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다중시기 항공사진과 KOMPSAT-3 영상을 이용한 진하해수욕장 해안선 변화 탐지
Shoreline Changes Interpreted from Multi-Temporal Aerial Photographs and High Resolution Satellite Images. A Case Study in Jinha Beach 원문보기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v.30 no.5, 2014년, pp.607 - 616  

황창수 () ,  최철웅 (부경대학교 공간정보시스템공학과) ,  최지선 (부경대학교 공간정보시스템공학과)

초록

본 연구에서는 1967년부터 약 50년에 걸친 기간에 대하여 항공사진과 위성영상을 이용하여 진하해수욕장의 해안선 변화를 관측하였다. 해안선은 보정을 거친 영상으로부터 wet/dry 기법에 의해 추출하였고, DSAS에 의해 통계적으로 분석되었다. 그 결과, 1992년까지 회야강의 하구폐색이 심각하였으며, 이로 인해 북측 해안선의 침식이 진행되어왔다. 이후 하구폐색은 도류제 완공과 함께 완화되는 듯하였으나 하구에서 외해로 벗어난 지역에 토사의 퇴적은 계속되고 있으며, 북측 해안선의 침식현상은 완화됨에 반해 남측 해안선의 침식이 급속히 진행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지역의 경우 도류제건설과 준설 및 양빈만으로는 변화하는 해안선의 적절한 관리대책이 되지 못 할 것으로 판단된다. 향후 지속가능한 해안의 관리를 위해서는 해양환경뿐만 아니라 해안선 변화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유역하천의 유사유출 요인을 고려하여 근본적인 관리방안의 수립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research is to observe the shoreline changes in Jinha beach over the 50 years with aerial photographs and satellite images. The shoreline image feature was retrieved from the corrected images using wet and dry techniques and analyzed by DSAS from the statistical point of view. From 1967 to 1992...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진하해수욕장의 과거 시기별 항공사진 및 위성영상 자료로부터 해안선을 추출하고 수치해안선 분석 시스템(Digital Shoreline Analysis System, DSAS 4.0) 을 통해 해안선 변화를 탐지함으로써 해안선의 장기적인 이동경향을 파악하고 해빈의 침식 및 퇴적 변화를 정량화 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친수관광자원으로써의 수요와 산업, 항만, 주거단지 확충을 위한 인위적 개발이 해안에 미치는 영향은? 해안의 단기 변화는 장기 변화에 상당한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이들 시간 규모 사이에 발생하는 인위적 변화는 자연적 변화요인과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해안의 안정을 위협할 수 있다. 친수관광자원으로써의 수요와 산업, 항만, 주거단지 확충을 위한 인위적 개발은 해안기능을 훼손하고 연안환경에 심각한 변화를 야기하고 있다. 또한 해사채취 및 하천개발로 인한 지속적인 토사공급 감소와 더불어 기후변화현상은 해안의 침식을 가속화시키는 원인이 된다.
해안의 특징은? 해안은 육지와 해수면이 서로 만나는 공간으로 육지, 바다, 그리고 대기 사이의 다양한 에너지 상호작용에 의해 형상과 특성이 끊임없이 변화한다(Carter, 1988; Boak and Turner, 2005). 이러한 변화는 파랑, 조석, 지진, 태풍 등에 의한 단기 변화와 해수면 상승, 하천 수위변화, 하구 토사 유출 등에 의한 장기 변화로 구분되며, 다양한 시공간적 규모로 지속적으로 발생된다(Cowell and Thom, 1994; Paskoff and Clus-Auby, 2007; Oh et al.
기후변화가 초래하는 연안에서의 피해는? 전 지구적으로 기후변화는 심각한 문제로 인식되고 있으며, 특히 그로인한 연안에서의 피해는 심각한 실정이다. 이상 파랑의 내습과 해수면상승은 해안 토사의 붕괴, 유실, 반출을 유발하여 해안선의 침식현상을 초래하고, 하천에서의 유사유출 특성기구의 변화는 연안역으로 이송되는 표사의 안정성을 저해시켜 최종적으로 침수범람의 위험을 가중시키게 된다. 정부 간 기후변화협의체(Intergovernmental Pannel on Climate Change, IPCC)의 기후변화에 관한 5차 평가보고서(5th Assessment Report, AR5) 에 따르면 21세기 말 지구 평균 기온은 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Boak, E.H. and I.L. Turner, 2005. Shoreline definition and detection: a review, Journal Coast of Research, 21: 688-703. 

