지 않았다. 물론 최근 환경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친환경적인 관점에서 건축물 외장재의 연구가 이루어지고는 있으나 친환경적인 외장재 선택에 대한 실무적인 관점에서의 연구는 초보적인 단계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최근 10여 년간 국내에서 사용된 외장재에 대한 사용 현황을 분석하고 건물용도별 외장재의 특성과 친환경적인 요소를 도출하여 향후 국내 건설업체 및 설계사무소 등이 친환경적이면서 성능이 적합한 외장재를 선택할 수 있도록 기본적인 정보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외장재 사용현황은 정량적인 빈도수 분석, 친환경 성능은 복합적인(정성+정량) 분석을 통하여 이루어 졌다. 조사된 건물의 외장재종류 개수의 평균은 2.59개로 나타났으며 유리, 금속, 석재, 수지, 시멘트, 목재, 점토 순서로 많이 사용되고 있었다. 4개의 친환경 외장재 특성에 의거하여 5종류의 고친환경재료를 선정하였으며 8가지 친환경적인 요소를 제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Existing studies of building exterior materials have focused on the colors or textures of cladding, and in terms of a design planning approach, have focused on the use of the environment and equipment and fire safety topics from an engineering perspective. As a result, little research has been done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2. 또한 다음과 같이 친환경적인 외장재 특성을 파악하고 외장재로 가장 많이 사용하는 재료들의 친환경성을 평가하였다. 그리고 가장 친환경이 높은 재료를 찾아내고 정량적인 값을 제시하였으며 외장재의 친환경적인 요소를 도출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내 건설업체 및 설계사무소 등이 친환경적이고 성능이 적합한 외장재를 선택할 수 있도록 기본적인 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기존에 시공된 다수의 건축물에 반영된 외장재의 현황을 파악하고 다양한 건축물의 특성에 맞는 친환경적인 외장재의 요소를 도출하여, 건축물의 외장재가 가져야할 친환경적인 성능 및 요소를 제시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건축물의 외장재는 재료구성, 구조, 제조방식에 따라 어떻게 구분되는가? 재료구성에 의한 방법으로 무기질재료(광물: 천연석재, 콘크리크, 유리, 벽돌, 금속: 금속류)와 유기질 재료(목재, 역청, 플라스틱)로 구분할 수 있으며, 구조적으로는 무형재료(유리, 플라스틱, 역청), 결정성재료(금속류, 점토, 벽돌), 섬유재료(목재)로도 구분할 수 있다. 또한 생산 방식에 따라 천연재료와 인공재료로도 구분이 가능하다.
국내에서 건축물 외장재에 대한 연구들이 활발하게 이루어지는 이유는 무엇인가? 국내에서도 건축물 외장재에 대한 연구들은 활발하게 이루어져 왔다. 외장재가 건축 공사비에 차지하는 비중이 적지 않으며 우리나라의 경제적인 발전과 더불어 고급 외장재에 대한 수요가 계속적으로 증가해 왔기 때문이다. 이러한 연구의 대부분은 실제적으로 외장재를 개발하고 판매하는 관련회사에서 자체적으로 자사 제품에 대한 연구로 한정되어 이루어져 왔다.
이세현은 친환경 건설재료를 어떻게 정의했는가? 이는 친환경 개념이 너무 포괄적이고 보는 관점에 따라 다르며 매우 다양한 재료와 제품이 건축재료로 사용되기 때문이다. 이세현은 친환경 건설재료로 “자원과 에너지 소비를 줄이고, 자연환경을 보전하며, 쾌적한 거주환경의 조성을 통하여 지속가능한 건설산업구현에 사용되는 건설재료 및 자재”라고 정의하였으며 저에너지형, 환경부하저감형, 첨단기능성 건설재료로 분류하였다[12]. 친환경과 유사한 개념으로 “지속가능한(sustainable)”이라는 용어를 사용하는데 제이슨맥레넌은 “지속 가능한 설계란 건축환경의 기능과 효용을 극대화하면서, 건축환경이 자연환경에 미치는 악영향이 전혀 없거나 최소화하기 위한 설계 철학이다”라고 정의하였으며 외장재와 관련된 지속가능한 설계요소기술로서 풍력발전, 건물일체형 태양광발전 (BIPV, Building integrated photovoltaic), 휘발성 유기화합물(VOCs) 저함유 도장재와 마감재, 친환경인증목재, 슈퍼글래이징(특수유리창)을 추천하고 있다[1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S. H. Shin, "A study on the exterior materials of super high rise housing in New York city", Proc. of Spring Conference of the Korean Housing Association, Vol.13, pp. 97-102, 2002.11 

