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준 폐수로로 유입되는 점착성 퇴적물의 침강속도 산정을 위한 실험적 연구
A Laboratory Study for Settling Velocities of Cohesive Sediments Entering in Semi-closed Channel 원문보기

한국해안·해양공학회논문집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astal and Ocean Engineers, v.26 no.5, 2014년, pp.327 - 334  

김동호 (전북대학교 토목공학과) ,  양수현 (전북대학교 토목공학과) ,  황규남 (전북대학교 토목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침/퇴적특성 예측/평가를 위한 기초자료 확보를 목적으로 대표적인 준 폐수로인 경인 아라뱃길 주운수로와 연결된 3개 수역(인천해역, 굴포천, 한강수역)에서의 점착성 퇴적물 각각에 대한 침강속도가 실내실험을 통하여 정량적으로 산정되었다. 침강속도 측정결과, 전체적인 농도구간(0.1 < C < 90 g/L)에 걸쳐 굴포천(0.01 < $W_s$ <3.07 mm/s)과 한강수역(0.01 < $W_s$ < 2.97 mm/s) 하상의 점착성 퇴적물은 대체적으로 거의 유사한 크기의 침강속도 분포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인천해역 표층 점착성 퇴적물은 이들과는 크게 다른 침강속도(0.01 < $W_s$ < 0.92 mm/s) 분포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각 수역별 퇴적물의 물리화학적 특성 및 해수(혹은 담수)의 특성들의 비교/분석 결과에 따르면, 이러한 인천해역 점착성 퇴적물의 침강속도 분포의 상이함은 주로 유체의 염도 차에 의해 비롯된 것으로 추정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s to estimate settling velocity ($W_s$) for cohesive sediments from water bodies (Incheon Coast, Kulpo Stream and Han River) mainly connected to the Kyeongin Ara-waterway through the laboratory settling experiments. Results of settling tests for these sediments show tha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점착성 퇴적물의 경우에, 퇴적물 자체의 물리·화학적 특성은 퇴적물의 침강속도와 기본적으로 관련이 있으므로 이러한 항목들에 대한 조사분석은 필수적 사항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경인 아라뱃길과 연결된 수역들에서 채취된 각각의 퇴적물 시료들에 대하여 물리화학적 특성의 대표인자인 입경분포 및 유기물 함량에 대한 실험이 수행되었다.
  • 본 연구에서는 침/퇴적특성 예측/평가를 위한 기초자료 확보를 목적으로 대표적인 준 폐수로인 경인 아라뱃길 주운수로와 연결된 3개 수역(인천해역, 굴포천, 한강수역)에서의 점착성 퇴적물 각각에 대한 침강속도가 실내실험을 통하여 정량적으로 산정되었다. 각 수역별로 채취된 총 3개의 퇴적물 시료들에 대하여 각각 5회씩 총 15회의 침강실험이 수행되었으며, 각 실험별로 도출된 시간별 농도단면도 변화 데이터들을 Ross(1988)가 개발한 수치모형에 적용하여, 각 부유사 농도별 침강속도 값들이 산정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경인 아라뱃길의 수위는 무엇을 통해 조절되는가? , 2012). 한편, 주운수로의 특성상, 경인 아라뱃길의 수위는 인천 및 김포의 갑문/배수문을 통하여 수위가 조절되는데, 이러한 갑문들의 개폐를 통하여 수위 및 수체 순환이 조절되는 경인 아라뱃길은 퇴적학적인 측면에서 하구나 만과 같은 “준 폐수로 (semi-closed channel)”적인 특성을 갖는다. 
경인 아라뱃길의 건설 목적은 무엇인가? 상습적으로 홍수피해가 발생하고 있는 굴포천 일대의 치수 대책 마련 및 운하 활용 등을 위한 목적으로 건설된 경인 아라뱃길은 한강의 하류에 속하는 서울 행주대교에서부터 인천 해역까지 연결되는 총 연장 18 km의 한국 최초의 운하이다. 경인 아라뱃길의 주운수로는 홍수시 굴포천의 홍수량을 서해로 방류하기 위한 방수로로 이용되며, 평상시에는 여객 및 화물 수송을 위한 선박 운항로로 활용된다(Kim et al.
아라뱃길 연결 수역 3개 정점에서 채취된 각 퇴적물 시료의 침강속도 곡선을 분석한 결과 무엇을 확인할 수 있었는가? 7에 제시된다. 그림에 도식된 바와 같이, 굴포천과 한강수역 퇴적물의 침강속도 곡선은 전체 농도구간에 걸쳐 거의 동일하나, 인천 해역 퇴적물의 침강속도곡선과는 크게 상이한 것으로 나타났다. 농도의 증가와 함께 침강속도가 증가하는 응집침강 영역 (혹은 저농도 구간 : C < 3 g/L)에서 인천해역의 침강속도는 평균적으로 굴포천 및 한강수역 퇴적물의 침강속도보다 약 3배정도 크며, 그 차이는 농도의 증가와 함께 감소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ASTM (1987). Annual book of A.S.T.M. standards. vol 04.08, American Society for Testing and Materials, Philadelphia, USA. 