  2. Carter, R.W.G., 1988. Coastal environments: an introduction to the physical, ecological and cultural systems of coastlines, Academic Press. 

  3. Cenci, L., L. Disperati, L.P. Sousa, M. Phillips, and F.L. Alves, 2013. Geomatics for Integrated Coastal Zone Management: multitemporal shoreline analysis and future regional perspective for the Portuguese Central Region. Proceedings 12th International Coastal Symposium(Plymouth, England), Journal of Coastal Research, 65: 1349-1354. 

  4. Cowell, P.J. and B.G. Thom, 1994. Morphodynamics of coastal evolution. R.W.G. Carter & C.D. Woodroffe(Eds.), Coastal Evoluti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Cambridge, 33-86. 

  5. Hapke, C.J., M.G. Kratzmann, and E.A. Himmelstoss, 2013. Geomorphic and human influence on large-scale coastal change, Geomorphology, 199: 160-170. 

  6. Hunt, I.A., 1959. Design of seawalls and breakwaters, Journal of Waterways and Harbours Division, 85: 123-152. 

  7. IPCC, 2013. Climate Change 2013: The Physical Science Basis, Contribution of Working Group I to the Fifth Assessment Report of the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8. Jeong, S.H., B.K. Khim, B.O. Kim, and S.R. Lee, 2013. Shoreline-change Rates of the Barrier Islands in Nakdong River Estuary Using Aerial Photography and SPOT-5 Image, Ocean and Polar Research, 35(1): 1-14. 

  9. Jung, S.J., K.H. Kim, and C.K. Pyun, 2004. Investigation of Long-Term Shoreline Changes Using Aerial Image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astal and Ocean Engineers, 16(1): 10-17. 

  10. Manca, E., V. Pascucci, M. Deluca, A. Cossu, and S. Andreucci, 2013. Shoreline evolution related to coastal development of a managed beach in Alghero, Sardinia, Italy, Ocean & Coastal Management, 85: 65-76. 

  11. Moore, L.J., 2000. Shoreline mapping techniques, Journal of Coastal Research, 16(1): 111-124. 

  12. Morton, R.A., T.L. Miller, and L.J. Moore, 2004. National assessment of shoreline change part 1: Historical shoreline changes and associated coastal land loss along the US Gulf of Mexico, US Geological Survey Open File Report, 2004-1043: 44. 

  13. Oh, C.Y., S.Y. Park, C.U. Choi, and S.W. Jeon, 2010. Change Detection at the Nakdong Estuary Delta Using Satellite Image and GIS, The Korea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ystem, 18(1): 21-29. 

  14. Paskoff, R. and C. Clus-Auby, 2007. L'erosion des plages. Les causes, les remedes. Institut Oceanographique Editeur, Paris, 184. 

  15. Rousseeuw, P.J. and A.M. Leroy, 2005. Robust regression and outlier detection, Vol. 589, John Wiley and Sons. 

  16. Tao, C.V. and Y. Hu, 2001. A comprehensive study of the rational function model for photogrammetric processing, Photogrammetric Engineering and Remote Sensing, 67(12): 1347-1358. 

  17. Thieler, E.R., E.A. Himmelstoss, J.L. Zichichi, and A. Ergul, 2009, Digital Shoreline Analysis System(DSAS) version 4.0 - An ArcGIS extension for calculating shoreline change: U.S. Geological Survey Open-File Report. 

  18. Thieler, E.R. and W.W. Danforth, 1994. Historical shoreline mapping(II): application of the digital shoreline mapping and analysis systems (DSMS/DSAS) to shoreline change mapping in Puerto Rico, Journal of Coastal Research, 10: 600-620. 

  19. Virdis, S.G.P., G. Oggiano, and L. Disperati, 2012. A Geomatics Approach to Multitemporal Shoreline Analysis in Western Mediterranean: The Case of Platamona-Maritza Beach(Northwest Sardinia, Italy), Journal of Coastal Research, 28(3): 624-64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