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영종도 조수웅덩이에 서식하는 미끈망둑, Luciogobius guttatus(Gobiidae)의 식성
Feeding Ecology of Luciogobius guttatus (Pisces; Gobiidae) in the Youngjong Tide Pool, Incheon, Korea 원문보기

Korean journal of Ichthyology = 한국어류학회지, v.26 no.3, 2014년, pp.202 - 211  

김병기 (인하대학교 자연과학대학 해양과학과) ,  김지혜 (인하대학교 자연과학대학 해양과학과) ,  정수환 (인하대학교 자연과학대학 해양과학과) ,  한경남 (인하대학교 자연과학대학 해양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인천 영종도에서 미끈망둑의 섭식생태를 조사하였다. 총 257개체를 분석하였으며, 체장 (SL) 범위는 13.4~57.5 mm였다. 연구는 조수웅덩이에서 2010년 1월부터 12월까지 매달 실시되었다. 미끈망둑의 위 내용물에서 주로 발견된 먹이생물은 요각류(Copepods)와 게류(Brachyurans)였다. 단각류 (Amphipods), 집게류 (Anomurans), 쿠마류 (Cumaceans), 새우류(Macrurans), 곤충류(Insects), 작은 암석(small stones)이 추가로 관찰되었다. 저서성 갑각류(benthic crustaceans)가 중요한 먹이생물이었으며, Harpacticoid와 풀게속(Hemigrapsus spp.)은 모든 크기군과 계절에서 주요 먹이생물이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Feeding ecology of Luciogobius guttatus (Flat-head goby) populations were investigated on the Youngjong, Incheon, Korea. In total, 257 individuals ranging from 13.4 to 57.5 mm standard length SL were analyzed. L. guttatus was studied in the Tide-pool from January 2010 to December 2010 monthly. The 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생태계 파괴의 간단한 지표가 될 수 있고, 또한 최근 활성화된 갯벌생태체험 등에서 중요한 교육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본 연구는 식성의 분석을 통하여 미끈망둑과 조간대의 생태를 이해하고, 연안의 환경 보전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우리나라에 알려진 7종의 미끈망둑속은? 망둑어과(Gobiidae) 어류는 전 세계에 210속 1,950종(Nelson, 2006), 국내에 27속 59종(김 등, 2005)이 알려져 있으며 이 중에서 미끈망둑속(genus Luciogobius)은 전 세계에 16종으로 우리나라에는 가는미끈망둑(L. elongatus), 큰미끈망둑(L. grandis), 미끈망둑(L. guttatus), 꼬마망둑(L. koma), 주홍미끈망둑(L. pallidus), 납작미끈망둑 (L. platycephalus), 왜미끈망둑(L. saikaiensis)의 7종이 알려져 있다(김 등, 2005; Kim, 2012; Cho and Choi, 2014). 모두 동아시아 고유종이다(Kanagawa et al.
미끈망둑의 산란기는? 미끈망둑은 우리나라 전 연안과 일본, 중국에 서식하고 있다(김 등, 2005). 해수산 연안성 어류로 산란기는 3~5월이고, 자어는 연안 수역의 중층에서 저서생활로 들어가며, 성어는 하천 하류역의 자갈이 있는 기수역 또는 조수 웅덩이의 돌이 있는 조간대에서만 서식한다(정, 1977).
인천 영종도 조수웅덩이에 서식하는 미끈망둑의 중요한 먹이생물은 무엇인가? 단각류 (Amphipods), 집게류 (Anomurans), 쿠마류 (Cumaceans), 새우류(Macrurans), 곤충류(Insects), 작은 암석(small stones)이 추가로 관찰되었다. 저서성 갑각류(benthic crustaceans)가 중요한 먹이생물이었으며, Harpacticoid와 풀게속(Hemigrapsus spp.)은 모든 크기군과 계절에서 주요 먹이생물이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65)

  1. 국립수산과학원. 2009. 서해 그 현황과 특성. 국립수산과학원, 부산, 280pp. 

  2. 김종연. 1995. 군산연안 조간대의 수종 망둑어과 어류의 섭식생태. 건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20pp. 

