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사용자 중심의 주거 실내공간 감성평가도구 개발
The Development of Sensibility Evaluation Tools for User-Oriented Housing Interior Space 원문보기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terior Design, v.23 no.5 = no.106, 2014년, pp.112 - 121  

박지민 (충북대학교 주거환경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the user-oriented housing interior space sensibility evaluation tools: The user-oriented housing interior space sensibility evaluation tools shall be developed through the systematic selection process of the extracted housing interior space images, which were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기존의 감성디자인의 접근방법과 같이 디자이너의 직관적 감성에 의존하여 개발된 도구3)가 아닌 사용자 감성에 초점을 둔 최적의 감성평가 도구를 정립하고자 한다. 이를 위한 구체적인 연구목적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사용자 중심의 감성평가도구를 구축하기 위하여 주거공간에 대한 사용자의 선호 감성요인을 도출해 내고, 수량화이론 접근방법을 통해 실내공간 이미지의 질적데이타를 보다 객관적이고 구체적인 양적데이터로 전환하여 다변량분석을 퉁한 사용자 중심의 감성평가도구를 구조화하였다. 디자이너의 직관적인 감성에 의존하는 기존 연구의 한계를 극복하고 사용자 감성을 기반으로 하는 감성평가도구를 구축하였다.
  • 본 연구는 사용자 중심의 감성평가도구를 구축하기 위하여 주거공간에 대한 사용자의 선호 감성요인을 도출해 내고, 주거실내공간의 이미지 자료인 정성적 데이터를 정량화하여 객관적이고 체계적인 연구방법으로 접근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 사용자 중심의 감성평가도구 개발연구는 주거 실내공간에 대한 사용자 감성을 평가하기 위한 도구개발을 위한 것으로 사용자의 정성적 감성을 정량화하여 보다 객관적이고 체계적인 데이터를 추출하고자 한다. 즉 주거실내공간에 대해 사용자가 선호하는 감성요인을 추출하고, 수량화 이론 접근방법4)과 다변량 분석(Multivariate Analysis)을 통해 실내공간 이미지의 질적 데이터를 보다 객관적이며 구체적인 양적 데이터로 전환하여 사용자 중심의 감성 평가도구를 구조화한다.
  • 주거 실내공간에 대한 일반 사용자들의 감성평가 도구 개발을 위한 실내이미지 선정을 위하여 일반 사용자를 대상으로 각 그룹의 대표이미지를 조사했다. 각 이미지에 대한 우선순위의 빈도와 가중치15)를 적용한 값을 비교분석한 결과는 <표 7>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감성공학은 어떤 수단으로 사용되는가? 감성공학은 사용자 중심의 환경디자인 개발을 위한 효과적인 도구로 디자이너와 사용자의 인터페이스로 작용하여 사용자들의 감성적 요구사향에 따라 선택할 수 있는 수단으로 사용된다. 디자이너와 사용자 관점에서의 개략적인 디자인 정보로부터 얻은 효과적인 지식은 성공적인 공간환경 개발에 주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으며, 사용자의 요구와 취향을 만족시키는 경쟁력 있는 디자인은 기본적인 기능요구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심리적 요구 또는 느낌을 만족시킬 수 있다.
기초 감성평가 형용사 어휘 수집에서 2차 수집은 어떤 한계점을 보완하기 위한 과정이었는가? 1차 수집된 형용사어휘는 총 295개로 중복된 어휘를 제외하면 188개이다. 2차 수집은 선행연구에서 사용된 기존의 주거감 성어휘의 한계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일반 사용자를 대상으로 주거 실내공간에 대한 감성평가어휘를 수집하였다. 일반사용자 남녀 52명을 대상으로 주거 실내공간에 대한 감성 형용사 어휘를 자기보고식8) 기입법(self-report measures)에 의한 과정을 거쳐 수집하였다.
주거공간은 어떤 공간인가? 주거공간은 인간이 거주하는 가장 기본적인 생활세계로서 사용자 요구를 적극적으로 반영해야 하는 복합적인 기능을 가진 공간이다. 따라서 기존의 일차원적인 물리적, 기능적 요구에 맞춰 디자이너의 주관적 감성이 개입된 주거디자인에서 그치는 것이 아니라 다원화, 개별화 양상을 지닌 사용자 중심의 감성을 기반으로 심리적 주거요구에 대응할 수 있는 심층적 연구가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노형진, Excel 및 SPSS를 활용한 다변량분석 이론과 실제, 서울: 형설출판사, 2005 

  2. 송지준, SPSS/AMOS 통계분석방법, 경기: 21세기사, 2011 

  3. 이순묵, 요인분석의 기초, 서울: 교육과학사, 2000 

  4. 강선아, 배색기법에 따른 감성효과 분석: 거실공간의 배색을 대상으로, 연세대n석사논문, 2000 

  5. 김경숙, 실내디자인스타일 유형화 및 특성에 관한 연구, 연세대 박사논문, 2004 

  6. 박혜숙, 생활양식 유형에 따른 실내디자인 선호유형, 연세대 박사논문, 2001 

  7. 하승아, 주거공간 실내이미지에 따른 색채팔레트 개발에 관한 연구, 연세대 석사논문, 2000 

  8. 김미실.문정민, 스마트공간에서 감성디자인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제20권 제6호, 2011, pp.27-35 

  9. 김주연.이현수, 감성측정에 따른 실내벽면 색채에 관한 연구, 한국감성과학회논문집 제12권 제2호, 2009, pp.205-214 

  10. 박지민.윤정숙.박은선, 대학생의 감성과 선호하는 주거 실내공간이미지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주거학회논문집 제22권 6호, 2011, pp97-106 

  11. 박지민.윤정숙.박은선, 감성과 주거디자인 속성의 상관성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제28권 제8호, 2012, pp.74-82 

  12. 서지은, 주거공간에서 조명에 의한 영역성 표현 및 감성평가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제24권 제4호, pp. 125-132, 2008 

  13. 오영근, 공간디자인에서의 감성적 경향에 관한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제13권 제2호, 2004, pp.192-199 

  14. 유은미, 공간디자인 이미지 언어 평가요인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제24권 제12호, 2008, pp.123-130 

  15. 윤정미.류호창, 주거 공간에 나타난 감성적 접근방법에 관한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제9권 제1호, 2007, pp.237-241 

  16. 이한석.정현원.오영근.정아영.김정욱, 감성공학기법을 적용한 욕실디자인에 관한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제18권 제6호, 2009, pp.69-76 

  17. Lee S., Harada A. & Stappers P. J., Pleasure with Products: Design based Kansei. Pleasure with Products: Beyond usability, Green, W. and Jordan, P. (ed.), Taylor & Francis, London, 2002, pp.219-229 

  18. Schutte S., Designing Feeling into Product: Integrating Kansei Engineering Methodology in Product Development. Institute of Technology, Linkopings University, Sweden. 2002 

  19. Shimizu Y., Sadoyama T., Kamijo M., Hosoya S., Hashimoto M., Otani T., et al., On-demand production system of apparel on basis of Kansei Engineering. International Journal of Clothing Science and technology, 16, 2004, pp32-42 

  20. Zhai L.Y., Khoo L.P. & Zhong Z.W., A dominance-based rough set approach to Kansei Engineering in product development. Expert Systems with Applications, Vol.36 2009, pp.393-402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