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제주도 사계연안 어류군집의 종조성과 격월별 변동
Species Composition and Bimonthly Changes of Fish Community in the Coastal Waters of Sagyeoi, Jeju Island 원문보기

Korean journal of Ichthyology = 한국어류학회지, v.26 no.3, 2014년, pp.212 - 221  

김맹진 (국립수산과학원 아열대수산연구센터) ,  한송헌 (제주대학교 해양과학대학) ,  김준상 (한국수산자원관리공단 제주지사) ,  김병엽 (제주대학교 해양과학대학) ,  송춘복 (제주대학교 해양과학대학)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제주도 사계 연안에서 출현하는 어류군집에서의 종조성과 계절변동을 알아보기 위해 2009년 4월부터 2010년 2월까지 삼중자망과 통발을 이용하여 채집된 어획물을 분석하였다. 조사기간 종조성은 총 10목 35과 60종이 출현하였고, 삼중자망에서 52종이 출현하였고 통발에서 20종이 출현하였다. 조사기간 중 출현한 전체개체수는 1,921개체, 생체량은 324,206 g이었다. 이 가운데 개체수에서 우점한 5종은 황놀래기, 쏠종개, 어랭놀래기, 쏨뱅이, 가시복이었으며, 생체량에서는 가시복, 쏨뱅이, 쥐치, 황놀래기, 두줄촉수였다. 조사기간 중 어획된 전체어류의 출현종수, 출현개체수, 생체량과 이들 어류군집 특성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환경요인인 수온은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이는 반면, 염분과는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즉 수온이 올라가거나 염분이 떨어지면 출현종수, 출현개체수, 그리고 생체량이 증가하고, 그 반대일 경우에는 감소하였다. 따라서 고수온기인 8월에 가장 높은 값을, 그리고 저수온기인 2월에 가장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Species composition and bimonthly changes of fish community were investigated with the fishes collected by using both trammel nets and fish pots in the coastal waters of Sagyeoi, Jeju Island from May 2009 to February 2010. A total of 1,921 individuals (324,206 g in biomass), which comprise 10 order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이 연구는 삼중자망과 통발을 이용하여 사계 연안에서 출현하는 어류의 종조성과 어류군집의 조사시기별 변화 양상을 이해하고 기존의 유사연구 결과와 비교 분석을 통해 사계연안 어류의 군집생태에 관한 특성을 밝힘으로써 바다숲 조성지에서의 어류자원의 이용 및 효율적인 관리를 위한 생태적 기초자료로 활용하기 위해서 실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연안해역의 특징은? 이러한 연안해역은 일반적으로 다양한 생물의 산란장이나 색이장으로 이용되며, 수온, 염분, 수심 및 해수 유동 등이 수산생물 군집에 영향을 미쳐서 지역적으로 독특한 군집구조를 갖는다(고와 조, 1997; Kwak and Huh, 2007). 특히, 제주도 주변 해역은 대마난류, 황해난류, 중국대륙연안수, 황해저층냉수, 한국남해안 연안수 등 시기별로 서로 다른 수괴의 영향을 받는 곳으로 다양한 해양환경을 나타낸다(Pang et al.
복합적인 해양 환경이 미치는 영향은? , 1992). 이러한 복합적인 해양 환경은 회유성 어종들의 출현 시기 및 어획량에 영향을 줄 뿐만 아니라 연안정착성 어류의 분포와 산란 그리고 미성숙어의 생육에도 영향을 미침으로써 어류군집의 특성에 많은 영향을 미칠 것으로 생각된다. 그런데 이러한 어류군집의 특성 즉 출현종수, 출현개체수, 생체량 등에 미치는 환경요인의 영향을 규명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어구, 어법을 이용하여 수집한 어류군집 관련 기초 자료의 축적과 비교분석이 필요하다.
제주도 주변의 연안해역이 다양한 해양환경을 가지는 이유는? 이러한 연안해역은 일반적으로 다양한 생물의 산란장이나 색이장으로 이용되며, 수온, 염분, 수심 및 해수 유동 등이 수산생물 군집에 영향을 미쳐서 지역적으로 독특한 군집구조를 갖는다(고와 조, 1997; Kwak and Huh, 2007). 특히, 제주도 주변 해역은 대마난류, 황해난류, 중국대륙연안수, 황해저층냉수, 한국남해안 연안수 등 시기별로 서로 다른 수괴의 영향을 받는 곳으로 다양한 해양환경을 나타낸다(Pang et al., 199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고유봉.신희섭. 1988. 제주도 북촌연안 수산자원 유영생물의 출현과 먹이 연쇄에 관한 연구- I. 종조성과 다양도. 한국수산학회지, 21: 131-138. 

