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사방댐 준설이 계류의 지형변화에 미치는 영향 - 지상 LiDAR 자료를 이용하여 -
Topographical Changes in Torrential Stream After Dredging in Erosion Control Dam - Using Terrestrial LiDAR Data - 원문보기

韓國林學會誌 =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v.103 no.3, 2014년, pp.392 - 401  

서준표 (국립산림과학원 산림방재연구과) ,  우충식 (국립산림과학원 산림방재연구과) ,  이창우 (국립산림과학원 산림방재연구과) ,  김경하 (국립산림과학원 산림방재연구과) ,  이헌호 (영남대학교 산림자원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사방댐의 준설작업이 퇴사선내 계류의 지형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서 준설을 시행한 사방댐과 준설을 시행하지 않은 사방댐을 대상으로 지상 LiDAR 측량을 실시하고 경사도 및 체적의 지형변화를 평가하였다. 지상 LiDAR 장비는 사용자의 숙련도에 영향을 받지 않고 쉽게 지형변화를 관측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연구결과, 경사도 변화는 토양침식 유발의 위험이 높은 경사도($20^{\circ}{\sim}40^{\circ}$)가 차지하는 비율은 준설을 시행한 사방댐 지역보다 준설을 시행하지 않은 사방댐에서 수치적으로는 더 높게 나타났지만, 우기후 위험구역은 준설을 시행하지 않은 사방댐에서 더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체적변화는 준설을 시행한 사방댐에서 침식과 퇴적이 규칙적인 양상으로 나타났지만, 준설을 시행하지 않은 사방댐에서는 침식과 퇴적이 불규칙적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정량적 분석결과 준설을 시행하지 않은 사방댐에 비해 준설을 시행한 사방댐에서 우기후 $m^2$당 1.7배 더 많은 토사가 유입되었다. 조사대상지의 강우량 차이는 토사유출량에 미치는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준설을 시행한 사방댐에서는 준설을 시행하지 않은 사방댐에서보다 우기를 지나면서 토양침식의 위험이 높은 경사도 분포가 증가하고, 준설작업을 시행한 지역의 상류계류에서 토사가 많이 유입된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research was carried out to understand the impact of mountainous torrent on topographical change of slope and sediment volume within a deposit line by dredging of soil erosion control dam. Terrestrial LiDAR surveys were conducted at dredged and non-dredged sites. Terrestrial LiDAR has an advan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경상북도 관내에 준설예정인 사방댐을 대상으로 준설로 인해 발생되는 사방댐 퇴사선 내에서의 지형변화를 평가하기 위해서 지상 LiDAR 장비를 이용한 지형측량을 실시하였다. 사방댐 준설전·후의 지형변화 특히, 우기후에 사방댐 내로 유입되는 퇴적물로 인한 경사도와 체적변화를 정량적으로 분석하고, 대조군과의 비교를 통해서 사방댐 준설이 단기간 계류의 지형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다.

가설 설정

  • 하지만, 본 자료를 그대로 이용하여 준설지와 비준설지의 토사유출량을 비교할 경우 비준설지의 토사유출량을 과소평가할 우려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추가적으로 비준설지에서 토사가 유출되지 않고 모두 사방댐에 저사되었을 경우를 가정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 경우 사방댐에서 상류 20 m지점까지 토사가 100% 퇴적된 것으로 가정하여(300 m3, 20 × 10 × 1.
  • 이 경우 사방댐에서 상류 20 m지점까지 토사가 100% 퇴적된 것으로 가정하여(300 m3, 20 × 10 × 1.5) 분석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산지계류에 설치하는 사방댐은 국내 언제 처음으로 시공되었나? 따라서 사방댐이 가지고 있는 원래의 기능을 충분히 발휘할수 있도록 관리하는 것은 재해저감 차원에서 상당히 중요하다. 이러한 사방댐은 1986년 국내에서 최초로 시공된 이후(Korea Forest Service, 2007) 이와 관련된 연구는 사방댐의 시공효과(Ryu and Jang, 1998)와 재료개발(Park et al., 2011), 기능증진(Korea Forest Service, 2011) 등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져 왔다.
산지토사재해를 가장 효율적으로 저감할 수 있는 것은 무엇인가? 산지토사재해를 가장 효율적으로 저감할 수 있는 것은 산지계류에 설치하는 사방댐이라 할 수 있다. 사방댐은 평시와 재해시 토사유출을 감소시켜 주는데, 평시에는 서서히 토사를 하류로 유출시켜 재해를 경감시키고 하천과 바다로 토사를 안전하게 유출시키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사방댐은 어떤 기능을 갖고 있는가? 산지토사재해를 가장 효율적으로 저감할 수 있는 것은 산지계류에 설치하는 사방댐이라 할 수 있다. 사방댐은 평시와 재해시 토사유출을 감소시켜 주는데, 평시에는 서서히 토사를 하류로 유출시켜 재해를 경감시키고 하천과 바다로 토사를 안전하게 유출시키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사방댐이 가지고 있는 원래의 기능을 충분히 발휘할수 있도록 관리하는 것은 재해저감 차원에서 상당히 중요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Choi, K. 2001. Occurrence status and causes of landslide in Korea. Journal of KOSHAM 1(3): 7-14. 