  2. B. S. Kang, "An analytic study on the Image of the exterior wall materials",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Vol.2, No.6, pp.115-123, Dec., 1986 

  3. B. H. Lim, S. H. Kim, "A fundamental study on the effective selection of external materials on building design",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Vol.18, No.7, pp.43-50, July, 2002 

  4. S. M. Kang, A study on the trend and characteristics of the materials for the outer wall of modern low-rise commercial buildings, master thesis, department of architecture, Changwon national university, January, 2011 

  5. J. H. Kim, T. G. Lee, K. M. Kim, J. S. Kim, "A case study on the domestic passive house through application of the Germany passive house standards" Proc. of autumn Conference of the Korea institute of ecological Architecture and environment, Vol.10, No.1, pp.19-22, 2010 

  6. H. T. Seok, J. N. Jung, S. Y. Song, "A study on the evaluation of the heat transmission performance and improvement of thermal insulation of stone finished curtain wall system",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Vol.23, No.4, pp.209-216, April, 2007 

  7. C. M. Lim, Study on design & construction methods for exterior remodeling of office buildings, master thesis, Department of architectural engineering, Korea university, June, 2011 

  8. B. H. Kang, A Study on the evaluation system of the green-building certifications for energy conservation in apartment housing, Ph.D. thesis, Department of architectural engineering,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August, 2010 

  9. S. S. Jung, Application and evaluation of green building technologies for buildings approved by local building committee of the city of Ansan, master thesis, Graduation school of Innovation, Hanyang university, 2013 

  10. W. J. Park, J. H. Shin, J. Y. Ha, K. U. Na, M. J. Sung, H. S. Lee, "Developing Korean Building Codes-Material and Construction (KBC-MC) focus on Building Materials Design Code", Proc. of Spring Conference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Vol.33, No.1, pp.139-140, April, 2013 

  11. M. Hegger, H. Drexler, M. Zeumer, Basics materials(Korean version), p. 27-32, spacetime, 2012 

  12. S. H. Lee, "Futuristic environment friendly construction material",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pp.38-41, 2011.4 

  13. J. F. Mclennan, translated by O. H. Jung, The Philosophy of sustainable design, Vizandbiz, p.29, 2005.5 

  14. Samwoo, Sustainable Building Strategies & Design Methods, Yalemedia, 10-15, 373-384, 2008.5 

  15. Samwoo, Cladding selection standard report, Samwoo, 2007.1 

  16.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Project report", Architectur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Jan. 2004-Dec. 2013 

  17. The Korea institute of building construction, "Record of construction", Building construction, The Korea institute of building construction, Jan. 2001-Dec. 2013 

  18. The Korea institute of building construction, "Construction site visit", Building construction, The Korea institute of building construction, Jan. 2001-Dec. 2013 

  19. H. G. Jeong, Study on the measurement and verification methods of building energy performance, master thesis, Graduation school of Sungkyunkwan university, 2012.10 

  20. Y. C. Kwon, "Eco-friendly insulation to save for building energy", workshop of Korea green building council, pp.89-101, 2009 

  21. S. Y. Song, " Low-carbon green building and skin facade system", Samsung construction technology, 2009 special issue, Vol.61, pp.24-27, 2009.1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