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 수도용 제초제의 작용기작별 분류
Classification According to Site of Action of Paddy Herbicides Registered in Korea 원문보기

Weed & Turfgrass Science, v.3 no.3, 2014년, pp.165 - 173  

박재읍 (국립농업과학원 농자재평가과) ,  김상수 (국립농업과학원 농자재평가과) ,  김영림 (국립농업과학원 농자재평가과) ,  김민주 (국립농업과학원 농자재평가과) ,  하헌영 (국립농업과학원 농자재평가과) ,  이인용 (국립농업과학원 작물보호과) ,  문병철 (농촌진흥청 연구정책국) ,  임양빈 (국립농업과학원 농자재평가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국내에 등록된 제초제의 효율적 사용을 위해서 제초제저항성관리위원회에서 제시한 제초제 작용기작별 분류를 기초로 23그룹으로 분류하였다. 세부그룹으로는 acetyl CoA carboxylase 억제제, acetolactate synthase 억제제, photosystem과 억제제, protoporphyrinogen oxidase 억제제, carotenoid biosynthesis 억제제, enolpyruvyl shikimate-3-phosphate synthase 억제제, glutamine synthetase 억제제, dihydropteroate synthetase 억제제, 세포분열 저해제(mitosis inhibitors), cellulose 생합성억제제, oxidative phosphorylation uncouplers, 지방산 및 지질생합성 억제제, synthetic auxins, auxin transport 억제제, potential nucleic acid Inhibitors 혹은 non-descript mode of action으로 나누었다. 이와 같은 그룹화 기준을 토대로 국내 등록되어 사용중인 논 제초제 성분들을 그룹화 하였다. 따라서, 이러한 약제 작용기작 관련 정보를 농약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특정약제의 연용과 중복사용을 방지하여 국내에서 제초제 저항성잡초 발생 문제를 줄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review study was conducted to recommend the effective use of herbicide mixtures in Korea. The herbicide ingredients by Herbicide Resistancce Action Committee (HRAC) was classified into 23 groupes according to the mode of action (acetyl CoA carboxylase inhibitors, acetolactate synthase, photosy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국내에 등록된 제초제의 효율적 사용을 위해서 제초제저항성관리위원회에서 제시한 제초제 작용기작별 분류를 기초로 23그룹으로 분류하였다. 세부그룹으로는 acetyl CoA carboxylase 억제제, acetolactate synthase 억제제, photosystem 과 억제제, protoporphyrinogen oxidase 억제제, carotenoid biosynthesis 억제제, enolpyruvyl shikimate-3-phosphate synthase 억제제, glutamine synthetase 억제제, dihydropteroate synthetase 억제제, 세포분열저해제(mitosis inhibitors), cellulose 생합성억제제, oxidative phosphorylation uncouplers, 지방산 및 지질생합성 억제제, synthetic auxins, auxin transport 억제제, potential nucleic acid Inhibitors 혹은 non-descript mode of action으로 나누었다.
