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고도처리공정과 나노여과공정에서의 미량유해물질 제거 평가
Assessment of Micro Organic Pollutants Removal Using Advanced Water Treatment Process and Nanofiltration Process 원문보기

대한환경공학회지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Engineers, v.36 no.8, 2014년, pp.579 - 587  

강준석 (한국수자원공사 K-water 연구원 상하수도연구소) ,  최양훈 (한국수자원공사 K-water 연구원 상하수도연구소) ,  권순범 (한국수자원공사 K-water 연구원 상하수도연구소) ,  유영범 (한국수자원공사 K-water 연구원 상하수도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수계에서 검출되는 미량유해물질의 빈도와 종류가 다양해지고 있다. 따라서 정수처리시스템에서 고려되어야 할 부분으로 거론되고 있으며 제거공정과 처리효율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고도처리공정과 나노여과공정을 이용한 제거효율을 평가하였다. 나노여과공정의 경우 물질의 물리화학적 특성에 따라 제거율이 상이하게 나타났다. 물질의 분획분자량이 제거율이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원수의 pH보다 높은 pKa 값을 갖거나 Log Kow 값이 2 이하인 물질의 제거효율이 감소되었다. 고도처리공정 중 산화공정에서는 대상물질의 분자량이 클수록 그리고 소수성을 띌수록 산화반응에 의한 제거효율이 감소되었다. 흡착공정에서는 산화되지 않은 대부분의 물질이 제거되었으며 $H_2O_2$에 의하여 산화가 더 잘 진행될수록 흡착반응이 향상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Various kinds of micro organic pollutants have frequently been detected from a water system. Therefore, it is considered to be very important part in the drinking water treatment system. And the research about removal process and processing efficiency have been being conducted briskly. In this study...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미량 유해물질의 경우, 수중에 다양한 종류와 형태로 존재하기 때문에 발생물질의 특성을 확인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물질특성에 따라 제거 기작이 다르며 또한, 효율적인 제거공정이 다르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공정별 다양한 물질의 제거능을 확인하여 해당물질 발생시 물질특성에 따른 효율적인 공정선정의 가능성을 제시하고 다양한 물질의 복수 출현 시 효율적인 운영조건을 제시하고자 한다. 고도처리를 이용한 미량유해물질의 제거평가는 현재 고도처리시설이 도입되어 있는 정수장의 사고 발생시 대응 및 나노여과의 경우 추후 정수시설 도입여부에 대한 지표로 활용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 본 연구에서는 고도처리공정과 나노여과공정을 이용한 미량유해물질 16종의 제거효율을 검토하고 물질 특성에 따른 제거 특성과 영향인자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미량 유해물질의 경우, 수중에 다양한 종류와 형태로 존재하기 때문에 발생물질의 특성을 확인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 본 연구에서는 미량오염물질의 물리․화학적 특성에 따른 나노여과 공정과 고도처리 공정에서의 제거효율을 평가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미량오염물질의 물리․화학적 특성에 따른 나노여과 공정과 고도처리 공정에서의 제거효율을 평가한 결과는? 1) 나노여과 공정의 물리 화학적 인자에 따른 평가결과는 다음과 같다. 물리적인 체거름에 의하여 물질제거 영향이 매우 크게 나타났다. pKa가 원수의 pH보다 낮을 경우 물질의 해리가 더 활발하게 이루어져 막 표면과의 반발력에 의한 제거효율이 증가되었다. 또한, Log Kow가 상대적으로 높은 소수성을 띌 경우 막 표면과의 반발력에 의한 제거효율이 증가됨을 알 수 있다. 2) 고도처리 공정의 오존, 과산화수소, 활성탄 처리공정에 따른 평가결과는 다음과 같다. 오존에 의한 산화의 경우 물질의 분자량이 클수록 물질이 소수성을 띌수록 산화반응이 감소되어 제거효율이 감소되었다. 오존/과산화수소 산화의 경우 분자량이 크고 소수성을 띄더라도 산화반응이 진행되어 제거되었지만 산화반응 속도가 늦은 일부 물질의 경우 여전히 제거되지 않았다. 오존에 의하여 산화 후 활성탄 흡착을 할 경우 산화되지 않은 물질의 대부분이 제거되었지만 과산화수소에 의하여 산화가 더 잘 진행될 경우 흡착반응이 향상됨을 알 수 있었다. 3) 수계에서 검출 가능한 미량유해물질을 공정에 따른 제거율을 평가함으로써 추후 해당물질에 대한 적정 공정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며 미량유해물질이 유입되는 고도처리 및 나노여과 공정에 대한 최적 운영에 활용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미량유해물질은 무엇인가? 전 세계적으로 취수원수로 사용되고 있는 지표수 중에서 내분비계교란물질(endocrine disrupting compounds, EDCs), 의약물질(pharmaceuticals and personal care products, PhACs), 신규우려물질(contaminants of emerging concerns, CECs), 개인관리용품(personal care products, PCPs)과 같은 미량유해물질의 검출이 보고되고 있으며 물질에 대한 규제 또한 강화되는 추세이다. 미량유해물질은 ug/L, ng/L 단위의 미량으로도 인체에 위해를 가할 수 있는 물질로 차세대 정수처리 시스템에서 반드시 고려되어야 할 부분들이다. 응집/침전/모래여과와 같은 기존 정수처리공정, 오존/활성탄과 같은 고도처리시스템 및 막여과 공정(정밀여과/한외여과)에서의 제거율 및 제거 메카니즘에 조사가 필요한 실정이다.
나노막여과의 장점은? 5~8) 200 Da 내외의 분자량을 갖는 미량유해유기물질을 기존의 재래식 공정에서는 처리를 기대할 수 없다. 나노막여과(nanofiltration, NF)은 역삼투막여과(reverse osmosis, RO)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높은 막투과 유속을 유지할 수 있고, 내분비계 장애물질 및 의약물질 등과 같은 저분자량 유해유기물질의 제거에 용이한 장점이 있으며, 최근 NF 및 UF막을 사용한 물질제거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9,1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0)

