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청소년의 학업소진과 학교적응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Mediating effects of self-efficacy in the relationships between academic burnout and school adjustment on middle school students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2 no.9, 2014년, pp.455 - 463  

최옥 (전남대학교 교육학과) ,  이우송 (전남대학교 교육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의 목적은 중학생들의 학업소진, 자기효능감이 학교적응에 어떠한 과정을 거쳐서 영향을 미치는지 변인들 간의 경로를 규명하여 경로모형을 검증하고, 자기효능감매개효과를 살펴보는 데 있다. 이러한 목적에 따라 G시에 있는 세 곳의 중학교 3학년 학생들 713명을 대상으로 연구가 진행되었다. 연구결과는 첫째, 경로계수와 적합도지수가 유의하여 경로모형이 유의한 것으로 검증되었다. 둘째, 학업소진은 자기효능감과 학교적응에 직접적으로 부적인 영향을 미치며, 자기효능감은 학교적응에 정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자기효능감은 학업소진과 학교적응 사이에서 유의한 매개효과가 있음이 검증되었다. 이러한 결과에 근거하여 우리나라 청소년들에게 부과되는 과도한 학업요구로 인한 학업소진이 학교적응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지만, 개인변인으로써 자기효능감이 잘 발달되어있다면 학교부적응을 줄일 수 있기 때문에 자기효능감과 같은 심리적 요인에 대한 개입이 필요함을 확인하였고, 이결과를 토대로 논의 및 후속연구를 제안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fine the paths through which academic burnout and self-efficacy of middle school students affect school adjustment, verify the path model of each factor, and examine the mediator effects of self-efficacy. In line with this objective, the study conducted a survey on ...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이 연구는 청소년들의 가장 주된 스트레스의 원인인 학업문제가 학업소진에 이르게 하며, 학업소진은 학교적응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기 때문에 학교 적응 행동을 가장 잘 설명할 수 있는 변인인 자기효능감이 학업소진과 학교적응 사이에서 어떤 역할을 하는지 알아보고자 수행되었다.
  • 자기효능감이 완벽주의, 가족기능, 사회적 지지, 정서 지능, 정서적 지지 등의 변인들과 학교적응 사이에서 직접적으로, 혹은 간접적으로 영향을 준다는 연구 결과들은 쉽게 찾아볼 수 있으나 학업소진과 학교적응 사이에서의 역할에 관한 연구들은 매우 미진한 실정이다. 그러므로 이 연구는 우리나라 청소년들의 삶의 질과 행복을 저해하는 학업스트레스와 학업소진의 수준과 영향력이 심각한 만큼 학업소진과 자기효능감이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또 자기효능감이 학업소진과 학교적응사이에서 어떤 역할을 하는지 알아보고자 수행되었다.
  •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중학교 3학년을 대상으로 그들의 학업소진이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자기효능감이 그 사이에서 어떤 역할을 하는지 알아보기 위해 다음과 같이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 매개효과는 독립변인이 종속변인에 영향을 미치는데 있어서 제 3변인이 두 변인의 관계를 매개하는 간접효과를 갖는 것을 말한다. 이 연구에서는 학업소진이 학교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데 있어서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가 유의한지 알아보기 위해 직접효과와 간접효과를 살펴보았다. 직접효과와 간접효과를 분석한 결과는 [Table 4]와 같다.
  • 이 연구는 중학생의 학업소진이 학교적응에 미치는 직접적 영향과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분석함으로써, 중학생들의 보다 나은 학교적응 방안을 모색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중학생의 학교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학업소진의 직접효과와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부분매개모형으로 분석되었다.
  • 둘째, 현주, 차정은, 김태은(2006)의 연구에서는 자기효능감과 학교적응 간의 상관은 초등학교에서 중학교로 갈수록 낮아졌다. 이는 학년이 올라갈수록 자기효능감이 학교적응을 보장해 주지 않는다는 것인데 이를 검증해보는 것도 의미 있는 일이라 생각되므로 초등학생과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연구를 해보는 것을 제안한다.

