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일반고와 미용특성화고 학생의 뷰티 및 제품 관심도와 뷰티행동 비교 연구
The Research Compared the General High School and Beauty Specialized High School Student's Interests of Beauty and Beauty Products, and Beauty Behavior 원문보기

패션비즈니스 = Fashion business, v.18 no.4, 2014년, pp.153 - 167  

방기정 (대전대학교 뷰티건강관리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changes in the timing of puberty physicality and mentality and beauty characteristics of high school students were characterized for high school students and the general high school population in order to distinguish between interest and beauty and beauty products and beauty behavior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같은 고등학생이지만 미용특성화 고등학생들은 뷰티정보 수집능력도 많고, 뷰티 관심도와 그에 따른 적극적인 뷰티행동이 있을 수 있고, 일반 고등학생들은 뷰티정보 수집능력도 부족하고 뷰티관심도에 따른 뷰티행동이 소극적이며, 이 두 그룹의 소비 및 뷰티행동 패턴은 다를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미용특성화 고등학생과 일반 고등학생으로 구별하여 미용특성화 고등학교와 같은 유행선도 또는 외모관심 집단과 멀티기능 뷰티제품 및 뷰티행동을 비교 분석하고, 두 집단의 뷰티패턴의 분석과 사용자 요구 중심의 뷰티 및 멀티기능 뷰티제품과 뷰티행동에 대한 비교분석을 하고자 한다. 첫째, 미용특성화고등학생의 뷰티관심, 뷰티제품 및 멀티기능 뷰티제품과 뷰티행동에 어떤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 둘째, 뷰티관심과 멀티기능 뷰티제품이 뷰티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하여 두 집단의 뷰티 소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해 알아보고자 한다.
  • 일반 고등학생들은 뷰티정보 수집능력도 부족하고 뷰티관심에 따른 뷰티행동이 소극적으로, 이 두 그룹의 소비 및 뷰티행동 패턴은 차이가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청소년의 외모관리 행동에 대한 뷰티행동과 유형 파악을 통해 학문적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 관련업계 마케팅 전략 수립에 방향을 제공하는데,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그러나 본 연구의 대상자가 지역적 한계로 객관화하기에는 무리가 있으며, 추후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으로 뷰티제품에서도 유형별 세분화와, 상표충성도, 브랜드 인지도 등 다양한 변수들과의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 본 연구는 신체적으로 정신적으로 변화시기인 사춘기의 여고생 중에서 미용특성화 고등학생과 일반 고등학생으로 구별하여 뷰티 및 뷰티제품 관심과 뷰티행동을 비교분석 하고자 하였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미용특성화 고등학생과 일반 고등학생으로 구별하여 미용특성화 고등학교와 같은 유행선도 또는 외모관심 집단과 멀티기능 뷰티제품 및 뷰티행동을 비교 분석하고, 두 집단의 뷰티패턴의 분석과 사용자 요구 중심의 뷰티 및 멀티기능 뷰티제품과 뷰티행동에 대한 비교분석을 하고자 한다. 첫째, 미용특성화고등학생의 뷰티관심, 뷰티제품 및 멀티기능 뷰티제품과 뷰티행동에 어떤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 둘째, 뷰티관심과 멀티기능 뷰티제품이 뷰티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하여 두 집단의 뷰티 소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해 알아보고자 한다.

가설 설정

  • 1) 미용특성화 고등학생과 일반 고등학생의 뷰티행동에는 차이가 있을 것이다.
  • 2) 미용특성화 고등학생과 일반 고등학생의 뷰티 및 뷰티제품, 멀티기능 뷰티제품 관심의 차이가 있을 것이다.
  • 3) 미용특성화 고등학생과 일반 고등학생의 뷰티 행동에 미치는 요인에는 차이가 있을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인공적인 과정을 통해 ‘자연’ 미인을 만드는 과정 전체는 무엇인가? 외모에 대한 관심도가 높아지는 청소년 시기의 여고생들은 자기스스로 만족스러운 외모를 가꾸기 위해 화장이나 장신구 등으로 치장을 하고 타인이나 이성에게 좋은 이미지로 평가 받고 싶어 한다. 외모지상주의가 확대되면서 좋은 신체적 외모가 행복과 성공을 위한 중요한 조건이나 요인으로 작용하면서 뷰티산업과 뷰티행동은 청소년에게 외모 지향적 심리와 모방 성향이 강하게 반영이 되고 있다. 뷰티산업은 화장품, 다이어트, 네일아트, 미용문신, 피부미용관리 등을 통해 신체를 미학적으로 꾸미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산업을 말하며, 뷰티산업의 범위는 외과적 수술을 통하지 않고 몸을 미학적으로 바꾸어 내는 것이라볼 수 있다. 이는 인공적인 과정을 통해 ‘자연’ 미인을 만드는 과정 전체를 의미하며 우리 생활 전반에 걸쳐 중요한 자리를 하고 있다(Barng, 2012).
미용의 사전적 의미는 무엇인가? 외모관리는 자신에 대한 시각적 이미지를 만들어나갈 뿐만 아니라 상황에 맞추어 외모상징의 의미를 전달함으로써 자신을 표현하는 수단이라고 할 수 있다. 우리나라에서 뷰티라는 단어는 미용을 대신하여 사용되어지고 있으며, 미용의 사전적 의미는‘얼굴이나 머리를 아름답게 매만지는 것’으로 정의되어 있다. 외모에 대한 관심도가 높아지는 청소년 시기의 여고생들은 자기스스로 만족스러운 외모를 가꾸기 위해 화장이나 장신구 등으로 치장을 하고 타인이나 이성에게 좋은 이미지로 평가 받고 싶어 한다.
외모관리란 무엇인가? 특히, 청소년은 외모나 이성에 대한 호기심이 많아지고, 신체적, 정신적 변화를 겪게 되는 시기로 그로인한 외모와 신체에 대한 사회적인 인식의 영향력이 매우 커지고 있다(Jung, Kim, & Lee, 2008). 외모관리는 자신에 대한 시각적 이미지를 만들어나갈 뿐만 아니라 상황에 맞추어 외모상징의 의미를 전달함으로써 자신을 표현하는 수단이라고 할 수 있다. 우리나라에서 뷰티라는 단어는 미용을 대신하여 사용되어지고 있으며, 미용의 사전적 의미는‘얼굴이나 머리를 아름답게 매만지는 것’으로 정의되어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Ahan, H., & Cho, K. (2006). A study on the hair style production: Focussed on face contour & hair fashion feeling of the capital area women in their twenties. Journal of fashion business, 10(4), 29-44 

