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수동 마이크로파 해빙 면적비 자료를 이용한 남극 장보고 과학기지로의 항해경로 분석
Analysis of Sea Route to the Jangbogo Antarctic Research Station by using Passive Microwave Sea Ice Concentration Data 원문보기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v.30 no.5, 2014년, pp.677 - 686  

김연춘 (강원대학교 지구물리학과) ,  지영훈 (강원대학교 지구물리학과) ,  한향선 (강원대학교 지구물리학과) ,  이주한 (극지연구소 기술안전지원팀) ,  이훈열 (강원대학교 지구물리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2014년에 완공된 남극 장보고 과학기지 주변 테라노바 만은 연중 해빙이 넓게 분포하고 있어 쇄빙선의 항해에 매우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수동 마이크로파 센서인 Special Sensor Microwave/Imager (SSM/I) 및 Special Sensor Microwave Imager/Sounder (SSMIS)의 최근 10년간 해빙 면적비 자료와 우리나라의 쇄빙 연구선인 아라온호의 2010-2012년 항해 경로를 이용하여 장보고 과학기지 방문을 위한 쇄빙선의 최적 항로와 항해 가능 기간을 분석하였다. 아라온호는 최대 78%의 해빙 면적비를 보이는 지역까지 항해가 가능하였다. 아라온호의 항해속도는 해빙 면적비가 높을수록 감소하였으나, 70%의 해빙 면적비까지는 전체 항로에 대한 평균속도(~11 kn)에 근접한 속도를 나타냈다. 이에 따라 아라온호는 70% 이하의 해빙 면적비까지 일반적 운항이 가능하다고 판단하였다. 2010-2012년에 아라온호가 항해한 경로에 대해, 최근 10년 동안의 해빙 면적비 자료로부터 70% 이하의 해빙 면적비를 나타내는 연중 항해가능 기간을 도출하였다. 2010년과 2011년의 항로에 대한 10년 동안의 연중 최대 항해 가능 기간은 각각 연 61일과 62일이었으나, 70% 이하의 해빙 면적비가 관찰되지 않아 일반적인 항해가 어려운 연도가 일부 관찰 되었다. 반면 2012년의 아라온호 항해 경로는 매년 70% 이하의 해빙 면적비를 나타내는 항해 가능 기간이 존재하였으며, 이는 최소 연 15일에서 최대 연 89일로 분석되었다. 이를 통해 2012년에 운항한 아라온호의 항로가 장보고 과학기지 방문을 위한 쇄빙선의 최적 항로임을 제시할 수 있었다. 하지만 수 십 km의 해상도를 가지는 해빙 면적비 자료로는 장보고기지 연안에 근접한 해빙 상태를 알 수 없기 때문에, 고해상도의 광학 및 SAR 자료를 이용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Sea ice covers wide area in Terra Nova Bay in East Antarctica where the Jangbogo Antarctic Research Station was built in 2014, which affects greatly on the sailing of an icebreaker research vessel.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optimum sea route and sailable period of the icebreaker to visit the J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러한 연구들은 해빙 분포와 면적의 변화, 두께 추정, 해빙 면적비 추출 알고리즘의 개발 및 평가에 집중하고 있다. 우리는 쇄빙선의 항로에 대해 해빙의 분포특성을 시계열적으로 분석하고, 이를 통해 안전한 항해가 가능한 항로를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하였다.
  • 2010-2012년의 항해 경로 분석을 통해 아라온호는 최대 78%의 해빙 면적비를 나타내는 항로를 항해할 수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이 연구에서는 높은 해빙 면적비에서도 아라온호의 항해속도가 유지되는지 검토하였다. Fig.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아라온호는 70% 이하의 해빙 면적비까지 일반적 운항이 가능하다고 판단하는 근거는? 이 연구에서는 수동 마이크로파 센서인 Special Sensor Microwave/Imager (SSM/I) 및 Special Sensor Microwave Imager/Sounder (SSMIS)의 최근 10년간 해빙 면적비 자료와 우리나라의 쇄빙 연구선인 아라온호의 2010-2012년 항해 경로를 이용하여 장보고 과학기지 방문을 위한 쇄빙선의 최적 항로와 항해 가능 기간을 분석하였다. 아라온호는 최대 78%의 해빙 면적비를 보이는 지역까지 항해가 가능하였다. 아라온호의 항해속도는 해빙 면적비가 높을수록 감소하였으나, 70%의 해빙 면적비까지는 전체 항로에 대한 평균속도(~11 kn)에 근접한 속도를 나타냈다. 이에 따라 아라온호는 70% 이하의 해빙 면적비까지 일반적 운항이 가능하다고 판단하였다.
아라온호의 항해속도는? 아라온호는 최대 78%의 해빙 면적비를 보이는 지역까지 항해가 가능하였다. 아라온호의 항해속도는 해빙 면적비가 높을수록 감소하였으나, 70%의 해빙 면적비까지는 전체 항로에 대한 평균속도(~11 kn)에 근접한 속도를 나타냈다. 이에 따라 아라온호는 70% 이하의 해빙 면적비까지 일반적 운항이 가능하다고 판단하였다.
아라온호은 최대 몇 %의 해빙 면적비를 보이는 지역까지 항해가 가능한가? 이 연구에서는 수동 마이크로파 센서인 Special Sensor Microwave/Imager (SSM/I) 및 Special Sensor Microwave Imager/Sounder (SSMIS)의 최근 10년간 해빙 면적비 자료와 우리나라의 쇄빙 연구선인 아라온호의 2010-2012년 항해 경로를 이용하여 장보고 과학기지 방문을 위한 쇄빙선의 최적 항로와 항해 가능 기간을 분석하였다. 아라온호는 최대 78%의 해빙 면적비를 보이는 지역까지 항해가 가능하였다. 아라온호의 항해속도는 해빙 면적비가 높을수록 감소하였으나, 70%의 해빙 면적비까지는 전체 항로에 대한 평균속도(~11 kn)에 근접한 속도를 나타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Aulicino, G., G. Fusco, S. Kern, and G. Budillon, 2014. Estimation of sea-ice thickness in Ross and Weddell Seas from SSM/I brightness temperatures, IEEE Transactions on Geoscience and Remote Sensing, 52(7): 4122-4140. 