  3. 김종연. 1997. 서해연안 조간대에 서식하는 날개망둑 Favonigobius gymnauchen의 식성. 군산대학교 수산과학연구소 논문집, 13: 1-13. 

  4. 김종연. 2000a. 서해연안 조간대에 서식하는 비늘흰발망둑, Acanthogobius luridus의 식성. 한국양식학회지, 13: 309-316. 

  5. 김종연. 2000b. 서해연안 조간대에 서식하는 점망둑(Chasmichthys dolichognathus)의 식성. 군산대학교 수산과학연구소 논문집, 16: 1-12. 

  6. 김종연.노용태. 1996. 서해연안 조간대에 서식하는 두줄망둑 Tridentiger trigonocephalus의 섭식생태. 군산대학교 수산과학연구소 논문집, 12: 25-42. 

  7. 김종연.노용태. 1997. 군산연안 내초도 조간대에 서식하는 왜풀망둑 Acanthogobius elongatus의 섭식생태. 한국수산학회지, 30: 413-422. 

  8. 김용억.한경호.강충배.유정화. 1992. 미끈망둑, Luciogobius guttatus Gill의 산란습성 및 초기생활사. 한국어류학회지, 4: 1-13. 

  9. 김익수.최 윤.이충렬.이용주.김병직.김지현. 2005. 한국어류대도감. 교학사, 서울, 615pp. 

  10. 김훈수. 1973. 한국동식물도감 제14권 집게, 게류. (주)삼화서적, 서울, 694pp. 

  11. 백근욱.박주면.추현기.허성회. 2011. 고리 주변해역에서 출현하는 웅어 (Coilia nasus)의 위내용물 조성. 한국어류학회지, 23: 163-167. 

  12. 백근욱.박찬일.정재묵.김무찬.허성회.박주면. 2010. 통영 주변해역에서 출현하는 별망둑(Chaenogobius gulosus)의 식성. 한국어류학회지, 22: 41-48. 

  13. 백의인. 1989. 한국동식물도감 제31권 동물편 (갯지렁이류). 문교부, 국정교과서주식회사, 서울, 764pp. 

  14. 서인수. 2003. 인천 갯벌 저서생물의 군집구조와 먹이망. 인하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73pp. 

  15. 우건석. 2006. 곤충분류학. 집현사, 483pp. 

  16. 유광일. 1995. 한국동식물도감 제35권 동물편(해양동물플랑크톤). 

  17. 교육부, 국정교과서주식회사, 서울, 415pp. 

  18. 윤성민.한경호.이성훈.임후순.황재호.연인호.김이청. 2008a. 큰미끈망둑(Luciogobius grandis)의 난발생 및 자치어 형태 발달. 발생과 생식, 12: 133-139. 

  19. 윤성종.김대현.백근욱.김재원. 2008b. 남해에 출현하는 고등어(Scomber japonicus)의 식성. 한국수산학회지, 41: 26-31. 

  20. 이용주. 2008. 한국산 큰미끈망둑 Luciogobius grandis (망둑어과)의 피부 구조. 초등교육연구, 19: 53-60. 

  21. 이원철. 1993. 한국 연해산 하르팍티쿠스류 (갑각강; 요각아강)의 분류학적 연구. 한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10pp. 

  22. 이원철.송성준.이재성. 2002. 해양저서성 요각류의 다양성 연구 현황과 그 전망. 환경생물, 20: 1-9. 

  23. 정문기. 1977. 한국어도보. 일지사, 727pp. 

  24. 정의영.김익수.최 윤. 1990. 내초도 조간대에 출현하는 망둑어과(Gobiidae) 어류의 저질별 분포양상 및 먹이생물에 관한 연구. 군산대학교 해양개발연구지, 2: 19-25. 

  25. 최승호. 2008. 다섯동갈망둑, Pterogobius zacalles의 채식행동: 채식방법과 먹이생물 크기의 관계에 관하여. 한국어류학회지, 20: 123-128. 

  26. 최 윤.김형섭.유봉석. 1998. 군산연안 유어기 농어(Lateolabrax japonicus)의 성장과 위 내용물 분석. 군산대학교 수산과학연구소 논문집, 14: 227-234. 

