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음향 메타물질과 포노닉 크리스탈의 소개 및 이를 이용한 수중 음파 제어 기술 원문보기

소음진동 = Journal of KSNVE, v.24 no.5, 2014년, pp.27 - 33  

오일권 (한국과학기술원) ,  정진영 (한국과학기술원) ,  정지훈 (한국과학기술원) ,  나태원 (한국과학기술원)

초록이 없습니다.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 글에서는 현재까지의 음향 메타물질과 포노닉 크리스탈에 관하여 수행된 연구 동향 및 그 결과 등에 대하여 전반적으로 조사하고 요약하였다. 또한 응용의 관점에서 우리 연구실에서 진행 해온 수중 음파 제어 기술에 대해 간략히 소개하였다. 이러한 물질에 관한 연구는 물리, 수학과 같은 기초과학 분야에서 주로 진행되어 왔고, 아직 기초연구 또는 이론정립 등의 수준에 머물러 있었다.
  • 이 글에서는 현재까지의 음향 메타물질과 포노닉 크리스탈에 관하여 수행된 연구 동향 및 그 결과 등에 대하여 전반적으로 조사하고 요약하였다. 또한 응용의 관점에서 우리 연구실에서 진행 해온 수중 음파 제어 기술에 대해 간략히 소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원래 메타물질이 주로 연구되었던 분야는? 음향 메타물질은 물질 내부에 국부적인 공명기(local resonator)를 지닌 물질로서, 이를 통과하는 음파를 제어하기 위해 인위적으로 만들어진 구조체이다. 원래 메타물질과 관련한 연구는 광학, 전자기학 등의 분야에서 이루어져 왔지만, 2004 년 Chan 등이 등가적으로 음의 밀도와 음의 체적탄성률을 갖는 음향 메타물질에 대한 논문을 발표하면서 음향 메타물질로 개념이 확장되었다. 이 논문에서는 전자기파가 메타물질을 통과할때 나타나는 밴드갭, 음의 굴절률과 같은 특이 파동 성질이 음향 메타물질에서도 나타남을 보였으며, 또한 단일 공명 구조로부터 음의 밀도와 체적탄성률을 유도하였다(1).
포노닉 크리스탈은 몇차원의 구조체로 이루어져 있는가? 한편, 포노닉 크리스탈은 주기적인 구조체를 통해 이를 통과하는 음파의 산란 특성을 제어하는 구조체를 말한다. 이는 1차원, 2차원, 3차원 구조체로 생각해볼 수 있는데, 1차원 구조에서 포노닉 크리스탈은 무한한 판이 교대로 겹쳐지는 형태로 구성할 수 있으며, 2차원 구조에서는 무한한 막대 모양이 규칙적으로 배열된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 3차원 구조에서는 산란자가 불연 속적으로 호스트 물질 안쪽에 분포되어 있는 형태가 된다.
음향 메타물질이란? 음향 메타물질은 물질 내부에 국부적인 공명기(local resonator)를 지닌 물질로서, 이를 통과하는 음파를 제어하기 위해 인위적으로 만들어진 구조체이다. 원래 메타물질과 관련한 연구는 광학, 전자기학 등의 분야에서 이루어져 왔지만, 2004 년 Chan 등이 등가적으로 음의 밀도와 음의 체적탄성률을 갖는 음향 메타물질에 대한 논문을 발표하면서 음향 메타물질로 개념이 확장되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Li, J. and Chan, C. T., 2004, Double-negative Acoustic Metamaterial, Phys Rev E 70. 

  2. Kushwaha, M. S. and Halevi, P., 1994, Band-Gap Engineering in Periodic Elastic Composites. Appl Phys Lett 64, 1085-1087. 

  3. Physics Today, June 2004. 

  4. Physcisworld, December 2005. 

  5. SPIE Professional, January 2008. 

  6. Lee, S. H., Park, C. M., Seo, Y. M., Wang, Z. G. and Kim, C. K., 2008, Negative Effective Density in an Acoustic Metamaterial, ArXiv Preprint arXiv:0812.2954. 

  7. Lee, S. H., Park, C. M., Seo, Y. M., Wang, Z. G. and Kim, C. K., 2009, Acoustic Metamaterial with Negative Density, Phys Lett A, Vol. 373, pp. 4464-4469. 

  8. Lee, S. H., Park, C. M., Seo, Y. M., Wang, Z. G. and Kim, C. K., 2009, Acoustic Metamaterial with Negative Modulus, J Phys-Condens Mat 21. 

  9. Lee, S. H., Park, C. M., Seo, Y. M., Wang, Z. G. and Kim, C. K., 2010, Composite Acoustic Medium with Simultaneously Negative Density and Modulus, Phys Rev Lett 104. 

  10. Lee, M. K., Ma, P. S., Lee, I. K., Kim, H. W. and Kim, Y. Y., 2011, Negative Refraction Experiments with Guided Shear-horizontal Waves in Thin Phononic Crystal Plates, Appl Phys Lett 98. 

  11. Li, J., Fok, L., Yin, X., Bartal, G. and Zhang, X., 2009, Experimental Demonstration of an Acoustic Magnifying Hyperlens, Nautre Materials 8, pp. 931-934. 

  12. Vasseur, J. O. et al., 2007, Waveguiding in Two-dimensional Piezoelectric Phononic Crystal Plates, J. Appl Phys, Vol. 101. 

  13. Rupp, C. J., Dunn, M. L. and Maute, K., 2010, Switchable Phononic Wave Filtering, Guiding, Harvesting, and Actuating in Polarization-patterned Piezoelectric Solids, Appl Phys Lett 96. 

  14. Jo, C. H. and Oh, I. K., 2014, A Revisit to Imperfect Acoustic Cloak of Multi-layered Shell Structures Considering Sound Speed and Impedance Matching, Journal of Sound and Vibration, Vol. 333, No. 19, pp. 4637-4652. 

  15. Kwon, B. J., Jo, K., Park, K. C. and Oh, I. K., 2013, Wave Propagation Characteristics of Acoustic Metamaterials with Helmholtz Resonators, Transactions of the Korean Society for Noise and Vibration Engineering, Vol. 23, No. 2, pp.167-175.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