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맞음새 관련 요인과 의복평가기준이 의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체형, 치수중요성, 활동중요성을 중심으로-
Effects of Fit-Related Factors and Clothing Evaluation Criteria on Clothing Satisfaction 원문보기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Community Living Science, v.25 no.3, 2014년, pp.373 - 382  

박선미 (건국대학교 패션디자인전공) ,  안은정 (건국대학교 패션디자인전공)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explored the relationship of fit-related factors and, clothing evaluation criteria to clothing satisfaction. A total of 247 completed responses were obtained from a convenient sample of female students in their twenties. The statistical analysis methods included factor analysis, an A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3) 의복평가기준, 체형지각, 치수중요성, 활동중요성이 의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다.
  • 2004).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체형이라는 변수를 활용하되 보다 중요한 것으로 평가된 지각체형의 관점에서 연구를 진행하고자 한다.
  • 향후 의복평가에 있어서 의복의 활동성을 실증적 소비자 분류기준으로 제시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의복의 활동성을 중시할 수록 의복만족도가 낮아진다는 점과 의복활동성의 중요성을 고려할 때, 향후 의복활동성 개선을 위한 적극적인 기술개발을 통해 패션브랜드를 차별화할 것을 제안하고자 한다. 추가적으로 본 연구에 기초하여 실제 의류기업에서 활용할 수 있는 소비자 대응전략을 제시한다면, 본 연구에서는 자신을 마른 편으로 지각할수록 의복만족도가 상승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 따라서 패션매장에서는 소비자들이 의복구매를 위해 옷을 입어보고 비교할 때, 단순히 옷이 잘 어울린다는 표현보다는 전체적인 몸매 외에도 키나 다리길이와 같이 신체의 길이와 관련된 부위에서 긍정적인 효과가 있다는 것을 환기시키는 것이 해당 의복에 대한 만족도를 높이는 하나의 방법이 될 수 있다. 또한 패션광고에서도 전반적인 인물과 의상의 매치에서 이러한 세로효과를 효율적으로 사용하는 것을 제안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20대 여대생을 대상으로 맞음새와 관련된 요소, 의복평가기준, 의복만족도의 관계를 확인하고자 먼저 맞음새 관련 요소인 체형지각, 치수중요성, 활동중요성에 따라 집단을 나누어 내용을 비교하고, 의복만족도에 대한 모든 변수의 영향을 확인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 선행연구와 달리 체형을 기반으로 맞음새의 관점에서 신체와 의복의 관계를 의복평가기준을 통해 분석하고 의복구매행동의 선행변수로 활용된 의복만족도에 초점을 맞추어 연구를 설계하고 분석한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20대 여성을 대상으로 하여 체형을 중심으로 맞음새와 관련된 요소인 치수와 활동성을 통해서 의복평가기준, 의복만족도의 관계를 살펴보고, 궁극적으로 이들 변수가 의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고자 하였다. 즉, 체형인식, 신체만족도, 의복만족도 간의 관계에 대한 선행연구에 기반을 두어 의복이 소비자의 평가를 통해 구매되는 패션상품이라는 측면을 연구에 반영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의복의 생산과 소비에서 주요한 이슈로 떠오르고 있는 의복의 맞음새를 주제로 하여 연구를 진행하고자 한다. 의복의 맞음새가 점차 중요해지는 이유는 패션상품들 간의 시각적인 차이는 줄어드는 반면에 소비자들의 의복평가와 구매에서 맞음새와 관련한 관여와 비중이 커지기 때문이라고 볼 수 있다.
