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선박조직에서 리더의 커뮤니케이션 스타일이 갈등 및 직무태도에 미치는 영향
The Impact of Leader's Communication Style on the Conflict and Job Attitude in Ship Organization 원문보기

한국항만경제학회지 = Journal of Korea Port Economic Association, v.30 no.3, 2014년, pp.59 - 87  

손장윤 (STX 마린서비스) ,  신용존 (한국해양대학교 해운경영학부) ,  이정경 (한국해양대학교 대학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선박조직에서 선 기관장의 커뮤니케이션 스타일이 집단갈등에 미치는 영향과 이에 대한 이사회성과 이가정성의 조절효과를 분석하고, 선 기관장 커뮤니케이션 스타일과 집단갈등이 집단 구성원들의 직무태도인 직무만족도와 조직몰입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였다. 커뮤니케이션 유형들과 집단갈등, 직무만족도 및 조직몰입도에 대한 선행연구들을 고찰하여 각각의 관계를 규명하기 위해서 연구모형과 연구가설을 설정하였고 연구가설을 검증하기 위한 설문지를 작성, 배포, 회수하여 이들의 관계를 검증하였다. 가설검증의 결과, 선장과 기관장이 선원들과 직접 커뮤니케이션하는 선 기장 중심형이 선 기장의 지시를 받은 1항 기사가 선원들과 커뮤니케이션하는 1항 기사 중심형 커뮤니케이션 스타일 보다 집단갈등이 낮고, 직무만족도와 조직몰입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선 기관장의 커뮤니케이션 스타일과 집단갈등의 관계에 대한 이가정성의 상호작용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이가정성이 낮은 집단에서는 선 기관장 중심형의 커뮤니케이션 스타일이 선박조직 구성원들의 집단갈등이 매우 낮아짐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선 기장의 커뮤니케이션 스타일에 따른 집단갈등은 직무만족도와 조직몰입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제한된 구성원간의 단조로운 인간관계, 육상의 정보 제한, 전통적인 하향식 지시 명령체계, 외국인 혼승의 증대 등으로 커뮤니케이션 장애요인이 매우 높은 선박조직을 대상으로 커뮤니케이션의 실체를 분석하여 바람직한 커뮤니케이션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 점에서 매우 의미있고 가치있는 연구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two kinds of Master and Chief Engineer's communication style on group conflicts and members' attitude including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to analyze the moderating effect of the isolation from home and community on the r...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해운기업의 선박조직에서 인간관계는 수동적이며 그에 따른 소외감이 높을 수밖에 없는 이유는 무엇인가? 해운기업의 선박조직은 육상조직과 달리 20명 내외의 인원이 승선하고 다른 조직보다 대인 접촉의 범위가 좁고, 승선근무로 인해 육상과 접촉하는 기회가 적으며, 선내 승무원 중에서도 한정된 자 이외에는 다른 구성원들과의 개인 접촉이 많지 않으므로 인간관계는 수동적이며 그에 따른 소외감이 높을 수밖에 없다(이종석, 2012). 또한 폐쇄적이고 열악한 환경에서 오는 스트레스가 높고 근무시간 외에도 바다 위에 있음으로써 활동에 많은 제약이 있으며 특수한 근로환경에서 오는 해상의 신체적, 기계적 위험은 전반적인 사기저하의 문제를 발생하게 한다.
커뮤니케이션이란 무엇인가? 커뮤니케이션의 기본적 개념을 살펴볼 때 커뮤니케이션은 조직 구성원들 사이의 전달과정이자 그들의 상호작용에 결정적인 요인의 하나로 인식되며 집단들 간에 정보를 교환하는 공유 활동이라 할 수 있다.
비용 상의 문제로 지속적인 정보수집이 어렵고 육상에서 받을 수 있는 정보량에 한계가 있기 때문에 선원들이 항구에 정박해서야 비로소 많은 정보를 접할 수 있어서 겪게 되는 어려움으로 무엇이 있는가? 또한 인터넷 사용 등 과거와 달리 업무환경이 많이 나아졌으나 비용 상의 문제로 지속적인 정보수집이 어렵고 육상에서 받을 수 있는 정보량에 한계가 있기 때문에 항구에 정박해서야 비로소 많은 정보를 접할 수 있다. 이는 조직자체가 폐쇄적으로 되기 싶고 부족한 정보량 및 정보취득에 어려움을 겪는다. 이런 상태에서 잘못된 정보가 전달되면 쉽게 받아들여지고, 일단 한번 잘못된 정보는 시정하기가 쉽지 않아 때로는 격한 반응을 불러일으키기도 한다(김영모, 199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9)