  2. Bell, W., B. Candy, N. Atkinson, F. Hilton, N. Baker, N. Bormann, G. Kelly, M. Kazumori, W.F. Campbell, and S.D. Swadley, 2008. The assimilation of SSMIS radiances in numerical weather prediction models, IEEE Transactions on Geoscience and Remote Sensing, 46(4): 884-900. 

  3. Bjorgo, E., O.M. Johannessen, and M.W. Miles, 1997. Analysis of merged SMMR-SSM/I time series Arctic and Antarctic sea ice parameters 1978-1995, Geophysical Research Letters, 24(4): 413-416. 

  4. Carsey, F.D., 1992. Microwave Remote Sensing of Sea Ice, American Geophysical Union, Washington, USA. 

  5. Cavalieri, D.J., J.P. Crawford, M.R. Drinkwater, D.T. Eppler, L.D. Farmer, R.R. Jentz, and C.C. Wackerman, 1991. Aircraft active and passive microwave validation of sea ice concentration from the Defense Meteorological Satellite Program special sensor microwave imager, Journal of Geophysical Research, 96(C12): 21989-22008. 

  6. Cavalieri, D.J., P. Gloersen, C.L. Parkinson, J.C. Comiso, and H.J. Zwally, 1997. Observed hemispheric asymmetry in global sea ice changes, Science, 278(5340): 1104-1106. 

  7. Cavalieri, D.J., P. Gloersen, and W.J. Campbell, 1984. Determination of sea ice parameters with the NIMBUS 7 SMMR, Journal of Geophysical Research, 89(D4): 5355-5369. 

  8. Clausi, D.A., 2001. Comparison and fusion of cooccurrence, Gabor and MRF texture features for classification of SAR sea-ice imagery, Atmosphere-Ocean, 39(3): 183-194. 

  9. Comiso, J.C., D.J. Cavalieri, C.L. Parkinson, and P. Gloersen, 1997. Passive microwave algorithms for sea ice concentration: A comparison of two techniques, Remote sensing of Environment, 60(3): 357-384. 

  10. Comiso, J.C., R. Kwok, S. Martin, and A.L. Gordon, 2011. Variability and trends in sea ice extent and ice production in the Ross Sea, Journal of Geophysical Research, 116, C04021. 

  11. Han, H. and H. Lee, 2007. Comparative study of KOMPSAT-1 EOC images and SSM/I NASA Team sea ice concentration of the Arctic,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23(6): 507-520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2. Han, H. and H. Lee, 2011a. Analysis of surface displacement of glaciers and sea ice around Canisteo Peninsula, West Antarctica, by using 4-pass DInSAR technique,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27(5): 535-542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3. Han, H. and H. Lee, 2011b. Microwave radiation characteristics of glacial ice in the AMSR-E NASA Team2 algorithm,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27(5): 543-553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4. Haverkamp, D., L.K. Soh, and C. Tsatsoulis, 1995. A comprehensive, automated approach to determining sea ice thickness from SAR data, IEEE Transactions on Geoscience and Remote Sensing, 33(1): 46-57. 

  15. Ivanova, N., O.M. Johannessen, L.T. Pedersen, and R.T. Tonboe, 2014. Retrieval of Arctic sea ice parameters by satellite passive microwave sensors: A comparison of eleven sea ice concentration algorithms, IEEE Transactions on Geoscience and Remote Sensing, 52(11): 7233-7246. 

  16. Lee, H. and H. Han, 2008. Evaluation of SSM/I and AMSR-E sea ice concentrations in the Antarctic spring using KOMPSAT-1 EOC images, IEEE Transactions on Geoscience and Remote Sensing, 46(7): 1905-1912. 

  17. Parkinson, C.L., 2004. Southern Ocean sea ice and its wider linkages: insights revealed from models and observations, Antarctic Science, 16(4): 387-400. 

  18. Parkinson, C.L. and D.J. Cavalieri, 2012. Antarctic sea ice variability and trends, 1979-2010, The Cryosphere, 6: 931-956. 

  19. Stroeve, J., J. Maslanik, and L. Xiaoming, 1998. An intercomparison of DMSP F11- and F13-Derived Sea Ice Products, Remote Sensing of Environment, 64(2): 132-152. 

  20. Tamura, T., K.I. Ohshima, T. Markus, D.J. Cavalieri, S. Nihashi, and N. Hirasawa, 2007. Estimation of thin ice thickness and detection of fast ice from SSM/I data in the Antarctic Ocean, Journal of Atmospheric and Oceanic Technology, 24(10): 1757-1772. 

  21. Thomas, D.N. and G.S. Dieckmann, 2003. Sea ice: An Introduction to Its Physics, Chemistry, Biology, and Geology, Blackwell Science, Oxford, UK. 

  22. Vinnikov, K.Y., A. Robock, R.J. Stouffer, J.E. Walsh, C.L. Parkinson, D.J. Cavalieri, J.F.B. Mitchell, D. Garrett, and V.F. Zakharov, 1999. Global warming and northern hemisphere sea ice extent, Science, 286(5446): 1934-1937.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