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서양종 꿀벌로부터 봉독채집장치를 이용하여 채집한 정제봉독의 pH 안정성에 대하여 평가하고자 멜리틴의 함량, 단백질의변화, 항균력, 세포증식률을 측정하였다. 정제봉독을 pH2에서 pH9까지 24시간 동안 처리한 후 멜리틴 함량과 단백질의 변화, S. aureus, P. acnes, S. mutans와 E. coli에 대한 항균력, 피부세포인 HDF에 대한 세포증식률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pH2에서부터 pH9까지 각각 처리한 정제봉독의 멜리틴 및 단백질 성분의 변화는 확인되지 않았다. 봉독의 주요 약리효과인 항균력에 있어서도 시험균주마다 다소 차이가 있었으나 S. aureus, P. acnes, S. mutans와 E. coli 모두 산도에 따른 유의할 만한 변화는 확인되지 않았다. 또한 피부세포 증식률에 있어서도 산도에 따른 변화는 확인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로 미루어 봉독의 pH처리는 멜리틴 함량, 단백질의 변화, 항균력 및 세포증식률에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어 봉독은 산도의 변화에 있어 안정성이 매우 높은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for the investigation of the stability of purified bee venom (PBV) during the treatment in the pH range from pH2 to pH9 for 24 hours, respectively. Changes of components and physiological functionalities in PBV were by evaluated silver staining, and melittin contents were measured by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항균 및 항염증 등 다양한 약리효과를 갖는 봉독의 제품개발을 위하여 강산 또는 강염기 조건에 놓이게 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봉독의 주요성분이며 생리활성물질인 멜리틴 성분이 산도에 따라 영향을 받는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pH2에서 pH9까지 각각의 pH 조건별로 정제봉독을 24시간 처리 한 후 멜리틴 함량을 액체크로마토그래피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봉독이 각기 다른 pH에서 처리되었을 경우 어떠한 성분 및 생리활성 변화가 초래되는지를 확인하여 봉독을 이용한 소재 개발에 기초 자료로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봉독에 함유된 peptide성분은 무엇인가? 2003) 치료에 한방과 민간요법으로 이용되어 왔다(Kim 1992). 봉독은 40여 가지의 성분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peptide 성분으로는 melittin, apamin, mast cell degranulating(MCD) peptide 등이 있으며, 효소 성분으로는 phospholipase A2 , hyauronidase, acid phosphomonoesteras, 유기성분으로는 histamin, dopamin, noradrenaline 등의 물질로 구성되어 있다(Habermann and Reiz 1965, Kim 1992). 그 중 멜리틴(melittin)은 건조 봉독의 50% 이상을 차지하는 주요성분으로 항염증(Piek 1986, Habermann and Reiz 1965)과 항균작용(Fennell et al.
봉독이란 무엇인가? 봉독은 꿀벌(Apis mellifera L.)의 독낭에 들어있는 자기 방어 물질로 봉침은 수천년 전부터 관절염, 통풍 등(Kim et al. 2002, Kim et al.
정제봉독을 pH2 ~ pH9 조건별로 24시간 처리 후 봉독의 주요성분이며 생리활성물질인 멜리틴 성분함량을 관찰한 결과, 산도가 멜리틴에 미치는 영향은? pH2에서 pH9까지 각각의 pH 조건별로 정제봉독을 24시간 처리 한 후 멜리틴 함량을 액체크로마토그래피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그결과 표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처리 전 멜리틴 함량은 57.2 ± 1.3 이였으며, 강산인 pH2에 처리된 정제봉독은 54.7 ± 2.1, 강염기인 pH9에서는 53.7 ± 3.9로 대조구에 유의할 만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로 미루어 봉독의 주요성분인 멜리틴은 산도에 영향을 받지 않는 것으로 사료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Curcio-Vonlanthen V, Schneider CH, Frutig K, Blaser K, Kalbacher H (1997) Molecular parameters in melittin immunogenicity. J Pept Sci 3(4), 267-276. 

  2. Fennell JF, Shipman WH, Cole LJ (1968) Antibacterial action of melittin polypeptide from bee venom. Proc Soc Exp Biol Med 127(3), 707-710. 

  3. Habermann E, Reiz KG (1965) On the biochemisty of bee venom peptides, melittin and apamin. Biochem Z 343(2), 192-203. 

  4. Han SM, Lee KG, Yeo JH, Hwang SJ, Jang CH, Chenoweth PJ, Park SC (2009) Effects of bee venom treatment on growth performance of young pigs. Am J Chin Med 37(2), 253-260. 

  5. Han SM, Lee KG, Yeo JH, Kweon HY, Baek HJ, Park KK (2010) Antibacterial and anti-inflammatory effects of honeybee (Apis mellifera) venom against acce-inducing bacteria. J Med Plat Res 4, 459-464. 

  6. Han SM, Lee KG, Yeo JH, Kim WT, Park KK (2011) Biological effects of treatment of an animal skin wound with honeybee (Apis mellifera L.) venom. J Plast Reconstr Aesthet Surg 64(3), e67-72. 

  7. Han SM, Lee KG, Yeo JH, Woo SO, Kweon HY (2007) Simplified purificating method of bee venom. Patent 10-0758814. 

  8. Kim HW, Kwon YB, Ham TW, Roh DH, Yoon SY, Lee HJ, Han HJ, Yang IS, Beitz AJ, Lee JH (2003) Acupoint stimulation using bee venom attenuates formalin-induced pain behavior and spinal cord fos expression in rabit. J Vet Med Sci 65(3), 349-355. 

  9. Kim MH (1992) Bee venom therapy. pp.112-124. Korea education. Seoul. 

  10. Kim MJ, Park SD, Lee AR, Kim KH, Jang JH, Kim KS (2002) The effect of bee venom acupuncture on protease activity and free radical damage in synovial fluid from collagen - induced arthritis in rats. Acupuncture 19, 161-175. 

  11. Laemmli UK (1970) Cleavage of structural proteins during the assembly of the head of bacteriophage T4. Nature 227, 680-685. 

  12. Mosmann T (1983) Rapid colorimetric assay for cellular growth and survival: application to proliferation and cytotoxicity assays. J Immunol Methods 16, 55-63. 

  13. Piek T (1986) Venoms of the Hymenoptera. Academic press, London. United Kigdom. 

  14. Rudenko SV, Nipot EE (1996) Modulation of melittin-induced hemolysis of erythrocytes. Biokhimiia 61(12), 2116-2124. 

  15. Wu M, Hancock RE (1999) Interraction of the cyclic antimicrobial cationic peptide bactenecin with the outer and cytoplasmic membrane. J Biol Chem 274(1), 29-35.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