  2. 고유봉.신희섭. 1990. 제주도 남부 화순연안 수산자원 유영생물의 종조성과 다양도. 한국어류학회지, 2: 36-46. 

  3. 고유봉.조성환. 1997. 제주도 연안 해초지대 어류군집에 관한 연구, I. 종조성과 계절변화. 한국어류학회지, 9: 48-60. 

  4. 국립수산과학원. 2002. 한국어구도감. 한글그라픽스, 579pp. 

  5. 김병기.곽우석. 2006. 거제도 지세포만 잘피밭 어류 종조성의 계절 변동. 한국어류학회지, 18: 234-243. 

  6. 김익수.최 윤.이충렬.이용주.김병직.김지현. 2005. 한국어류대도감. 교학사, 615pp. 

  7. 명정구. 1997. 제주도 문섬 주변의 어류상. 한국어류학회지, 9: 5-14. 

  8. 박정호.노 섬. 2002. 제주도 동북 해역의 유조(?藻) 어류상에 관란 연구. 한국어류학회지, 14: 36-44. 

  9. 유정화.김병기.김진구.김현주. 2005. 동해 중부 연안에서 자망과 정치망에 어획된 어류 종조성의 계절변동. 한국어류학회지, 17: 279-286. 

  10. 이승종.고유봉.김병직. 2006. 제주도 서부 해역의 난.자치어 분포와 종조성의 계절변동. 한국어류학회지, 18: 129-140. 

  11. 이승종.고준철.유준택.임양재.김병엽.김주일. 2009b. 제주도 서부연안 어류군집의 종조성 및 계절변동. 한국어류학회지, 21: 167-176. 

  12. 이종희.이재봉.김정년.이동우.신영재.장대수. 2009a. 낙동강 하구에서 새우조망으로 채집된 생물의 계절별 종조성. 한국어류학회지, 21: 177-190. 

  13. 차병열. 1999. 거제도 연안해역의 어류 종조성. 한국어류학회지, 11: 184-190. 

  14. 차병열.김대권.서성호. 2007. 2006 남해안 해역별 어류의 출현종 및 양적변동. 한국어류학회지, 19, 210-224. 

  15. 차병열.김병엽.오성우. 2001. 제주도 연안 정치망 어획량 변동과 어기. 한국어류학회지, 13: 210-219. 

  16. 차병열.장대수.김병엽. 2004. 제주도 함덕 연안의 정치망 어획량 변동. 한국수산학회지, 37: 65-72. 

  17. 한경호.손종철.홍동식.최수하. 2002. 포항 석병연안에서 삼중자망에 의해 채집된 어류의 종조성 및 양적변동. 한국어류학회지, 14: 109-120. 

  18. 허성회.안용락. 2000. 가덕도 주변 해역 어류의 종조성과 계절 변동. 1. 소형 기선저인망에 의해 채집된 어류. 한국수산학회지, 33: 288-301. 

  19. De Metrio, G. and P. Megalofonou. 1988. Catch, size distribution, growth and sex ratio of swordfish (Xiphias gladius L.) in the Gulf of Taranto. FAO Fish. Rep., 394: 91-102. 

  20. Kwak, S.N. and S.H. Huh. 2007. Temporal variation in species composition and abundance of fish assemblages in Masan Bay. Korean J. Ichthyol., 19: 132-141. 

  21. Nakabo, T. 2002. Fishes of Japan with pictorial keys to the species, english edition, Tokai Univ. Press, Tokyo, 1749pp. 

  22. Nelson, J.S. 2006. Fishes of the world. 4th ed. John Wiley and Sons, Inc., New Jersey, 601pp. 

  23. Pang, I.C., H.K. Rho and T.H. Kim. 1992. Seasonal variations of water mass distributions and their causes in the Yellow Sea, the East China Sea and the adjacent seas of Cheju Island. Bull. Korean Fish., 25: 151-163. 

  24. Pielou, E.C. 1966. The measurement of diversity in different types of biological collection. J. Theor. Biol., 13: 131-144. 

  25. Shannon, C.E. and W. Wiener. 1963. The mathematical theory of communication. University of Illinois Press, Urbana, 125pp. 

  26. Simpson, E.H. 1949. Measurement of diversity. Nature, 163: 688.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