  2. Du, J.C. and Teng, H.C. 2007. 3D laser scanning and GPS technology for landslide earthwork volume estimation. Automation in Construction 16: 657-663. 

  3. Dunn, M. and Hickey, R. 1998. The Effect of Slope Algorithms on Slope Estimates within a GIS. Cartography 27(1): 9-15. 

  4. Jang, C.L. 2010. Adjustment processes of a disturbed channel by dredging. Magazine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43(3): 29-33. 

  5. Jang, C.L. and Yoon, J.H. 2009. Experimental Study on Adjustment Processes of the Disturbed Channel by Dredging. Korea Society of Civil Engineers 2009(10): 739-742. 

  6. Jun, B.H., Jang, C.D., and Kim, N.G. 2010. Analysis of Erosion and Deposition by Debris-flow with LiDAR.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13(2): 54-63. 

  7. Kim, W.Y. and Chae, B.G. 2009. Characteristics of Rainfall, Geology and Failure Geometry of the Landslide Areas on Natural Terrains, Korea. The Journal of Engineering Geology 19(3): 331-344. 

  8. Kim, Y.P., Lee, K.H., and Song, S.T. 2008. Analysis of Soil Erosion Hazard Zone in Gayasan National Park. Korea Institute of Forest Recreation 12(3): 1-11. 

  9. Korea Forest Service. 2007. The history of 100 years of erosion control works in Korea. pp. 838. 

  10. Korea Forest Service. 2011. Developing on the types of specific multi-functional debris barrier. pp. 294. 

  11. Lee, S.W. 2011. Application of RUSLE Model in Prediction of Soil Loss at Small Mountainous Area. Graduate School of Forest Resources. Yeungnam University. pp. 56. 

  12. Lee, S.Y. 2007. Monitoring of the Landslide Using the Terrestrial LiDAR. Graduate School of Civil Engineering. Kangwon University. pp. 146. 

  13. Mitasova, H., Hardin, E., Starek, M.J., Harmon, R.S., and Overton, M.F. 2011. Landscape dynamics from LiDAR data time series. In: Geomorphometry 2011. Hengl, T., Evans, I.S., Wilson, J.P. and Gould, M. (eds.). Redlands, CA. p. 3-6. 

  14. Park, J.H., Ma, H.S., Kim, K.H., and Youn, H.J. 2011. Influences of the Construction of the Torrent Control Structure using Customized Tetrapods on the Stream Water Quality at Valley. Journal of Korean Forestry Society 100(1): 105-111. 

  15. Park, J.K., Lee, S.Y., Yang, I.T., and Kim, D.M. 2010. Monitoring of the Natural Terrain Behavior Using the Terrestrial LiDAR.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30(2): 191-198. 

  16. Ryu, T.K. and Jang, K.K. 1998. Effect of Soil Erosion Control Dam in the Hillside Area. Journal of Life Science and Natural Resources Research. Institute of Life Science and Natural Resources 20: 42-47. 

  17. Scheidl, C., Rickenmann, D., and Chiari, M. 2008. The use of airborne LiDAR data for the analysis of debris flow events in Switzerland. Natural Hazards and Earth System Science 8: 1113-1127. 

  18. Woo, C.S., Youn, H.J., Lee, C.W., and Lee, K.S. 2012. Estimation of Spatial Soil Distribution Changed by Debris Flow using Airborne Lidar Data and the Topography Restoration Method. Journal of Korean Forestry Society 101(1): 20-27.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