  • 식물체내에서 지질생합성 과정 중 ACCase의 기능을 저해하는 것으로 알려진 아릴옥시페녹시프로피오네이트계와 사이클로헥산디에논계를 그룹 A로 분류하고 식물의 필수아미노산인 valine, isoleucine 생합성에 관여하는 ALS 혹은 acetohydroxy acid synthase (AHAS)를 저해하는 제초제를 그룹B로, 광계 II에서 광합성을 저해(photosystem inhibitors) 하는 제초제를 그룹C로 분류했고 이것을 더 세분하여는 트리아진계와 우라실계 등을 그룹 C1, 요소계를 그룹 C2, 벤조티아디아지논계를 C3로 분류하였다. 그리고 광계 I에서 광합성을 저해 (photosysteminhibitors)하는 제초제를 D로 분류, protoporpyrinogen 산화효소 저해제 인 디페닐에텔계를 E그룹으로, carotenoid 생합성을 저해하는 제초제를 F 그룹으로 분류하고 이것을 세분하여 phytoene desaturase step (PDS) 에서 카로티노이드 생합성을 저해하는 제초제를 그룹 F1으로, 4-hydroxyphenyl-pyruvate dioxigenase (HPPD)에서 플라스토퀴논 생합성을 저해하는 제초제를 F2그룹으로 불확실한 카로티노이드 생합성을 저해하는 제초제를 그룹 F3으로 분류하고 있었다. 방향족 아미노산인 phenylanine, tyrosine, tryptophan 생합성에 관여하는 5-enol pyruvyl shikimate 3-phosphate (EPSP) 효소를 저해하여 황백화 현상이 발생하는 글라이신계를 G그룹으로, 글루타민 합성효소를 저해하는 제초제를 그룹 H로, dihydropteroate 합성효소를 저해하는 제초제를 그룹 I로, 세포분열 저해 제초제를 그룹 K로 분류하고 이것을 세분하여 tubulin과 결합하여 microtubule 중합체 형성을 저해하는 디나이트로아닐린계를 K1 그룹으로, 카바메이트계를 K2로, 초장쇄 지방산 저해제(inhibition of very long chain fatty acid)를 K3 그룹으로 분류되어 있었다.
  • , 2013). 따라서 이러한 제시안을 기준으로 국내 등록된 수도용 제초제를 작용기작별로 분류하였다.
  • 그리고 광계 I에서 광합성을 저해 (photosysteminhibitors)하는 제초제를 D로 분류, protoporpyrinogen 산화효소 저해제 인 디페닐에텔계를 E그룹으로, carotenoid 생합성을 저해하는 제초제를 F 그룹으로 분류하고 이것을 세분하여 phytoene desaturase step (PDS) 에서 카로티노이드 생합성을 저해하는 제초제를 그룹 F1으로, 4-hydroxyphenyl-pyruvate dioxigenase (HPPD)에서 플라스토퀴논 생합성을 저해하는 제초제를 F2그룹으로 불확실한 카로티노이드 생합성을 저해하는 제초제를 그룹 F3으로 분류하고 있었다. 방향족 아미노산인 phenylanine, tyrosine, tryptophan 생합성에 관여하는 5-enol pyruvyl shikimate 3-phosphate (EPSP) 효소를 저해하여 황백화 현상이 발생하는 글라이신계를 G그룹으로, 글루타민 합성효소를 저해하는 제초제를 그룹 H로, dihydropteroate 합성효소를 저해하는 제초제를 그룹 I로, 세포분열 저해 제초제를 그룹 K로 분류하고 이것을 세분하여 tubulin과 결합하여 microtubule 중합체 형성을 저해하는 디나이트로아닐린계를 K1 그룹으로, 카바메이트계를 K2로, 초장쇄 지방산 저해제(inhibition of very long chain fatty acid)를 K3 그룹으로 분류되어 있었다. 그리고 세포벽 합성 저해제는 그룹 L, 에너지 생성과정에 작용하는 제초제로 탈공역에 의한 산화적 인산화 과정을 저해하는 제초제는 그룹 M, 식물호르몬 작용 교란을 하는 제초제 중에 IAA와 유사한 작용을 하는 제초제는 그룹 O로, 옥신의 이동을 방해하는 제초제는 그룹 P로 분류하고 마지막으로 작용기작이 불분명한 제초제는 Z그룹으로 분류하고 있었다.
