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통감부 시기 궁내부 왕실 건축조직의 재편
Reorganization of Royal Architectural Bureau in Gungnaebu during 1905-1910 원문보기

건축역사연구 : 한국건축역사학회논문집 = Journal of architectural history, v.23 no.5, 2014년, pp.61 - 71  

이규철 (도쿄대학 JSPS)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rough the changes of royal architectural bureau in Gungnaebu, this study attempts to find out the modern transition of traditional facilities belonging to Gungnaebu as well as the constituent of human resources in royal architectural bureau. Yeongseonsa, the royal architectural bureau in Gungnaebu...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선행 연구에서는 이러한 1차사료의 부족으로 『관보』를 주로 활용하였지만, 본 연구에서는 궁내부와 이왕직에서 편찬한 『직원록』과 관련 자료를 확보하여 건축조직의 인적구성을 상세히 확인하였다.7) 또한, 궁내부의 건축도면, 『대한제국관원이력서』를 비롯한 개인 이력 관련 자료, 그리고 『관보』와 신문기사 등을 통해 궁내부의 건축조직과 건축활동을 구체적으로 확인하고자했다.
  • 본격적인 식민지 체제에서는 일본인 주임 사무관 하야시 후미타로(林文太郞)를 비롯한 이왕직의 새로운 건축조직으로 다시 재편된 것이다.92)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식민지 체제가 갖추어지기 이전인 통감부 시절부터 궁내부의 영선사와 내장원 토목과를 거치면서 왕실 건축조직이 재편되는 과정을 고찰하였다.
  • 본 연구는 이상과 같은 궁내부 건축조직의 재편 과정을 고찰하여, 구체적인 궁내부의 인적구성을 밝혔으며 이를 통해 통감부 시기 왕실 건축의 변화에 대한 원인을 추론할 수 있었다. 다만, 일본인 기술 인력의 경력을 확인하지 못한 점은 본 연구의 한계이고, 이 연구를 통해 관련 연구자들의 관심을 기대한다.
  • 따라서, 궁내부 왕실 건축조직의 변화를 통해 가장 보수적인 궁내부의 전통 시설이 점차 근대적으로 변화하는 모습을 살필 수 있을 것이며, 동시에 이러한 변화를 가능하게 만든 인적 구성을 통해 구체적인 건축조직의 변화 과정도 함께 살필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이와 같은 궁내부 왕실 건축조직의 재편 과정을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 이러한 연구를 위해 각 조직의 인적 구성을 확인할 수 있는 1차사료를 최대한 활용하였다. 선행 연구에서는 이러한 1차사료의 부족으로 『관보』를 주로 활용하였지만, 본 연구에서는 궁내부와 이왕직에서 편찬한 『직원록』과 관련 자료를 확보하여 건축조직의 인적구성을 상세히 확인하였다.7) 또한, 궁내부의 건축도면, 『대한제국관원이력서』를 비롯한 개인 이력 관련 자료, 그리고 『관보』와 신문기사 등을 통해 궁내부의 건축조직과 건축활동을 구체적으로 확인하고자했다.
  • 통감부 시기의 왕실 건축조직의 재편을 살피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먼저 갑오개혁 이후 궁내부의 영선사에서 내장원 토목과, 그리고 일제강점기의 이왕직의 건축조직으로 변화하는 행정 구조의 변화를 확인하였다. 그리고 나서 영선사와 내장원 토목과의 조직 구성 및 건축활동을 각각 살펴보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관영 건축조직이란? 관영 건축조직은 국가 시설의 재료, 규모, 양식, 기법 등 건축물의 전반적인 형식을 결정하는 주요한 주체이다. 전통시대에는 국가의 건축활동이 당대 건축의 흐름을 주도하였기 때문에, 건축조직은 건축의 시대적 변화에도 큰 영향을 주었다.
심의석은 궁내부 밖의 기관인 내부 소속이지만, 궁내부 영선사의 전통적인 기술 관원의 능력만으로는 감당하기 어려운 창덕궁공사를 위해 특별히 초빙된 것으로 판단된 이유는? 51) 또한, 순종의 이어와 함께 내각, 중추원, 궁내부 등의 관청도 창덕궁으로의 이전이 결정되었으며,52) 창덕궁앞 좌우에 각 관청을 양제(洋製)로 신축하고 창덕궁에서통감부에 이르는 도로를 정비하겠다는 계획도 마련되었다.53) 이러한 대규모 계획의 창덕궁 공사는 기존의 창덕궁 건물의 보수를 위한 전통적인 건축 기술이 필요하기도 했고, 양식의 새로운 관청을 신축하기 위한 근대적인건축 기술이 필요하기도 했다. 따라서, 심의석은 궁내부 밖의 기관인 내부 소속이지만, 궁내부 영선사의 전통적인 기술 관원의 능력만으로는 감당하기 어려운 창덕궁공사를 위해 특별히 초빙된 것으로 판단된다.
내각의 업무가 건축조직에서는 주로 근대적인 건축시설을 신축하거나 기존의 전통시설을 개조하여 근대적 기능에 맞게 활용하는 건축활동한 이유는? 2) 내각에는 공무아문(工務衙門) 건축국(建築局)을 비롯한 각부에 건축과 수리를 담당하는 기구가 조직되었다가, 1906년에 대부분의 건축 업무가 탁지부 건축소로 통합되어 관리되었다. 선행 연구에 따르면, 내각의 업무가이전 시대와는 다른 근대적인 기능을 요구하는 경우가 많았기 때문에 이들 건축조직에서는 주로 근대적인 건축시설을 신축하거나 기존의 전통시설을 개조하여 근대적 기능에 맞게 활용하는 건축활동을 하였다. 이에 따라 건축조직의 인적구성도 일본인 기술 인력 중심으로 변화하였고, 소수의 근대적인 건축교육을 받은 한국인 기술 인력이 추가되는 양상을 보인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Jikwonrok(職員錄), Euijeongbu, 1906 

