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제방 누수 모니터링을 위한 이동식 TDR 센서의 적용성 평가
A Study on the Applicability of Levee Leakage Monitoring System Using Movable TDR Sensor 원문보기

한국토목섬유학회 논문집 = Journal of the Korean Geosynthetics Society, v.13 no.3, 2014년, pp.1 - 10  

조진우 (Dept. of Geotechnical Engrg., KICT) ,  최봉혁 (Dept. of Geotechnical Engrg., KICT) ,  조원범 (Dept. of Geotechnical Engrg., KICT) ,  김진만 (Dept. of Geotechnical Engrg., KICT)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하천제방 누수측정 방법은 전기비저항탐사GPR탐사 등이 사용되고 있으며, 하천설계기준에 의하면 제방의 누수 시 시추를 통한 제체재료의 투수계수를 측정하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지만 전자의 경우 정확한 누수위치와 제체의 포화정도를 알 수 없으며, 후자의 경우 누수가 발생한 뒤 시추를 통한 조사방법으로 사전에 예측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한편, 이동식 TDR센서는 2000년 이후 개발된 첨단화된 TDR기법으로서 관측공을 따라 측정센서를 연속적으로 유전상수를 측정함으로써, 기존 TDR기법과 달리 제방 깊이별 유전상수를 측정할 수 있는 효율적인 기법이다. 본 논문에서는 이동식 TDR(Time Domain Reflectometry)센서를 이용하여 제방누수 모니터링시스템의 성능을 평가하고자, 하상재료(모래) 및 제체재료(화강풍화토)의 다양한 비교실험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이동식 TDR시스템은 건조단위중량에 비해 함수비가 3배 이상 민감하게 반응하며, 이동식 TDR 센서를 사용하여 측정된 유전상수값은 지반의 함수비, 밀도와 일정한 상관관계를 나타내고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제방 누수탐사에 관한 기초자료로서 활용 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Several types of methods such as resistivity survey, ground penetration radar, etc are used for detection of levee leakage and according to the river design guidelines detection of levee leakage is performed by measuring the hydraulic conductivity of levee soil. But, the former can not verify the l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 2010) 등의 안정성 해석과 관련 하여 연구가 진행되고 있지만 사용되는 TDR 장비의 경우 고정 매립식으로 제방의 설치 후 시공이 어려우며, TDR 센서에서 발생되어 나오는 데이터의 필터링 조건이 까다로워 손쉽게 제방의 누수를 탐지하기 어렵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휴대가 간편하며, 데이터 필터링 없이 제방의 누수측정이 가능한 이동식 TDR 센서를 이용한 제방 누수 사전탐지 기술개발을 위하여 다양한 실내실험 및 현장실험을 통한 적용성 평가를 실시하였다.
  • 본 논문에서는 이동식 TDR 센서를 이용하여 다양한 함수비 및 밀도조건에서 모래와 화강풍화토의 유전상수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본 실험에 사용된 흙 시료의 공학적 특성은 Table 1과 같다.
