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의료폐기물 처리의 권역화 방안 연구
The Study of Area-division Strategy for Medical Waste Disposal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2 no.9, 2014년, pp.255 - 263  

안세희 (서강대학교 대학원 법학박사과정) ,  안상윤 (건양대학교 병원경영학과)

초록

선진국과 달리 한국에서는 낮은 처리비용 등을 이유로 원거리에 있는 폐기물 처리시설에 의료폐기물 처리를 위탁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과정에서 위험성 때문에 의원입법으로 개정법률안이 국회에 제출되어 있다. 본 연구는 선진국과의 비교연구를 통하여 의료폐기물 관련 문제해결을 위한 효과적인 방안을 모색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은 문헌고찰 및 법률의 비교연구를 통한 서술식 방법을 채택하였다. 외국에서는 감염성 폐기물에 대하여 발생지 인근에서 신속한 처리를 원칙으로 하면서 장거리 이동 가능성을 제한하고 다양한 기술사용을 권장하고 있는 것에서 한국과 차이를 보인다. 따라서 외국 사례와 비교하여 의료폐기물 최적의 처리방안으로 권역화 방안을 제시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t is different from other countries, they limit the possibility of long-distance travel of infectious waste by principles around treatment and recommend to use various techniques. Medical waste generated from the health medical institutions requires more thorough management because it causes poten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외국의 사례 및 2013년 9월 발의된 폐기물처리에 관한 개정법률안의 내용을 토대로 효과적인 의료폐기물처리 방향을 모색해보고자 했다. 외국에서는 감염성 폐기물에 대한 처리과정을 철저히 추적하고 감염성 폐기물의 발생지 인근 처리 원칙으로 장거리 이동 가능성을 제한하고 소각 외 증기멸균, 건열멸균 등다양한 기술사용 권장 등을 꼽았다.
  • 개선 방안의 타당성을 확보하기 위해 가능하면 의료폐기물처리에 대한 외국 사례를 다수 분석하여 국내 상황과 비교했다. 또한 이형석[5]의 주장대로 본 연구는 일반 대중들의 관심과 직결되어 있고 매스컴에서 중요하게 보도되고 있는 점을 감안하여 국내외 인터넷 사이트를 활용하여 필요한 자료를 확보하고자 했다.
  • 본 연구는 문헌연구를 통한 비교연구를 중심으로 수행했다. 문헌에는 국내외의 법령, 단행본, 논문 등이 포함되었으며 문헌들에 대한 심층조사 및 분석의 형태로 연구를 진행하고자 했다.
  • 이와 같은 관점에서 개정법률안에서는 개선방안으로 권역화를 제안하고 있는데, 그 내용은 의료폐기물의 처리권역을 3개로 구분하여 폐기물 배출자는 사업장이 위치한 지역이 속하는 권역에서 해당 폐기물을 신속하게 처리하도록 하는 것을 골자로 하고 있다. 이를 계기로 본 논문은 외국에서 의료폐기물이 처리되고 있는 실태를 비교분석하여 바람직한 의료폐기물처리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가설 설정

