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일제 강점기 여성 간호인의 독립운동에 관한 역사연구
Women Nurses' Independence Movement during the Japanese Occupation: A Historical Research Study 원문보기

간호행정학회지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v.20 no.4, 2014년, pp.455 - 467  

김려화 (연변대학교 간호대학 간호학과) ,  김미영 (이화여자대학교 건강과학대학 간호학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lucidate the role of Korean women nurses in the independence movement and to examine their activities during the Japanese occupation from 1910 to 1945. Methods: Nurses studied were women nurses referred to as Ganhowon, Ganhobu, Gyeonseupganhobu, Sanpa, and ...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독립운동이란 무엇인가? 독립운동이란 약소민족이 제국주의의 지배에서 벗어나기 위하여 벌이는 일종의 식민지 해방운동이다[1]. 본 연구에서의 여성 독립운동이라 함은 1910년부터 1945년까지 한민족 여성들이 일제의 식민주의에 대항하여 전개한 만세시위운동, 사회단체 결성을 통한 애국운동, 교육계몽운동, 전문직업운동, 노동운동, 종교운동 등을 포괄한다.
조선이 일본의 식민지로 전락하는 결정적인 계기는 무엇인가? 일본은 1904년 러일전쟁의 승리로 서방열강들로부터 조선을 보호국화하는 것에 동의를 얻은 후 다음 해 조 선과 을사조약을 강행하였다. 이후 1910년 한일병합조약은 조 선이 일본의 식민지로 전락하는 결정적인 계기가 되었다. 조선을 실질적으로 통치하게 된 일제는 자원 수탈, 교육을 통한 동화, 언론 감시, 민족 산업에 대한 억압, 군수품 확보를 위한 국민총동원 등의 방식으로 조선의 민중을 정신적, 물질적으로 황폐화시켰다[1].
병원과 지역사회에서 건강관리를 담당하였던 간호부와 견습 간호부, 산파, 조산부 모두를 간호인에 포함한 이유는? 본 연구의 문헌사료를 위한 대상자는 1910년부터 1945년까지 국내외에서 독립운동을 하였던 여성 간호인으로서 간호 원, 간호부, 견습 간호부, 산파, 조산부로 호칭되었던 사람을 중심으로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으로 간호원은 1903년 전문직 직업교육으로서의 간호교육이 처음으로 실시되면서부터 불린 명칭으로[4] 이는 1914년 간호부규칙이 반포되면서 일본 의 명칭을 강제적으로 따르게 하여 간호부라는 명칭으로 변경 되어 불린다[14]. 견습 간호부는 정규적인 면허 인력은 아니었 지만 당시 부족한 인력을 대신하여 실무를 분담하였기 때문에 본 연구대상에 포함되었다. 또한 조산부 다른 이름으로 산파는 일제 강점기에 제도적으로는 간호와 구별되었지만[5-7] 분 만 전후 산모와 신생아를 대상으로 돌봄을 제공하였다[15]. 따라서 병원과 지역사회에서 건강관리를 담당하였던 간호부와 견습 간호부, 산파, 조산부 모두를 간호인에 포함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The Association for Korean Modern and Contemporary History. Lecture about history of Korean independence movement. 2nd ed. Seoul: Hanul; 2007. p. 30-174. 

  2. Chung YS. A study on the nationalist movement by Korean women: Focusing on the March 1st independence movement. Journal of Asian Women. 1971;10:297-330. 

  3. Cho H, Choi SK, Lee BY, Cheon MR, Ahn YS, Park JS. A patriot of women in Korean history (II) 1876-1919. Women's Studies Review. 1991;8:11-92. 

  4. Ok SD. Identities of early modern nursing and nursing education in Korea: Margaret J. Edmunds and the first nurses' training school in Korea, 1903-1908. Korean Church and History. 2012;36:185-225. 

  5. Ordinance of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 No. 108. The official gazette of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 1914 July 4;Sect. 01. Japanese. 

  6. Ordinance of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 No. 35. The official gazette of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 1916 April 25;Sect. 02. Japanese. 

  7. Korean Nursing Association. 70 annals of Korean Nursing Association (1923-1993). Seoul: Korean Nursing Association; 1997. p. 39-43. 

  8. Hong SY. Commemorative speech of retirement under age limit Korean nursing education in the past & prospect. The Korean Nurse. 1981;20(1):31-51. 

  9. Yi GM. A study on Korean nursing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dissertation]. Seoul: Seoul National University; 1999. p. 148-155. 

  10. Yi GM. The life and works of Han Shin Gwang: A midwife and nurse of Korean modern times. Korean Journal of Medical History. 2006;15(1):107-119. 

  11. Yi GM. Jeong Jongmyung, a Korean feminist and midwife of Japanese colonial period. Korean Journal of Medical History. 2012;21(3):551-592. 

  12. Korean Academy of Nursing. The great encyclopedia of nursing science. Seoul: Korean Dictionary Research Publishing; 1996. Nursing; p. 30. 

  13. The National Institute of the Korean Language. Korean Standard Dictionary [Internet]. Seoul: The National Institute of the Korean Language; Date unknown [cited 2008 May 15]. Avaliable from: http://www.korean.go.kr 

  14. Ordinance of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 No. 154. The official gazette of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 1914 October 13;Sect. 01. Japanese. 

  15. Special center of hospital. Korean Daily News. 1914 February 6;Sect. 03. 

  16. Seo JS. Japanese occupation of Korea and Korean independence movement. Korea-Japan History Collaborative Research Report. 2005;5:18-85. 

  17. Ministry of Patriots and Veterans Affairs. The history of the independence movement. Seoul: Ministry of Patriots and Veterans Affairs; 1977. vol. 2. p. 60-91. 

  18. Cho SK, Lee BY, Shin YS, Ahn YS. A portrait of women in Korean History III: 1919-1945. Women's Studies Review. 1993;10:11-139. 

  19. Korean Nurses Association. National salvation movement. Seoul: Korean Nurses Association; 2012. p. 69-137. 

  20. Lee, DeokNam (Wangjing, Beijing). Conversation with: Lihua Jin(Division of Nursing Science,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2008 April 1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