  • 본 연구에서는 의복평가기준을 구성하는 하위 차원의 개념적 구조를 확인하고자 선행연구에서 추출한 8개 문항에 대해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Varimax 회전에 의한 주성분분석을 사용하였고 요인의 수는 고유값 1이상을 기준으로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젊은 층에서의 의복맞음새와 관련된 요소와 의복평가기준, 의복만족도의 관계를 조사하고자 하였고, 대전, 충북지역에 거주하는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다만, 체형과 관련된 연구내용을 고려하여 성별은 여성으로 한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의복만족도에 대한 모든 변수의 영향을 확인한 결과는 어떠했는가? 첫째, 의복평가기준의 하위 차원을 살펴본 결과, 3개 요인이 도출되었다. 3개 요인은 관리의 용이성, 소재, 바느질 상태 등과 같은 의복의 실질적 측면에 대한 평가기준인 ‘실용성’ 요인, 색상, 가격, 디자인과 같이 상품으로의 의복을 의미하는 ‘상품성’ 요인, 그리고 유행, 브랜드와 같이 의복의 추상적 측면을 ‘상징성’ 요인으로 명명하였다. 둘째, 체형지각을 통해 집단을 분류하고 의복평가기준과 의복만족도를 비교하였다. 먼저 체형지각에 따라 마른/보통/비만 체형의 3집단으로 나누었다. 의복평가기준 중에서 상품성은 비만집단에서 높게 인식되었고, 의복만족도는 마른집단에서 높게 나타났다. 의복 자체에 대해서 상대적으로 비만집단의 관여수준이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나 신체를 통해서 표현되는 의복의 제한성 때문에 의복만족도는 낮은 것으로 분석하였다. 셋째, 치수중요성을 통해 집단을 분류하고 의복평가기준과 의복만족도를 비교하였다. 먼저 치수 중요성에 따라 상/중/하의 3집단으로 나누었다. 상품성은 치수중요성 상집단에서 높게 인식되었고, 반면에 의복만족도를 포함한 다른 변수들은 집단 간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신의 치수에 대해 익숙하기 때문에 의복만족도 자체는 치수중요성에 따라 큰 차이가 없었으나, 같은 치수에서도 여러 맞음새의 의복이 출시되는 상황에서 치수에 민감한 경우에 자신에게 보다 적합한 의복을 선택하고자 하므로 이들이 의복의 디자인이나 색상 등에 많은 주의를 기울이는 것으로 분석하였다. 넷째, 활동중요성을 통해 집단을 분류하고 의복 평가기준과 의복만족도를 비교하였다. 먼저 활동중요성에 따라 상/중/하의 3집단으로 나누었다. 의복평가기준 중에서 실용성, 상품성, 상징성은 활동중요성 상집단에서 높게 평가되었고, 의복만족도는 하집단에서 높게 나타났다. 활동성에 대한 평가에는 다양한 의복구성 요소가 복합적인 영향을 주고 활동성을 중요시하는 집단에서의 의복선택이 더욱 민감해질 수 있기 때문에 의복만족도는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고, 이들이 의복평가기준에서는 높은 수준을 보였다.
의복의 맞음새가 중요해지는 이유는? 본 연구에서는 의복의 생산과 소비에서 주요한 이슈로 떠오르고 있는 의복의 맞음새를 주제로 하여 연구를 진행하고자 한다. 의복의 맞음새가 점차 중요해지는 이유는 패션상품들 간의 시각적인 차이는 줄어드는 반면에 소비자들의 의복평가와 구매에서 맞음새와 관련한 관여와 비중이 커지기 때문이라고 볼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맞음 새와 관련된 변수를 설정하면서 인체에서는 체형, 의복에서는 치수, 소비자 특성에서는 활동성에 대한 평가를 포함하였다.
체형과 관련된 연구에서 일관적으로 보이는 결과는? 체형과 관련된 연구는 의복을 착용하는 신체에 대한 의미 있는 고찰이고, 체형과 신체의 관계를 넘어 신체만족과 의복만족에 대한 연구 또한 이루어지고 있는데, 비교적 일관되게 신체만족도가 증가하면 의복만족도가 증가한다는 결과를 제시하고 있다(Rhee & Lim 2001; Su & Song 2004; Chung 2013). 이렇게 체형을 중심으로 한 신체-의복의 관계에 대한 선행연구들은 신체이미지와 관련하여 다양하고 의미 있는 결과를 제시하고 있으나 전반적으로는 사회·심리적인 관점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4)