  2. Bae, E., & Sung, H. (2013). Comparison of benefit sought and makeup behaviors based on fashion leadership and appearance interest. Journal of Fashion Business, 17(4), 107-123. 

  3. Barng, K. (2012). A study in mobile functionality of beauty products according to the Digital changes. Journal of Fashion Business, 16(1), 83-102. 

  4. Barng, K. (2013). A study on the beauty action of the high-school girl with the beauty, beauty products, and multi-function beauty product interest. The Journal of the Fashion Business, 17(4), 124-139. 

  5. Choi, O. (2006). Mind sharing the art therapy. Seoul: Hakjisa. 

  6. Elementary, Secondary Education Act Enforcement Decree Article 91. (1996). Seoul: Education Reform Commission. 

  7. Ha, B. (2010). 화장품학[Cosmetic science]. Seoul: Soonoonsa. 

  8. Han, D. (2009). Ethno graphic analysis of male high school students' appearance management activities: Fashion, makeup, body management, hair, skin care and cosmetic surgery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ungnam University, Daejeon, Korea. 

  9. Hwang, Y., Joe, K., & Yoo, T. (2003). The study on cosmetic surgery behavior according to appearance concern, body cathexis, and self-esteem. Journal of Fashion Business, 7(4), 17-25. 

  10. Jeong, E., & Kim, J. (2007). A study on cosmetics puchasing behavior of female high school students by their interest in appearanc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metology, 13(1), 353-365. 

  11. Jun, Y. (2009). A study on beauty high school student's make-up actual condition and attitude. The Journal of Korea Beauty Design Society, 5(2), 139-154. 

  12. Jung, H., Kim, H., & Lee, Y. (2008). The buying behavior for school uniforms according to adolescents' assertiveness and appearance concern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32(5), 777-787. 

  13. Kim, Y. (2010). Beauty psychotherapy training programs on the development of a self-study (Unpublished master's thesis), Seokyung University, Seoul, Korea. 

  14. Lee, H., & O, I. (2010). Makeup behavior according to high school girls makeup interest and information search.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Beauty and Art, 12(1), 65-84. 

  15. Lee, M. (2012). Influence of appearance decoration on women's professional image. Journal of the Korea Fashion & Costume Design Association, 14(4), 1-16. 

  16. Lee, M., & Lee, E. (1997). A study on appearance interest and self: Confidence of elderly women associated demographic variabl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21(6), 1072-1081. 

  17. Lee, Y. (2003). A study on the aesthetic sense and behaviors of high school girls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ungang University, Seoul, Korea. 

  18. Oh, B., Kim, S., Lee, J., & Jin, Y. (2012). The influence of interest in beauty and its information by adolescent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metology, 18(3), 515-521. 

  19. Park, H., & Park, S. (2011). The effects of fashion and beauty consumption behavior on self-salfsfact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35(11), 1285-1296. 

  20. Seol, H., & Choi, I. (2010). A study on beauty action of the growing generation.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18(3), 514-525. 

  21. Song, E., Kim, J., & Na, M. (2013). Effects of aesthetic sense, interest in appearance and appearance management on stress in high school students: Gwangju and Jeonnam province. Journal of Investigative Cosmetology 9(2), 149-156. 

  22. Yang, M. (2009). A study for recognition to the relativity on skin health of cosmetics in a girl's high school students. The Journal of Korea Beauty Design Society, 5(1), 15-3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