  2. Gungnaebugwanan(宮內府官案), Gungnaebu, 1906 

  3. Gungnaebu Jikwonrok(宮內府職員錄), 1908 

  4. Jikwonrok(職員錄), Naegak, 1908-1909 

  5. Iwangjik Jikwonrok(李王職職員錄), Iwangjik, 1911/1914 

  6. National Assembly Library, Hanmalgeundaebeopryeongjaryojip(한말근대법령자료집), vol. I;IV-V, 1970-1971 

  7. National Institute of Korean History, Daehanjeguk Gwanwon Ireokseo(대한제국관원이력서), 1972 

  8. Woo Dae-seung, "A study on the architecture organizations and activities in Korea modern period", Master's thesis, Hongik University, 1997 

  9. Lee Yoon-sang, "The Status of 'Royal-Family of Joseon' and the role of 'Office of Yi Royal-Family' During the Japanese Occupation", Korean Culture, vol. 40, 2007 

  10. Jangseogak Archives, Geundaegeonchook Domeonjip(近代建築圖面集), 2009 

  11. Lee Geau-Chul, "The Development of Modern Survey and the Characteristics of Survey Drawings in Early Modern Korea", Journal of Architectural History, vol. 19 No. 6, 2010 

  12.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The Architectural Drawings of Joseon Royal Household in the Collection of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2013 

  13. Lee Geau-Chul, "Building Organization in Gungnaebu and Iwangjik", Key Concepts of Korean Architecture, Dongnyok, 2013a 

  14. Lee Geau-Chul, "Building Surveys and Nationalization on Royal Facilities during the Residency-General Period (1906-1910)", Journal of Architectural History, vol. 22 No. 4, 2013b 

  15. Woo Don-son, Kee Sehwang, "A Study on the Remodeling of Injeongjeon Area at Changdeokgung Palace in 1908", Journal of Architectural History, vol. 23 No. 2, 2014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