  • 국내에 등록된 제초제의 효율적 사용을 위해서 제초제저항성관리위원회에서 제시한 제초제 작용기작별 분류를 기초로 23그룹으로 분류하였다. 세부그룹으로는 acetyl CoA carboxylase 억제제, acetolactate synthase 억제제, photosystem 과 억제제, protoporphyrinogen oxidase 억제제, carotenoid biosynthesis 억제제, enolpyruvyl shikimate-3-phosphate synthase 억제제, glutamine synthetase 억제제, dihydropteroate synthetase 억제제, 세포분열저해제(mitosis inhibitors), cellulose 생합성억제제, oxidative phosphorylation uncouplers, 지방산 및 지질생합성 억제제, synthetic auxins, auxin transport 억제제, potential nucleic acid Inhibitors 혹은 non-descript mode of action으로 나누었다. 이와 같은 그룹화 기준을 토대로 국내 등록되어 사용중인 논 제초제 성분들을 그룹화 하였다.
  • 그 핵심내용은 Table 1과 같이 유사한 작용기작을 보이는 제초제를 다음과 같이 분류하였다. 식물체내에서 지질생합성 과정 중 ACCase의 기능을 저해하는 것으로 알려진 아릴옥시페녹시프로피오네이트계와 사이클로헥산디에논계를 그룹 A로 분류하고 식물의 필수아미노산인 valine, isoleucine 생합성에 관여하는 ALS 혹은 acetohydroxy acid synthase (AHAS)를 저해하는 제초제를 그룹B로, 광계 II에서 광합성을 저해(photosystem inhibitors) 하는 제초제를 그룹C로 분류했고 이것을 더 세분하여는 트리아진계와 우라실계 등을 그룹 C1, 요소계를 그룹 C2, 벤조티아디아지논계를 C3로 분류하였다. 그리고 광계 I에서 광합성을 저해 (photosysteminhibitors)하는 제초제를 D로 분류, protoporpyrinogen 산화효소 저해제 인 디페닐에텔계를 E그룹으로, carotenoid 생합성을 저해하는 제초제를 F 그룹으로 분류하고 이것을 세분하여 phytoene desaturase step (PDS) 에서 카로티노이드 생합성을 저해하는 제초제를 그룹 F1으로, 4-hydroxyphenyl-pyruvate dioxigenase (HPPD)에서 플라스토퀴논 생합성을 저해하는 제초제를 F2그룹으로 불확실한 카로티노이드 생합성을 저해하는 제초제를 그룹 F3으로 분류하고 있었다.
  • 세부그룹으로는 acetyl CoA carboxylase 억제제, acetolactate synthase 억제제, photosystem 과 억제제, protoporphyrinogen oxidase 억제제, carotenoid biosynthesis 억제제, enolpyruvyl shikimate-3-phosphate synthase 억제제, glutamine synthetase 억제제, dihydropteroate synthetase 억제제, 세포분열저해제(mitosis inhibitors), cellulose 생합성억제제, oxidative phosphorylation uncouplers, 지방산 및 지질생합성 억제제, synthetic auxins, auxin transport 억제제, potential nucleic acid Inhibitors 혹은 non-descript mode of action으로 나누었다. 이와 같은 그룹화 기준을 토대로 국내 등록되어 사용중인 논 제초제 성분들을 그룹화 하였다. 따라서, 이러한 약제 작용기작 관련 정보를 농약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특정약제의 연용과 중복사용을 방지하여 국내에서 제초제 저항성잡초 발생 문제를 줄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4종 혼합제품인 bensulfuron-methyl · mesotrione · pretilachlor · pyriftalid GR는 ALS저해제인 bensulfuron-methyl은 B로 carotenoid Biosynthesis 저해제인 mesotrione은 F2로 mitosis inhibitors 인 pretilachlor은 K3로 AHAS 저해제인 pyriftalid는 B로 분류되어 최종적으로 B + F2 + K3 + B로 표시하였다. 전체적으로 국내 등록된 수도용 제초제 387 제품의 성분에 대해서 작용기작별 분류하여 표시하였다.

