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는 목제품의 수급모형을 개발하고, 제품별로 중장기적인 수요와 공급을 전망하는 데 목적이 있다. 목제품 시장 수급모형은 주요 제품인 제재목, 합판, 파티클보드, 섬유판, 펄프 등으로 한정하였다. 각각의 제품에 대해 공급함수, 수입수요함수, 수요함수 등을 추정하여 부분균형 모형을 구축하였다. 주어진 외생변수를 이용하여 2050년까지 전망한 결과 제재목, 합판, 섬유판 등의 국내공급 및 수입은 감소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는 환경보호와 자원의 무기화 등으로 인해 국내외 원목가격이 인상될 것이라고 예상하였기 때문이다. 반면 폐재를 재활용하는 파티클보드와 목재칩을 원료로 이용하는 펄프의 경우 전체적인 공급은 늘어날 것으로 전망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s aimed at developing a supply-demand model of wood products, and outlook for mid-term and long-term supply and demand for each products. The main wood products include sawnwood, plywood, particle board, fiberboard (MDF), and pulp. The partial equilibrium model is composed of supply fun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전망에 앞서 본 연구에서는 모형을 구성하는 방정식의 안정성과 모형의 적합성을 검정하기 위해 실측값(Yt)과 계측값(Yts)을 이용하는 평균자승근퍼센트오차(Root Mean Square Percent Error: RMSPE)와 절대백분율오차의평균 (Mean Absolute Percentage Error: MAPE), Theil의 불균등계수(Theil’s inequlity coefficient) U 등의 검사를 실시하였다. 여기서 Theil의 불균등계수는 편의비율(UB), 분산비율(UC), 공분산비율(UV)의 편불균등계수(Partial inequality coefficient)등으로 분해하여 향후 추가적 정보 도입을 통하여 오차를 줄일 수 있을지에 대해 판단하였다.1)
  • 이 연구는 주요 목제품의 수요와 공급을 분석하는 부분 균형모형을 만들어 중장기적인 목제품 시장을 전망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4개 절로 이루어졌다.

가설 설정

  • 파티클보드와 섬유판 생산을 위해 투입된 침엽수의 비율을 90%로 가정하였고, 파티클보드와 섬유판 생산을 위해 투입된 국내재의 비율은 40%로 가정하였다.3) 기계펄프 생산을 위한 국내재 투입비율은 26%로 가정하였다.4) 수입 합판의 침엽수 비중은 86%로 가정, 수입 파티클보드의 침엽수 비중은 19%로 가정, 수입 섬유판의 침엽수 비중은 85%로 가정, 수입 제재목의 침엽수 비중은 72%로 가정하였다.
  • 3) 기계펄프 생산을 위한 국내재 투입비율은 26%로 가정하였다.4) 수입 합판의 침엽수 비중은 86%로 가정, 수입 파티클보드의 침엽수 비중은 19%로 가정, 수입 섬유판의 침엽수 비중은 85%로 가정, 수입 제재목의 침엽수 비중은 72%로 가정하였다.
  • 최근 5년간 또는 10년간 연평균 증감률을 계산하여 적절하다고 판단되는 수준의 값을 선택하였다. 원목 또는 목제품 가격의 경우 지구 환경보호와 이산화탄소 문제로 인해 지속적으로 상승할 것으로 가정하였다. 계산한 증감률이 현실적이지 않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최근 5년간 또는 10년간의 생산량 또는 수입량의 평균을 적용하였다.
  • 제 3절에서는 앞에서 분석된 주요 목제품시장의 수급분석을 통해 향후 목제품 시장의 수급을 전망하였다. 이를 위해서 먼저 모형의 안정성을 평가하고, 모형에 사용된 외생변수의 변화를 가정하였다. 마지막 절에서는 본고의 요약과 결론을 제시하였다.
  • 수요량 계산을 위한 기본 가정은 다음과 같다. 파티클보드와 섬유판 생산을 위해 투입된 침엽수의 비율을 90%로 가정하였고, 파티클보드와 섬유판 생산을 위해 투입된 국내재의 비율은 40%로 가정하였다.3) 기계펄프 생산을 위한 국내재 투입비율은 26%로 가정하였다.
  • 화학펄프의 공급은 전기 가격과 수입 활엽수 칩가격, 97년 더미변수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가정하였다. 전기가격 추정계수의 경우 12% 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산림에서 생산되는 목재는 무엇의 원료로 투입되는가? 산림에서 생산되는 목재는 합판, 제재목, 파티클보드 등 제품을 만들기 위한 원료로 투입된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산림에서 생산되는 국내재의 경우 목제품의 원료로 이용되기 보다는 펄프, 칩, 톱밥 등과 같이 파쇄하거나 섬유질을 이용하는 제품을 만드는 데 주로 투입된다.
산림에서 생산되는 국내재가 파쇄하거나 섬유질을 이용하는 제품을 만드는데 투입되는 것은 어떤 결과를 초래하는가? 그러나 우리나라의 산림에서 생산되는 국내재의 경우 목제품의 원료로 이용되기 보다는 펄프, 칩, 톱밥 등과 같이 파쇄하거나 섬유질을 이용하는 제품을 만드는 데 주로 투입된다. 그 결과 우리나라는 목제품 가공을 위하여 원목수입에 크게 의존할 수밖에 없는 실정이다. 그러나 전 세계적으로 기후변화에 대응한 산림의 역할이 강조되고 있고, 산림자원 부국들의 자연자원 무기화로 인해 원목 수입은 시간이 흐름에 따라 더욱 어려워질 전망이다.
산림에서 생산되는 국내재는 어디에 많이 투입되는가? 산림에서 생산되는 목재는 합판, 제재목, 파티클보드 등 제품을 만들기 위한 원료로 투입된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산림에서 생산되는 국내재의 경우 목제품의 원료로 이용되기 보다는 펄프, 칩, 톱밥 등과 같이 파쇄하거나 섬유질을 이용하는 제품을 만드는 데 주로 투입된다. 그 결과 우리나라는 목제품 가공을 위하여 원목수입에 크게 의존할 수밖에 없는 실정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Adams, D.M. and Haynes, R.W. 1980. The 1980 softwood timber assessment market model: Structure, projections, and policy simulations. Forest Science Monograph 22. 