  1. Chang SK, Ok KH(2007) Store evaluative criteria, clothing evaluative criteria, and purchasing behavior for casual wear according to shopping orientation of chinese college students. Res J Costume Culture 15(1), 98-112 

  2. Cho YJ(2003) The comparative study on perception and satisfaction of somatotype of university woman students. J Korean Home Econ Assoc 41(11), 73-80 

  3. Cho YJ(2005) Clothing preference based on the perceived body types. J Korean Home Econ Assoc 43(10), 155-165 

  4. Choi MS(2008) A study on the preferred body shape and the perception between real and ideal body shapes of college students. J Korean Soc Cloth Textiles 32(3), 443-453 

  5. Choi YJ, Lee JR(2004) A study on the satisfaction and the clothing behavior based on the perceived somatotype by korean female students. J Korean Soc Cloth Textiles 28(2), 262-269 

  6. Chung SJ(2013) Effects oh self esteem and body satisfaction of middle aged women on their clothing satisfaction and clothing selection criteria. J Korean Soc Cloth Ind 15(1), 84-94 

  7. Ham YL, Park MJ(2013) Effect of type of body shape perception on health concern, depression dietary restriction and exercise practice among university students. J Muscle Joint Health 20(2), 151-160 

  8. Han MS(2008) The effects of appearance language on sexual impulse. Res J Costume Culture 16(1), 166-180 

  9. Hwang JS(2002) The relationship of body cathexis to satisfaction with ready to wear. J Korean Soc Costume 34(Sep), 183-193 

  10. Je ES(2012) Impact of consumer innovativeness on fashion consumption propensity and clothing satisfaction. J Korean Soc Cloth Ind 14(4), 578-587 

  11. Jeon KS(2002) Clothing involvement and clothing satisfaction by the awareness of body type. J Korean Soc Costume 52(3), 75-85 

  12. Jeong SJ, Chu MS(2010) The effects of somatotype and body image on apparel fashion orientation. J Korean Soc Cloth Ind 12(6), 764-773 

  13. Jeong SJ, Chu MS(2011) The effects of somatotype, self esteem, body satisfaction and body image on clothing attitude. J Korea Fash Costume Design Assoc 13(3), 117-133 

  14. Jun DG, Park SM(2009) Comparative analysis of children's clothing evaluative criteria according to groups divided by mother's somatotype & somatotype Cognition. J Korean Home Econ Assoc 47(9), 91-99 

  15. Kim DH, Kim KH (2010) The study of satisfaction of somatotype for women in twenties on perceived somatotype, appreciated somatotype by other people, ideal somatotype: Based on the obesity index. J Korean Soc Design Culture 16(2), 82-97 

  16. Kweon SA, Choi JM, Sohn BH(2010) Body satisfaction and fitness apparel depending on age and silhouette in women 20-50 years of age. J Korean Soc Cloth Textiles 34(3), 480-491 

  17. Kweon SA, Yoo JJ, Kim EY(2014) Comparative study on body shape perception and satisfaction of korean and chinese female university students. Korean J Human Ecology 23(5), 483-500 

  18. Lee JI(2011) A study on the perceived size related risk and clothing behaviors according to perceived body characteristics and satisfaction with body characteristics. J Korean Soc Cloth Textiles 35(5), 575-586 

  19. Lee JS(2007) Study of real somatotype and perceived body classified by body index of college women. J Fash Bus 11(5), 100-109 

  20. Lee KL, Park SH(2004) Apparel fit by body perception and body satisfaction. J Korean Soc Costume 54(1), 69-81 

  21. Lee MJ, Kim YW(2012) Body cathexis and clothing image of female collegians by somatotype. Korean J community Living Sci 23(3), 221-231 

  22. Lee MS(2013) A study on adolescents' body esteem and clothing behaviors according to the sociocultural attitude toward appearance. J Korea Fash & Costume Design Assoc 15(2), 43-56 

  23. Lee SH, Lim SJ(1998) A study on benefit segmentation and clothing preferences. J Korean Soc Costume 6(3), 100-110 

  24. Nam YJ, Lee SH(2001) Comparison of perceived body size and actual body size between korean and american college women. J Korean Soc Cloth Textiles 25(4), 764-772 

  25. Park JK, Nam YJ(1999) Relations between body cathexis and clothing selection by body type. J Korean Soc Cloth Textiles 23(8), 1149-1160 

  26. Park JK, Nam YJ Choi KM(2004) A comparison of satisfaction for actual body and perceived body between korean and japanese female college students. J Korean Soc Cloth Textiles 28(6), 758-766 

  27. Park JK, Nam YJ, Kim YJ, Jeong SY(2010) A comparison of satisfaction for actual body and perceived body between korean and mongolian female college students. J Korean Soc Cloth Textiles 34(9), 1558-1566 

  28. Park SM(2013) Comparative analysis of underwear evaluative criteria according to somatotypes and sociocultural characteristics. Fam Environ Res 51(5), 563-571 

  29. Rhee JH(2007) A study on effects of somatotypes and stress on body cathexis and preferences of clothing image. Res J Costume Culture 15(6), 1084-1099 

  30. Rhee YJ, Lim SJ(2001) The relationship between weight control behavior and satisfaction with fit of apparel. J Korean Soc Cloth Textiles 25(1), 13-24 

  31. Seok HJ, Kim IS(2007) Survey on the adult males' satisfaction level with the fit of ready made suits by the age and body type. J Korean Soc Cloth Textiles 31(2), 308-318 

  32. Su HS, Song JA(2004) A study on body cathexis, satisfaction with apparel fit and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s according to physical figure. J Korean Soc Cloth Ind 6(3), 329-335 

  33. Suh HK, Lee SH(2011) Shopping orientation and satisfaction with clothes of 20s women consumers using domestic/global SPA brands. J Korean Soc Cloth Textiles 35(5), 501-512 

  34. Sung MJ, Kim HE(2001) Classification of the somatotype by obesity indexes and body cognition of female college students. J Korean Soc Cloth Ind 3(3), 227-234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