가설 설정

  • 자기효능감의 기본적 가정은 “자기 자신의 힘으로 바라는 결과를 성취할 능력을 가지고 있다는 신념”이다.
  • 1-1. 학업소진은 자기효능감에 부적영향을 미칠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학업의 특징은? 학생들에게 학업수행은 주요한 발달과업이다. 학업은 상급학교로의 진학이나 사회진출을 위한 취업 등 진로문제와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으며, 성인기의 생활에도 커다란 영향을 미치게 된다. 이러한 학업의 문제는 학생 자신뿐만 아니라 그들의 부모가 지니는 기대와 결부되어 많은 고민과 갈등을 유발하고 있다.
학업의 문제가 많은 고민과 갈등을 유발하는 이유는? 학업은 상급학교로의 진학이나 사회진출을 위한 취업 등 진로문제와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으며, 성인기의 생활에도 커다란 영향을 미치게 된다. 이러한 학업의 문제는 학생 자신뿐만 아니라 그들의 부모가 지니는 기대와 결부되어 많은 고민과 갈등을 유발하고 있다. 청소년기는 인간의 발달단계 중에서 가장 많은 스트레스를 받는 시기이며, 여기에 더해 우리나라 청소년들은 지나치게 높은 교육열과 학벌을 강조하는 풍토 때문에 학업스트레스까지 추가로 받고 있는 실정이다.
학업소진의 구성개념인 고갈, 냉담, 무능감이란? 학업소진의 구성개념은 고갈, 냉담, 무능감이다[12].고갈은 신체적 피로감, 무력감, 우울, 불안, 긴장, 일에 대한 에너지 저하, 지친 느낌을 말하며, 냉담은 학업에 대한 무관심, 초연한 태도를 말하며, 무능감은 자기평가 및 대처전략과 관련이 있다. 즉, 만성적인 학업 및 학업환경에 대해 부담감, 압박, 스트레스를 느끼며, 공부에 대해 냉소적이며, 자신을 학생으로서 무능하게 느낀다면 학업소진이 나타나는 것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Lee, M., & Larson, R. (2000) The Korean 'Examination Hell'; Long Hours of Studying, Distress and Depression. Journal of youth and Adolescence, 29(2), 249-271 

  2. Jung-Gyu Hwang (1990). The stress estimation and formation of Korean students . Journal of the college educ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41 

  3. Myung-Han Jo, Jung-O Kim, Seok-Man Gweon (1994). The Quality of Life as Perceived by the Youth. Social Science and Policy Research, 16(2), pp. 51-94 

  4. Crosnoe, R., Elder, G. H. (2004). Family Dynamics, Supportive Relationships and Educational Resilience During Adolescence. Journal of family issues, 25(5), 22-34. 

  5. Hyo-Hyun Lyu (2001). A study on the relationship among self-efficacy, learning motivation and school adjustment. (Unpublished master's thesis) Hong-ik University, Seoul, Korea 

  6. Schunk, D. H.(1982). Effect of effort attributional feedback on children's perceived self-efficacy and achievement.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ist, 74(4), 548-556. 

  7. Freudenberger, H. J.,(1974), Staff burnout. Journal of Socisl Issue, 3(1), 159-165. 

  8. Pine, Aronson & Kafry, 1981). From tedium to personal growth. The Free Press. A division of MacMillan Publishing Co., Inc., N. Y. 

  9. Salmera-Aro, K., Vouri, J. & Kovisto, P.(2007). Adolescents motivational orientations, school subject values, and well-being: A personal centered approach. Hellenic Journal of Psychology, 4, 310-330. 

  10. Meier, S. F,, Schmeck, R. R.(1985). The burnout collage student: A descriptive profile. Journal of Collage Student Personnel, 26(1), 63-69. 

  11. Schaufeli, W. B., Martinez, I., Marques-Pinto, A., Salanova, M., & Baker, A. B.,(2002). Burnout and engagement in university student: A crossnational study. Journal of Cross-Crutural Psychology, 33, 464-481 

  12. Bresto, B., Salanova, M., & Schaufeli, W. B. (2007). In Search of the 'Third Dimention' of burnout: Efficacy? or Inefficacy?. International Association of Applied Psychology, 56(3), 460-478. 

  13. Bandura, A. L. (1986). Social foundations of thought and action: A social cognitive theory. Englewood Cliffs, N. J.: Prentice Hall. 

  14. Sherer, M., Maddux, J., Mercandante, B., Prentice-Dunn, S., Jacobs, B., & Rogers.(1983). The efficacy scale: Construction and Validation. Psychollogical Report, 51, 663-671 

  15. Hye-Jin Jo, Ji-Yeon Lee, Jin-i Jang (2013). The Mediating Effects of Academic Self-Efficacy and Academic Failure Toleran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xcessive Academic Demands and Academic burnout on Highschool Students. Korean Journal of Counselling, 14(2), 1471-1487. 

  16. Yeon-Yeon Ma, Sung-Yeon Ueo, Jung-Hyun Kim, In-Gyung Jung(2013), The Mediating Effects of Academic Self-efficac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cademic Stress and Academic burnout on Chinese adolescent. Korean Home Economic Education Association 1, pp. 117-117 

  17. Yang, H. J. (2004). Factors affecting student burnout and academic achievement in multiple enrollment programs in Taiwan's technical-vocational colleges. International Journal of educational Development, 41. 153-162. 

  18. Spencer, M. B. (1999). Social and cultural influencd on school adjustment: The application of an identity-focused cultural ecological perspective. Educational Psychologist, 34, 43-57. 

  19. Bierman, K. L. (1994). School adjustment. In R. J. Corsini (Ed), Encyclopedia of psychology. A Wiley-Interscience Publication, John Wiley & Sons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