  2. Adams, D.M. and Haynes, R.W. 1989. A model of national forest timber supply and stumpage markets in the Western United States. Forest Science 35(2): 401-424. 

  3. Buongiorno, J., Shushuai, Zhu, Dali, Zhang, James, Turner, and Tomberlin, D. 2003. The Global Forest Products Model. Academic Press, San Diego. 

  4. Global Timber. www.globaltimber.or.uk. 

  5. Jang, W.-W. and Seok, H.-D. 1993. "A study on the Demand Outlook for Timber by Application", Journal of Rural Economics 16(3): 69-85. 

  6. Joo, R. W. and Lee, S. Y. 1998. "Development of an Econometric Model to Project Trends in Forest Products Markets in the Republic of Korea", Journal of Forest Science 58: 72-92. 

  7. Kim, J.S. and Ho, T.P. 1980. "Study on the Long-Term Demand Projections for Timber in Korea", Journal of Korean Forestry Society 50: 29-35. 

  8. Korea Forest Service. 2001-2011. Timber supply-demand plan. 

  9. Korea Forest Service. 1985-2012. Statistical Yearbook of Forestry. 

  10. Korea Forest Service. 2000-2012. Trade Statistics of Forestry Products. 

  11. Korea International Trade Association. http://www.kita.net. 

  12. Korean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 http://www.kosis.kr. 

  13. Korea Wood Panel Association. 1993-2012. Statistics of Plywood, PB & MDF. 

  14. Lee, J.-M., Min, S.-H., Jeong, Y.-S., Kim, B.-W., Kim, J.-J., Lee, Y.-H. and Han, J.-M. 2012. Mid- & Long-Term Projection of korean Industry Considering An Aging Population. Research Report 2012-638. Korea Institute for Industrial Economics and Trade. 

  15. Lee, S.-M., Chang, C.-S., and Kim, K.-D. 2008. Modelling Supply-demand Structure and Outlook of Korean Timber. R573. 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 

  16. Lee, S.-M., Kim, K.-D., and Song, S.-H. 2013. The Supply and Demand Model and Outlook of Korean Forest Products. R706. 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 

  17. New Zealand Forest Research Institute Ltd. 1999. Study of Non-Tariff Measures in the Forest Products Sector. New Zealand Forest Research Institute Limited, Rotorua. 

  18. Prestemon, J.P. and Buongiorno, J. 1996. The impact of NAFTA on U.S. and Canadian forest products exports to Mexico. Canadian Journal of Forest Research 26: 794-809. 

  19. Perez-Garcia, J.M. 1994. An Analysis of Proposed Domestic Climate Warming Mitigation Program Impacts on the International Forest Products Market. CINTRAFOR Working Paper 50. University of Washington, Seattle. 

  20. Statistics Korea. e-Nara. http://www.index.go.kr. 

  21. Yum, S.C. 1993. An analysis of timber demand and supply in the Republic of Korea. Seoul National University. 

  22. Youn, Y.-C. and Kim, E.-G. 1992. "A study on the Demand for Timber in South Korea - with an Emphasis on theLongterm Forests", Journal of Korean Forestry Society 81(2): 124-13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