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충청북도 제천시 봉화재 일대의 지질구조
Geological structures in the Bonghwajae area Jecheon-si, Chungcheongbuk-do, Korea 원문보기

암석학회지 = The journal of the petrological society of korea, v.23 no.2, 2014년, pp.105 - 117  

정진우 (안동대학교 지구환경과학과) ,  강지훈 (안동대학교 지구환경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옥천변성대의 북동 선단부에 위치하는 충청북도 제천시 봉화재 지역은 옥천누층군과 조선누층군이 분포한다. 본 논문은 중첩 변형된 주요 암석 및 미구조의 기하학적 운동학적 특성과 선후관계로부터 봉화재 지역의 지질구조를 연구하였다. 광역엽리의 대부분은 S0 층리가 아닌 신장된 광물들의 정향배열에 의해 정의되는 S0-1의 복합엽리로 나타나고, 일부는 불용해성 불투명 광물과 벽개 라멜라의 정향배열로 정의되는 S0-1-2 복합엽리로 인지된다. 연구지역의 지질구조는 북북동-남남서 방향의 D1 압축작용, 동-서 방향의 D2 압축작용, 남-북 방향의 D3 압축작용 등 적어도 세 번의 변형단계를 거쳐 형성되었다. 조선누층군과 옥천누층군 구성지층의 대상 분포방향과 유사한 S0-1 복합엽리는 D2 변형 이전에 서북서 방향이었으나, D2 변형에 의해 S2 엽리와 평행한 남-북 방향으로 재배열되었고, D3 변형에 의해 현재와 같이 북서, 북동, 남-북 방향으로 재배열되었다. 변형단계별 구조적 특성과 변형작용사는 연구지역의 조선누층군과 옥천누층군이 북북서 방향으로 연장되는 부산지역 동부 영역과 매우 유사하고, 이들 연구결과는 옥천변성대 북동 선단부의 지구조 발달과정을 해석하는데 매우 유용하게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Ogcheon and Joseon Supergroups are distributed in the Bonghwajae area, Jecheon-si, Chungcheongbuk-do, Korea which is located in the northeastern fore-end of the Ogcheon Metamorphic Zone. This paper researched the geological structures based on the geometric and kinematic characteristics and the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논문은 황강리 지질도폭의 봉화재 일대의 지질도를 바탕으로 노두별 상세한 야외지질조사를 수행하여, 옥천누층군과 조선누층군의 변형된 주요 암석 및 미구조에 대한 기하학적·운동학적 특성과 중첩된 이들 변형구조의 선후관계로부터 각 변형단계별 구조적 특성과 변형작용사를 연구하였고, 그 결과를 기존 연구결과와 비교·검토하여 옥천변성대의 지체구조론적 의미를 고찰해 보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충청북도 제천시 봉화재 지역은 어디에 위치하는가? 옥천변성대의 북동 선단부에 위치하는 충청북도 제천시 봉화재 지역은 옥천누층군과 조선누층군이 분포한다. 본 논문은 중첩 변형된 주요 암석 및 미구조의 기하학적 운동학적 특성과 선후관계로부터 봉화재 지역의 지질구조를 연구하였다.
옥천대는 어떻게 구분되어 있는가? 한반도 중남부에 북동-남서 방향으로 발달하고 있는 옥천대는 주로 선캠브리아기 변성암복합체로 구성된 경기육괴와 영남육괴에 의해 그 북서부과 남동부가 각각 경계져 있고, 문경과 평창을 경계로 북동부 옥천대(태백산대)와 남서부 옥천대(옥천변성대)로 구분된다(Fig. 1).
봉화재 지역에 분포하는 조선누층군과 옥천누층군은 몇 번의 변형단계를 거쳐 형성되었을까? Kang(2001)은 옥천변성대의 북동 선단부에 위치하는 부산지역에서 부산 편마암복합체와 이를 둘러쌓고 있는 옥천누층군에 대한 변형단계별 구조요소들의 영역별 방향성 변화와 상대적인 발달정도에 대한 연구를 통하여 부산지역의 지질구조는 적어도 세 번의 변형단계를 거쳐 형성되었음을 보고한 바가 있다. 그에 따르면 첫 번째 변형은 북북동-남남서 방향의 압축작용과 관련하여 서북서 방향의 지구조단위들과 칼집 내지 A형 등사습곡 그리고 S1 엽리면상에 사교 내지 경사 방향의 L1 신장선구조를 형성시켰다(Kang, 2001의 Figs.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3)

  1. Cluzel, D., Cadet, J.P. and Lapierre, H., 1990, Geodynamics of the Ogcheon Belt (South Korea). Tectonophysics, 183, 41-56. 

  2. Cluzel, D., Jolivet, L. and Cadet, J.P., 1991, Early Middle Paleozoic intraplate orogeny in the Ogcheon Belt (South Korea). A new insight on the Paleozoic buildup of East Asia. Tectonics, 10, 1130-1151. 

  3. Goscombe, B., 1991, Intense non-coaxial shear and the development of mega-scale sheath folds in the Arunta Block, Central Australia. Journal of Structural Geology, 13, 299-318. 

  4. Kang, J.-H., 1994, Tectonic evolution of the Ogcheon Zone, South Korea. Ph.D. dissertation, Hiroshima University, Japan, 119p. 

  5. Kang, J.-H., 2001, Geological structure of the Ogcheon Metamorphic Zone in the Busan area, Korea: a new geodynamic model to the heart-shaped Busan gneiss complex. Journal of the Petrological Society of Korea, 10, 106-120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6. Kang, J.-H., Hayasaka, Y. and Ryoo, C.-R., 2012, Tectonic evolution of the Central Ogcheon Belt, Korea. Journal of the Petrological Society of Korea, 21, 129-150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7. Kang, J.-H. and Lee, C.G., 2002, Geological structure of Okcheon Metamorphic Zone in the Miwon-Boeun area, Korea. Journal of the Petrological Society of Korea, 11, 234-249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8. Kihm, Y.H. and Kim, J.H., 2003,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the Central Ogcheon Belt, South Korea: orogen-parallel tectonic transport model. Journal of Asian Earth Sciences, 22, 41-57. 

  9. Kihm, Y.H., Kim, J.H. and Koh, H.J., 1996, Geology of the Deogsan-myeon area, Jecheon-gun, Chungcheongbuk-do, Korea: contact between the Choseon and Ogcheon Supergroups. Journal of the Geological Society of Korea, 32, 483-499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0. Kihm, Y.H., Kim, J.H. and Lee, J.U., 1999, Geological structures of the Choseon and Ogcheon Supergroups in the Deoksan-Cheongpung area, Jecheon-gun, Chungcheongbuk-do, Korea. Journal of the Geological Society of Korea, 35, 233-252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1. Lee, H.Y., Lee, M.S. and Um, S.H., 1980, Geochemistry of amphibolites in the Hwanggangri area, Korea. Journal of the Geological Society of Korea, 16, 93-104. 

  12. Lee, M.S. and Park, B.S., 1965, Explanatory text of the geological map of Hwanggangri sheet (1: 50,000). Geological Survey of Korea, 9p. 

  13. Park, A.F., 1988 Geometry of sheath folds and related fabrics at the Luikonlahti mine, Svecokarelides, eastern Finland. Journal of Structural Geology, 10, 487-498.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