  1. Broseus, R., Vincent, S., Aboulfadl, K., Daneshvar, A., Sauve, S., Barbeau, B. and Prevost, M., "Ozone oxidation of pharmaceuticals, endocrine disruptors and pesticides during drinking water treatment," Water Res., 43(18), 4707-4717(2009). 

  2. Huber, M. M., Korhonen, S., Ternes, T. A. and Gunten, U. V., "Oxidation of pharmaceuticals during water treatment with chlorine dioxide," Water Res., 39(15), 3607-3617(2005). 

  3. Esplugas, S., Bila, D. M., Krause, L. G. T. and Dezotti, M., "Ozonation and advanced oxidation technologies to remove endocrine disrupting chemicals (EDCs) and pharmaceuticals and personal care products (PPCPs) in water effluents," J. Hazard. Mater., 149(3), 631-642(2007). 

  4. Klavarioti, M., Mantzavinos, D. and Kassinos, D., "Removal of residual pharmaceuticals from aqueous systems by advanced oxidation processes," Environ. Inter., 35(2), 402-417 (2009). 

  5. Verliefde, A. R. D., Cornelissen, E. R., Heijman, S. G. J., Petrinic, I., Luxbacher, T., Amy, G. L., Van der Bruggen, B. and Van Dijk, J. C., "Influence of membrane fouling by (pretreated) surface water on rejection of pharmaceutically active compounds (PhACs) by nanofiltration membranes," J. Membr. Sci., 330(1-2), 90-103(2009). 

  6. Yangali-Quintanilla, V., Sadmani, A., McConville, M., Kennedy, M. and Amy, G., "A QSAR model for predicting rejection of emerging contaminants (pharmaceuticals, endocrine disruptors) by nanofiltration membranes," Water Res., 44(2), 373-384(2010). 

  7. Verliefde, A. R. D., Cornelissen, E. R., Heijman, S. G. J., Verberk, J. Q. J. C., Amy, G., Van der Bruggen, B. and Van Dijk, J. C., "Construction and validation of a full-scale model for rejection of organic micropollutants by NF membranes," J. Membr. Sci., 339(1-2), 10-20(2009). 

  8. Anwar Sadmani, A. H. M., Andrews, R. C. and Bagley, D. M., "Nanofiltration of pharmaceutically active and endocrine disrupting compounds as a function of compound interactions with DOM fractions and cations in natural water," Sep. Purif. Technol., 122(10), 462-471(2014). 

  9. Yoon, Y., Westerhoff, P., Snyder, S. A. and Wert, E. C., "Nanofiltration and ultrafiltration of endocrine disrupting compounds, pharmaceuticals and personal care products," J. Membr. Sci., 270(1-2), 88-100(2006). 

  10. Kimura, K., Toshima, S., Amy, G. and Watanabe, Y., "Rejection of neutral endocrine disrupting compounds (EDCs) and pharmaceutical active compounds (PhACs) by RO membranes," J. Membr. Sci., 245(1-2), 71-78(2004).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유발과제정보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