  • 둘째, 서울 및 수도권에 위치한 처리업체의 수용량에 대한 것이다. 권역화가 되면 서울 및 수도권역에 위치한 3개 업체는 기존 4만3,329톤은 물론 지방 처리업체들이 소화하던 물량까지 모두 가져올 수 있다.
  • 셋째, 처리단가 상승의 문제이다. 대한병원협회는 수도권에 폐기물배출기관이 전국의 40% 이상을 차지하고 있고 한강청(수도권)내 의료폐기물 중간처리업체는 3곳으로 수급불균형 가능성이 있어 동 권역처리업체의 독과점에 따른 가격 상승요인으로 작용할 우려가 있다고 지적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우리나라에서 원거리에 있는 폐기물 처리시설에 의료폐기물 처리를 위탁 가능한 이유는 무엇인가? 선진국과 달리 한국에서는 낮은 처리비용 등을 이유로 원거리에 있는 폐기물 처리시설에 의료폐기물 처리를 위탁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과정에서 위험성 때문에 의원입법으로 개정법률안이 국회에 제출되어 있다.
격리의료폐기물, 위해의료폐기물, 일반의료 폐기물은 무엇인가? 격리의료폐기물은「감염병의 예방 및 관리에 관한 법률」제2조 제1호의 감염병으로부터 타인을 보호하기 위하여 격리된 사람에 대한 의료행위에서 발생한 일체의 폐기물을 말한다. 위해의료폐기물에는 조직물류폐기물, 병리계폐기물, 손상성폐기물, 생물·화학폐기물, 혈액오염 폐기물이 있다. 조직물류폐기물은 인체 또는 동물의 조직·장기·기관·신체의 일부, 동물의 사체, 혈액·고름 및 혈액생성물(혈청, 혈장, 혈액제제), 병리계폐기물은 시험·검사 등에 사용된 배양액, 배양용기, 보관균주, 폐시험관, 슬라이드, 커버글라스, 폐배지, 폐장갑을 말한다. 손상성폐기물은 주사바늘, 봉합바늘, 수술용 칼날, 한방침, 치과용침, 파손된 유리재질의 시험기구, 생물·화학폐기물은 폐백신, 폐항암제, 폐화학치료제를 말하고, 혈액 오염폐기물은 폐혈액백, 혈액투석시 사용된 폐기물, 그밖에 혈액이 유출될 정도로 포함되어 있어 특별한 관리가 필요한 폐기물이다. 일반의료폐기물은 혈액·체액·분비물·배설물이 함유되어 있는 탈지면, 붕대, 거즈, 일회용기저귀, 생리대, 일회용 주사기, 수액세트를 말한다. 이때 의료폐기물이 아닌 폐기물로서 의료폐기물과 혼합되거나 접촉된 폐기물은 혼합되거나 접촉된 의료폐기물과 같은 폐기물로 본다.
의료폐기물이란 무엇인가? 폐기물관리법 제2조 제5호에 의하면, 의료폐기물이란 보건·의료기관, 동물병원, 시험·검사기관등에서 배출되는 폐기물 중 인체에 감염 등 위해를 줄 우려가 있는 폐기물과 인체조직 등 적출물, 실험동물의 사체 등 보건·환경보호상 특별한 관리가 필요하다고 인정되는 폐기물로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폐기물을 말한다. 이러한 의료 폐기물의 배출량은 부서, 요일, 발생원의 규모 및 범위, 계절 등에 따라 다르며 특히, 나라에 따라 큰 차이를 보이고 있다[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Young-Hun Kim, Hae-Jong Lee, Hospital Management of Ryu Seong Hum, Academya, 43, 2013. 

  2. Young-Joon Seo, Shin-Hee Kang, Yeon-Hee Kim, Yong-Gyun Lee, Present and Future of Green Hospitals in Korea,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Healthcare Architecture, Vol. 16, No. 1, pp. 43-53. 

  3. Gyun-Seong Park.Tae-Sung Ham, Environmental Law, Bakyoungsa, 523, 2013. 

  4. Jun-Hyeong Hong, Special Topics in Environmental Law, Bakyoungsa, pp. 375-376, 2013. 

  5. Hyung-Suk Lee, Principle of Research Paper for Social Science, Hankyungsa, 22, 2009. 

  6. Chang-Kyou Lee, Sun-Chul Whang, Management and Treatment of Medical Waste in Developed Countries, Health Sciences Research, 44, 1994. 

  7. United Nations Environment Program, Technical Guidelines on the Environmentally Sound Management of Biomedical and Healthcare Activities, 2003. 

  8. Mun-Seop Lee, A study on the medical waste management policies, Yonsei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Engineering Master's thesis, pp. 22-24, 2009. 

  9. World Health Organization, Safe Management of Wastes from Healthcare Activites, 2003. 

  10. Institute of Medicine, Green Healthcare Institions - Health, Environment, and Economics, IOM, 2007. 

  11. http://www.kwtimes.co.kr/bbs/board.php?bo_tabletb05&wr_id13, improvement measure for medical waste self-disposal facility, 2010. 

  12. Man-Woo Lee, Review of the medical waste-related health care institutions, National Assembly Research Service, pp. 5-6, 2009. 

  13. Joo-Kyung Kim, The Concept and Contents of Constitutional Right to Health, Legal research, 23(4), 94, 2014. 

  14. Jung-Kyu Kang, A Study on Environmental Information Disclosure of Hospitals, The Journal of Digital Policy & Management, 11(12), pp. 577-588, 2013. 

  15. Byung-Uk Ahn, Issue and Improvement Measure of Medical Waste Management, Healthcare Policy, 4(1), pp. 193-198, 200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