  1. 강성관, "호텔 부서 간 갈등과 조직 유효성 연구-연회판촉팀 서비스팀 간 갈등관리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경기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7. 

  2. 곽의영, "커뮤니케이션만족에 의한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의 증대에 관한 연구", 인하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3. 

  3. 김성국, 조직행동론, 서울: 명경사, 2010. 

  4. 김영국, "조직내 커뮤니케이션과 직무만족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2. 

  5. 김영모, 선내노무관리 19장, 부산: 한국해기연수원, 1991. 

  6. 김세연, "커뮤니케이션 능력이 갈등해결전략과 매체이용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5. 

  7. 김종태, "선박조직 구성원의 신뢰 및 조직유효성에 관한 연구 : 속성신뢰를 중심으로", 한국해양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2. 

  8. 박소정, "호텔기업 내 조직커뮤니케이션 만족이 직무태도 및 고객 지향성에 미치는 영향", 경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2. 

  9. 박은종, 인간관계론 탐구: 이론과 실제, 파주: 한국학술정보. 2012. 

  10. 박천영, "갈등관리 유형에 따른 커뮤니케이션이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 한성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3. 

  11. 박혜진, "대학행정직원의 조직 커뮤니케이션 만족이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아주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8. 

  12. 서문식.김유경, "서비스제공자의 커뮤니케이션 스타일이 관계지향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마케팅관리연구, 제5권, 제2호, 2000, 123-146 

  13. 서판수, "의사의 커뮤니케이션 스타일이 환자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동아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2. 

  14. 신용존, "해운기업 선박조직과 육상부서 간의 커뮤니케이션과 갈등의 인식차와 조직유효성에 관한 연구", 한국항만경제학회지, 제28권, 제4호, 2012, 231-255. 

  15. 신현희, "의료진의커뮤니케이션이 환자의 자발적인 자기정보공개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대한경영학회지, 제24권, 제1호, 2011, 179-198. 

  16. 유시정.양태식.양경미, "조직내 의사소통 환경이 직무만족과 몰입에 미치는 영향: 서비스 기업의 CEO 리더십 유형을 중심으로", 서비스경영학회지, 제7권, 제2호, 2006, 31-56. 

  17. 이건협, "조직내 커뮤니케이션 유형과 갈등관리방식의 관계에 관한 연구", 단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7. 

  18. 이상로, 성격과 행동의 지도, 서울: 중앙적성출판부, 1979. 

  19. 이범희, "한국송입선원의 직무환경요인이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 연구", 부경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7. 

  20. 이희상, "해운기업의 조직구조적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해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3. 

  21. 이종석, "외국인 선원 혼승선박내 선원간 문화동질성과 승선근무 내성의 차이가 조직커미트먼트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항해항만학회지, 제21권, 제10호, 2007, 897-903. 

  22. 이종석, "선박조직의 커뮤니케이션과 갈등이 집단 응집성 및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해양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2. 

  23. 이학종.박헌준, 조직행동론, 서울: 법문사, 2006. 

  24. 임의성, "한의사의 커뮤니케이션스타일이 환자만족과 재이용에 미치는 영향", 전주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4. 

  25. 임창희, 조직행동, 서울: 비앤엠북스, 2008. 