  • 본 논문에서는 이동식 TDR 센서를 이용한 국내 하천제방 누수 모니터링 평가를 위하여 실내실험을 통하여 이동식 TDR 센서의 탐사능 범위, 함수비 및 단위중량 등의 변화에 따른 유전상수값 변화특성, 제방 누수 모니터링 시스템에 필요한 함수비(Wn)-유전상수(ε) 관계식 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 본 논문은 이동식 TDR 센서를 이용한 제방누수탐지를 위한 기초연구로서, 실내실험을 통하여 지반조건에 따른 흙의 함수비 및 건조단위중량과 유전상수의 상관관계를 평가하였으며, 현장적용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실대형 모형실험 및 수치해석을 통하여 수위변화에 따른 제방의 침윤특성을 관찰하였다. 일련의 연구를 통해 도출된 결론은 다음과 같다.
  • 본 논문은 제방 누수 모니터링을 위한 이동식 TDR 센서의 적용성 평가를 위한 기초 연구로서 최고의 균질성을 확보할 수 있는 함수비 및 밀도 조건을 고려하여 함수비를 3∼18%, 건조밀도를 1.25∼1.45t/m3로 조정하였다.
  • 본 실내실험은 하천제방의 심도별 누수탐지 모니터링 시스템 개발의 기초연구로 이동식 TDR 센서 시스템의 효용성을 평가하고자 흙종류(모래, 화강풍화토), 함수비, 단위중량 등을 변화시켜가며 모형토체의 유전상수를 측정하는 방식으로 수행되었다. 실험조건은 Table 2에서 보듯이 크게 1) 실험 토체 크기 선정을 위한 흙 종류별 TDR 탐사능 평가실험, 2) 흙 종류, 함수비, 밀도 등 영향인자 변화에 따른 이동식 TDR 센서의 효용성 평가실험 등으로 구분하여 수행되었다.
  • 앞서 언급되었듯이 TDR 측정 관련된 하천제방의 영향 요소는 현장함수비, 축제재료변화에 따른 흙 종류, 다짐정도에 따른 단위중량변화 등이다. 본 실험에서는 함수비를 15%로 고정시킨 후 하천제방 현장에서 발생할 수 있는 건조단위중량 변화에 따른 유전상수값의 영향 정도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즉, 본 실험은 건조단위중량의 증가를 유발시키기 위해 토체 내 흙입자 및 물의 량을 동일한 비율로 증가를 시키고, 단위부피당 공기량을 감소시킨 후 유전 상수값을 측정하는 방식으로 수행하였다.
  • 본 실험은 실내실험을 수행할 소형 실험토체의 최적 크기를 선정하고자 수행되었다. 실험 관련 변화인자는 함수비(12%, 25%), 흙의 종류(모래, 화강풍화토), 건조밀도 (1.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하천제방 누수측정 방법은 무엇이 있는가? 하천제방 누수측정 방법은 전기비저항탐사 및 GPR탐사 등이 사용되고 있으며, 하천설계기준에 의하면 제방의 누수 시 시추를 통한 제체재료의 투수계수를 측정하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지만 전자의 경우 정확한 누수위치와 제체의 포화정도를 알 수 없으며, 후자의 경우 누수가 발생한 뒤 시추를 통한 조사방법으로 사전에 예측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한편, 이동식 TDR센서는 2000년 이후 개발된 첨단화된 TDR기법으로서 관측공을 따라 측정센서를 연속적으로 유전상수를 측정함으로써, 기존 TDR기법과 달리 제방 깊이별 유전상수를 측정할 수 있는 효율적인 기법이다.
하천제방 제체 누수가 심해질 경우 어떤 문제가 발생하는가? 하천제방 누수는 하천 외수위가 상승하여 제체 또는 기초지반을 통해 제내지측으로 침투수가 유출하는 현상을 말한다. 이때, 제체 누수는 침윤선이 제내지 비탈면에 도달하여 침투수가 유출하는 것으로 심각할 경우 제방붕괴를 야기 시킨다. 하천제방 제체 누수의 원인은 제방단면이 너무 작은 경우, 제방이 사질토 또는 조립토를 다량으로 포함한 토사로 만들어지고 제외지 또는 중심부에 물막이벽이 없는 경우, 제체를 충분히 다지지 않은 경우, 두더지 등의 동물에 의해 구멍이 뚫린 경우, 제체 내에 매설되어 있는 구조물과의 접합부에 흐름이 생기는 경우 등이 있다.
하천제방 누수란 무엇인가? 하천제방 누수는 하천 외수위가 상승하여 제체 또는 기초지반을 통해 제내지측으로 침투수가 유출하는 현상을 말한다. 이때, 제체 누수는 침윤선이 제내지 비탈면에 도달하여 침투수가 유출하는 것으로 심각할 경우 제방붕괴를 야기 시킨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Cho J. W., Cho W. B., Kim J. M. and Choi B. H. (2012), "A Study on Dielectrical Constant under Ground Conditions", J. of Korea Geo-Environmental Society. Vol.13, No.12, pp. 17-25. 