대상 데이터

  • 제초제의 작용기작별 그룹화의 기준은 앞에서 논의한 것처럼 제초제저항성관리위원회 (HRAC)가 제안한 제초제 작용기작별 그룹 자료를 인용하였다. 그 핵심내용은 Table 1과 같이 유사한 작용기작을 보이는 제초제를 다음과 같이 분류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본 고에서 제시한 제초제 작용기작별 분류는 어떻게 되는가? 국내에 등록된 제초제의 효율적 사용을 위해서 제초제저항성관리위원회에서 제시한 제초제 작용기작별 분류를 기초로 23그룹으로 분류하였다. 세부그룹으로는 acetyl CoA carboxylase 억제제, acetolactate synthase 억제제, photosystem 과 억제제, protoporphyrinogen oxidase 억제제, carotenoid biosynthesis 억제제, enolpyruvyl shikimate-3-phosphate synthase 억제제, glutamine synthetase 억제제, dihydropteroate synthetase 억제제, 세포분열저해제(mitosis inhibitors), cellulose 생합성억제제, oxidative phosphorylation uncouplers, 지방산 및 지질생합성 억제제, synthetic auxins, auxin transport 억제제, potential nucleic acid Inhibitors 혹은 non-descript mode of action으로 나누었다. 이와 같은 그룹화 기준을 토대로 국내 등록되어 사용중인 논 제초제 성분들을 그룹화 하였다.
제초제는 어떤 존재인가? 그만큼 잡초근절이 힘들고 어렵다는 것을 반증하고 있다. 그나마 제초제의 등장은 먹거리 안정적 생산을 보장해 주어서 농산물 생산 측면에서 볼 때 필수 불가결한 농업자재이다.
제초제 저항성잡초의 발생원인은 무엇인가? 제초제 저항성잡초의 발생원인은 다양하나 주로 약효가 우수하고 약효지속기간이 긴 제초제를 일정기간 연용하여 사용할 경우 저항성 개체가 발생 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2)

  1. HRAC. 2013. Classification of herbicide site of action. http://www.hracglobal.com (Accessed Jun. 1, 2014). 

  2. HRAC. 2013. Guideline to management of herbicide resistance. http://www.hracglobal.com (Accessed Jun. 1, 2014). 

  3. Heap, I. 1997. The occurrence of herbicide-resistant weeds worldwide. Pestic. Sci. 51:235-243. 

  4. Im, I.B. 2009. Control and emergence of herbicides resistant Echinochloa oryzicola in paddy field of Korea. Korean J. Weed Sci. 29(Supp. 2):103-104. (In Korean) 

  5. Ihm, Y.B., Park, J.E. and Park, H.M. 2013. Agrochemicals Using Guide. National Academy of Agricultural Science. Suwon, Korea. p. 625. (In Korean) 

  6. Korea Crop Protection Association (KCPA). 2012. Guide of pesticides. Samjeong Press, Seoul, Korea. pp. 813-1190. (In Korean) 

  7. Kim, K.U. 1984. Resistant of plants to herbicide. Korean J. Weed Sci. 4(1):96-106. (In Korean) 

  8. Kwon, O.D., Kuk, Y.I., Cho, S.H. and Shin, H.R. 2009. Control of sulfonylurea-resistant biotype of Eleocharis acicularis in paddy fields in Jeonnam province, Korea. Korean J. Weed Sci. 29(Supp. 1):32-34. (In Korean) 

  9. Miyahara, M., Guh, J.O. and Lee, D.J. 1998. Occurrence of resistant weeds to sulfonylurea herbicides in Japan. Korean J. Weed Sci. 18(3):268-279. 

  10. Park, T.S., Ku, B.I., Kang, S.K., Choi, M.K., Park, H.K., et al. 2010. Response of the resistant biotype of Echinochloa oryzicola to ACCase and ALS inhibitor, and effect of alternative herbicides. Korean J. Weed Sci. 30(3):291-299. (In Korean) 

  11. Park, T.S., Kang, C.K., Park, J.E., Ku, B.I., Park, H.K., et al. 2009. Identification and management of sulfonylurea-resistant biotype of Scirpus planiculmis in reclaimed paddy fields, Korea. Korean J. Weed Sci. 29(Supp. 1):35-37. (In Korean) 

  12. Park, T.S., Lee, I.Y., Seong, K.Y., Cho, H.S., Park, H.K., et al. 2011. Status and prospect of herbicide resistant weeds in rice fields of Korea. Korean J. Weed Sci. 31(2):119-133. (In Korean)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