  2. Bellessort, B. (1973). Movement of suspended sediment in estuaries flocculation and rate of removal of muddy sediment. Tracer Techniques in Sediment Transport. RR145. International Atomic Energy Agency, 31-40. 

  3. Burt, T.N. (1986). Field settling velocities of Estuary muds. Estuarine Cohesive Sediment Dynamics: Edited by Mehta, A. J., Springer-Verla, Berlin, 126-150. 

  4. Edzwald, J.K., Upchurch, J.B. and O'Melia, C.R. (1974). Coagulation in estuaries. Environ. Sci. Technol. 8(1), 58-63 

  5. Folk, R.L. and Ward, W.C. (1957). Brazos river bar[Texas]; A study in the significance of grain size parameters. J. of Sedimentary Research, 27(1), 3-26. 

  6. Hwang, K.-N. (2000). An experimental study on settling velocity of Saemankeum muddy sediments. J. of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20(2-B), 277-286 (in Korean). 

  7. Kim, D.H. (2012). An experimental study on settling properties of cohesive sediments entering in semi-closed channel. Master's Thesis, Jeonbuk National University (in Korean). 

  8. Kim, J.S., Kim, M.J. and Jun, K.S. (2012). Hydraulic model for drainage system in Kulpo stream and Ara-waterway. Magazine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45(4), 32-41 (in Korean). 

  9. Krone, R.B. (1962). Flume studies of the transport of sediment in estuarial shoaling process. Final Report, Hydraulic Engineering Laboratory and Sanitary Engineering Research Laboratory, University of California, Berkeley, California. 

  10. Kynch, G.J. (1952). A theory of sedimentation. Transactions of the Faraday Society, 48, 166-176. 

  11. Mehta, A.J. (1986). Characterization of cohesive sediment properties and transport processes in estuaries. Estuarine Cohesive Sediment Dynamics: Edited by Mehta, A. J., Springer-Verla, Berlin, 290-325. 

  12. Mehta, A.J. (2013). An introduction to hydraulics of fine sediment transport. World Scientific Co. 

  13. Migniot, P.C. (1968). A study of the physical properties of various very fine sediments and their behavior under hydrodynamic action. La Houille Blanche, 7, 591-620. 

  14. Ministry of Land, Transport and Maritime Affairs (2010). Maritime environment pollutant' testing method (in Korean). 

  15. Ross, M.A. (1988). Cohesive sediments in estuarine environment. Ph.D. Dissertation. University of Florida, Gainesville, Florida. 

  16. van Leussen, W. (1988). Aggregation of particles, settling velocity of mud flocs-a review. Physical Processes in Estuaries: Edited by Dronkers J. and van Leussen W., Springer-Verla, Berlin, 347-403. 

  17. Whitehouse, U.G., Jeffrey, L.M. and Debbrecht, J.D. (1960) Differential settling tendencies of clay minerals in saline waters. Clays and Clay Minerals. Proc. 7th Conf., Pergamon press, New-York, 1-79. 

  18. Yang, S.H. and Hwang, K.-N. (2008). An analysis of the variation in the settling properties of cohesive sediments before and after closure of the Saemankeum seadike. J. of the Korea Society of Coastal and Ocean Engineers, 22.(4), 20-26 (in Korean).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