  27. 허성회.곽석남. 1998a. 광양만 잘피밭에 서식하는 날개망둑(Favonogobius gymnauchen)의 식성. 한국수산학회지, 31: 372-379. 

  28. 허성회.곽석남. 1998b. 광양만 잘피밭에 서식하는 줄망둑(Acentrogobius pflaumii)의 식성. 한국어류학회지, 10: 24-31. 

  29. 허성회.곽석남. 1998c. 광양만 잘피밭에 서식하는 감성돔(Acanthopagrus schlegeli) 유어의 식성. 한국어류학회지, 10: 168-175. 

  30. 허성회.곽석남. 1999. 광양만 잘피밭에 서식하는 문절망둑(Acanthogobius flavimanus)의 식성. 한국수산학회지, 32: 10-17. 

  31. 허성회.박주면.백근욱. 2007. 부산 주변해역에 출현하는 성대(Chelidonichthys spinosus)의 식성. 한국어류학회지, 19: 51-56. 

  32. 허성회.박주면.남기문.박세창.박찬일.박주면.백근욱. 2008. 부산 주변해역에 출현하는 살살치(Scorpaena neglecta)의 식성. 한국어류학회지, 20: 117-122. 

  33. 홍성윤.박경양.박철원.한창의.서해립.윤성규.송춘복.조수근.임현식.강영실.김덕재.마채우.손민호.차형기.김광봉.최상덕.박기열.오철웅.김두남.손호선.김정년.최정화.김미향.최인영. 2006. 한국해양무척추동물도감, 아카데미서적, 서울, 487pp. 

  34. Aarnio, K., E. Bonsdorff and N. Rosenback. 1996. Food and feeding of juvenile flounder Platichthys flesus (L.), and turbot Scophthalmus maximus L. in the Aland archipelago, Northern Baltic Sea. J. Sea Res., 36: 311-320. 

  35. Alheit, J. and W. Scheibel. 1982. Benthic harpactico as a food source for fish. Mar. Biol., 70: 141-147. 

  36. Beyst, B., A. Cattrijsse and J. Mees. 1999. Feeding ecology of juvenile flatfishes of the surf zone of a sandy beach. J. fish Biol., 55: 1171-1186. 

  37. Chio, S.H. 2003. A study on foraging behavior of four species in the genus Pterogobius (Pisces: Gobiidae), with note on speciation. Ph. D. dissertation, Hiroshima University. 162pp. 

  38. Cho, H.G. and S.H. Choi. 2014. First record of two gobiid fish, Luciogobius elongatus, L. platycephalus (Perciformes: Gobiidae) from Korea. Anim. Syst. Divers., 30: 22-25. 

  39. Cortes, E. 1997. A critical revies of methods of studying fish feeding based on analysis of stomach contents: application to elasmobranch fishes. Can. J. Fish. Aquat. Sci., 54, 726-738. 

  40. Hajisamae, S., P. Yeesin and S. Ibrahim. 2006. Feeding ecology of two sillaginid fishes and trophic interrelations with other coexisting species. Environ. Biol. Fish., 76: 167-176. 

  41. Hampel, H. and A. Cattrijsse. 2004. Temporal variation in feeding rhythms in a tidal marsh population of the common goby Pomatoschistus microps (Kroyer, 1838). Aquat. Sci., 66: 315-326. 

  42. Hobson, E.S. and J.R. Chess. 1986. Relationships among fishes and their prey in a nearshore sand community off southern California. Environ. Biol. Fish., 17: 201-226. 

  43. Horinouchi, M. and M. Sano. 2000. Food habits of fishes in a Zostera marina bed at Aburatsubo, central Japan. Ichthyol. Res., 47: 163-173. 

  44. Hostens, K. and J. Mees. 1999. The mysid-feeding guild of demersal fishes in the brackish zone of the Westerschelde estuary. J. fish Biol., 55: 704-719. 

  45. Ivlev, V.S. 1961. Experimental ecology of the fish. Yale Univ. Press, New Gaven, 302pp. 

  46. Kanagawa, N., T. Itai and H. Senou. 2011. Two new species of freshwater gobies of the genus Luciogobius (Perciformes: Gobiidae) From Japan. Bull. Kanagawa Prefect. Mus. (Nat. Sci.), 40: 67-44. 