  2. Dowding, C. H. and Pierce, C.E. (1994), "Use of Time Domain Reflectometry to Detect Bridge Scour and Monitor Pier Movement", Proceedings of the Symposium on Time Domain Reflectometry in Environmental, Infrastructure, and Mining Applications, Evanston, Illinois, Sept. 7-9, pp.579-587. 

  3. Kim K. S. and Kwon, H. S. (2012), "Application of TDR probe in Embankment Compaction Control", Korea Geotechnical Society Magazine, Vol.28, No.1, pp.39-44. 

  4. Kim, K. Y., Han, H. S., Lee, J. H., and Park, M. C. (2011), "Analysis of Saturation and Ground Water Level at Embankment by TDR Sensor", J. of Korea Geotechnical Society, Vol.27, No.2, pp.63-72. 

  5. Kotdawala, S. J., Hossain, M., and Gisi, A. J. (1994), "Monitoring of Moisture Changes in Pavement Subgrades Using Time Domain Reflectometry (TDR)", Proceedings of the Symposium on Time Domain Reflectometry in Environmental, Infrastructure, and Mining Applications, Evanston, Illinois, Sept. 7-9, pp.364-373. 

  6. Laurent, J. P., P. Ruelle, L. Delage, N. Bre´da, A. Chanzy, and C. Chevallier (2001), "On the use of the TDR TRIME-tube system for profiling water-content in soils" Second International Symposium and Workshop on Time Domain Reflectometry for Innovative Geotechnical Applications, Evanston, IL. Sept., 2001, pp.82-94. 

  7. Ledieu, J., De Ridder, P., and Dautrebande, A. (1986), "A Method for Measuring Soil Moisture by Time Domain Reflectometry", J. of Hydrology, Vol.88, pp.319-328. 

  8. Park, M. C., Lee, J. H., and Han, H. S. (2010), "Prediction of Slope Failure Surface Using TDR Sensor", Proceedings of Korea Society of Civil Engineers, pp. 405-408. 

  9. Park, M. C., Lee, J. W., Kim, Y. S., Han, H. S. (2012), "Seepage Analysis of Large-Scale Embankment Model by Revised TDR Sensor", Journal of Korea Geotechnical Society, Vol.28, No.11, pp.53-67. 

  10. Reynolds, J., M. (1997), An Introduction to Applied and Environmental Geophysics, John Wiley&Sons, pp.115-140. 

  11. Scheuermann, A. and A. Bieberstein (2006), "Monitoring of dams and dikes-water content determination using Time Domain Reflectometry (TDR)", In: 13. Donau-Europe ische Konferenz fur Geotechnik, Ljubljana, Slowenien, Mar. 29-31, pp.493-498. 

  12. Topp, G. C., Davis, J. L., and Annan, A. P. (1980), "Electromagnetic Determination of Soil Water Content: Measurement in Coaxial Transmission Line", Water Resources Research, Vol.16, No.3, pp.574-582. 

  13. Topp, G.C. and Davis, J.L. (1985), "Time Domain Reflectometry (TDR) and its Application to Irrigation Scheduling", Advances in Irrigation, Vol.3, Academic Press, pp.107-127. 

  14. Xiaozhen Jiang, Mingtang Lei, Yongli Gao, Yan Meng, and Xiaohong Sang (2008), "Monitoring soil void formation along highway subgrade using Time Domain Reflectometry (TDR), a pilot study at Guilin-Yangshuo highway, Guangxi, China", Proceedings of the Eleventh Multidisciplinary Conference, Sinkholes and the Engineering and Environmental Impacts of Karst (GSP 183), pp.213-222. 

  15. Xinbao Yu (2009), Experimental Study of an Innovative Bridge Scour Sensor, Ph.D. Dissertation, Case Western Reserve Univ., pp.15-35.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