  26. 정영섭, "외국인 선원 혼승선박의 문화.조직적 특성이 자기효능감과 조직커미트먼트에 미치는 영향", 한국해양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6. 

  27. 조영호.문덕중, "커뮤니케이션 만족도와 조직성과에 대한 인식", 인사관리연구, 제18집, 1994. 135-150. 

  28. 차희원, "시민단체와 대응 조직체간 강등해소를 위한 승승적 PR전략에 관한 연구-시민단체의 커뮤니케이션 특성과 갈등결과, 그리고 영향요인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0. 

  29. 한국해기사협회, 선원가족의 생활실태와 의식, 부산: 한국해기사협회, 2012. 

  30. 홍기선, 커뮤니케이션론, 서울: 나남출판사, 1984. 

  31. 황준, "조직 내 상향식 커뮤니케이션의 활용실태와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과학기술원 석사학위논문, 2006. 

  32. Ben-Sira, Z., "Affective and Instrumental Components in the Physician-Patient Relationship: An Additional Dimension of Interaction Theory," Journal of Health and Social Behavior, Vol.21(June), 1980, 170-180. 

  33. Cheney, G. & McMillan, J. J., "Organizational rhetoric and the practice of criticism," Journal of Applied Communication Research, Vol.18(2), 1990, 93-114. 

  34. Cleary, P. D. & McNeil, B. J., "Patient satisfaction as an indicator of quality care," Inquiry, Vol.25(1), 1988, 25-36. 

  35. Downs, C. W., Downs, A., Potvin, T., Varona, F., Gribas, J. S. & Ticehurst, W., "A cross-cultural comparison of relationships betwee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organizational communication," The International Communication Association Convention, Albuquerque, NM, 1995. 

  36. Downs, C. W. & Hazen, M. D., "A factor analytic Study of communication satisfaction," Journal of Business Communication, Vol.14(3), 63-73. 

  37. Dwyer, F. R., Schurr, P. H. & Oh, S., "Developing Buyer-Seller Relationships," Journal of Marketing, 51(April), 1987, pp.11-27. 

  38. Fisher, A. A., Perspectives on Human Communication, 1978, McGraw-Hill. 

  39. Pincus, D., "Communication satisfaction, job satisfaction, and job performance," Human Communication Research, Vol.12(3), 1986, 395-419. 

  40. Putti, J. M., Aryee, S. & Phua, J., "Communication Relationship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Group & Organization Studies, 15(1), 1990, pp.44-53. 

  41. Roberts, K. H. & O'Reilly, C. A. "Measuring organizational communication,"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59, 1974, 321-326. 

  42. Ro1off, M. E., "Communication and conflict," in Charles R. Berger & Steven, H. Chaffe (eds.), Handbook of Communication Science, 1987, pp. 484-534. 

  43. Rogers, E. M., Communication Technology, New York, Free Press, 1986. 

  44. Robbins, S. P. & Judge, T. A., Organizational Behavior, 14th ed., Prentice Hall, 2011 

  45. Robinson, S. R. & Morrison, E. W., "Psychological contracts and OCB: The effect of unfulfilled obligations," Journal of Organizational Behavior, 16, 1995, 289-298. 

  46. Rousseau, D. M., Psychological contracts in organizations: Understanding written and unwritten agreements, Newbury Park, CA: Sage, 1995. 

  47. Thornley. W. H. & Feldman, D. C., "Psychological contract violations during organization restructuring," Human Resource Management, Vol.37, 1998, 71-83. 

  48. Tutzauer, F., "The communication of offers in dyadic bargaining," In L. L. Putnam & M. E. Roloff. (Eds.) Communication and negotiation, 1992, Newbury Park: Sage. 

  49. Wheeless, L. R. & Eeichel, L. S., "A reinforcement model of the relationships of supervisors' general communication styles and conflict management styles to task attraction," Communication Quarterly, Vol.38, 372-387.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