  47. Kanou, K., M. Sano and H. Kohno. 2005. Ontogenetic diet shift, feeding rhythm, and daily ration of juvenile yellowfin goby Acanthogobius flavimanus on a tidal mudflat in the Tama River estuary, central Japan. Ichthyol. Res., 52: 319-324. 

  48. Kim, B.J. 2012. New record of a rare hypogean gobiid, Luciogobius pallidus from Jeju Island, Korea. Korean J. Ichthyol., 24: 306-310. 

  49. Kim, I.S. and S.H. Chio. 1997. New record of marine fishes, Arius maculatus and Luciogibius saikaiensis from Korea. Korean J. Syste. Zool., 13: 279-284. 

  50. Kovacic, M. 2001. The biology of Roule's goby in the Kvarner area, northern Adriatic Sea. J. Fish Biol., 59: 759-809. 

  51. Kwak, S.N., G.W. Baeck and S.H. Huh. 2004. Feeding Ecology of Sillago japonicus on an Eelgrass (Zostera marina) Bed. Fish. Sci. Tech., 7: 84-89. 

  52. Livingston, R.J. 1997. Trophic response of estuarine fishes to longterm changes of river runoff. Bull. Mar. Sci., 60: 984-1004. 

  53. Nakamura, Y., M. Horinouchi, T. Nakai and M. Sano. 2003. Food habits of fishes in a seagrass bed on a fringing coral reef at Iriomote Island, southern Japan. Ichthyol. Res., 50: 15-22. 

  54. Nelson, J.S. 2006. Fishes of the World (4th ed.). John Wiely & Sons. New York, 601pp. 

  55. Nissling, A., M. Jacobsson and N. Hallberg. 2007. Feeding ecology of juvenile turbot Scophthalmus maximus and flounder Pleuronectes flesus at Gotland, Central Baltic Sea. J. Fish Biol., 70: 1877-1897. 

  56. Okada, Y. 1981. New illustrated encyclopedia of the fauna of Japan, I, II, III. Hokuryukan, Tokyo, 679pp.+803pp.+763pp. 

  57. Park, J.Y., I.S. Kim, Y.J. Lee and H.A. Baek. 2005. Mucous cells and their structure on the epidermis of Five appendages in the Korean flat-headed goby, Luciogobius guttatus (Pisces; Perciformes). Korean J. Ichthyol., 17: 167-172. 

  58. Park, J.Y., Y.J. Lee and I.S. Kim. 2007. Structure and histochemistry of the skin of a flat-head goby, Luciogobius guttatus (Gobiidae, Pisces) from Korea. Korean J. Ichthyol., 19: 120-127. 

  59. Pinkas, L., M.S. Oliphant and I.L.K. Iverson. 1971. Food habits of albacore, bluefin tuna and bonito on California waters. Fish. Bull., 152: 1-105. 

  60. Platell, M.E. and I.C. Potter. 1998. Distributions, size compositions and of two abundant benthic ambush-feeding teleosts in coastal waters of south-western Australia. J. Mar. Biol. Ass. U.K., 78: 587-608. 

  61. Saeki, T., Y. Sakai, H. Hashimoto and K. Gushima. 2005. Foraging behavior and diet composition of Trimma caudomaculata and Trimma caesiura (Gobiidae) on coral reefs in Okinawa, Japan. Ichthyol. Res., 52: 302-305. 

  62. Sasaki, T. and J. Hattori. 1969. Comparative ecology of two closely related sympatric gobiid fishes living in tide pools. Japan. J. Ichthyol., 15: 143-155. 

  63. Schoener, T.W. 1970. Nonsynchronous spatial overlap of lizards in patchy habitats. Ecology, 51: 408-418. 

  64. Swenson, R.O. 1999. The ecology, behavior, and conservation of the tidewater goby, Eucyclogobius newberryi. Environ. Biol. Fish., 55: 99-114. 

  65. Yamada, T., T. Sugiyama, N. Tamaki, A. Kawakita and M. Kato. 2009. Adaptive radiation of gobies in the interstitial habitats of gravel beaches accompanied by body elongation and excessive vertebral segmentation. BMC Evol. Biol., 9: 145.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