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시열과제 운동학습 시 집중연습과 분산연습이 P300 출현시기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Massed and Distributed Practice on P300 Latency in a Sequential Timing Task 원문보기

대한물리치료학회지 =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Physical Therapy, v.26 no.4, 2014년, pp.234 - 239  

권용현 (영남이공대학교 물리치료과) ,  이명희 (경성대학교 이과대학 물리치료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se P300 latency to determine whether methods of motor learning in terms of massed and distributed practice can affect motor sequential learning in healthy adults. Methods: Twenty-four healthy subjec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y were randomly allocated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집중학습과 분산학습을 실시할 때 연습과정 중에 일어나는 학습의 효과를 기존의 효과기 전이검사에 집중하여 연구하던 형태를 벗어나 자극이 주어질 때 발생하는 단시간 내의 인지정보 처리과정을 이해할 수 있는 사건유발전위 중 P300 출현시기의 분석을 통하여 알아 보고자 한다. 또 이를 이용하여 임상적으로 치료사가 환자의 치료를 위해 운동학습을 프로그래밍 할 때 도움이 되고자 한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집중학습과 분산학습을 실시할 때 연습과정 중에 일어나는 학습의 효과를 기존의 효과기 전이검사에 집중하여 연구하던 형태를 벗어나 자극이 주어질 때 발생하는 단시간 내의 인지정보 처리과정을 이해할 수 있는 사건유발전위 중 P300 출현시기의 분석을 통하여 알아 보고자 한다. 또 이를 이용하여 임상적으로 치료사가 환자의 치료를 위해 운동학습을 프로그래밍 할 때 도움이 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기존에 많은 연구들이 운동학습과 관련하여 공간적 해상도가 높은 측정방법으로 그 효과를 입증해 왔지만 시간적 해상도가 높은 사건유발전위를 이용하여 분산학습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실시되었고 그 결과 연습구간 사이에 시간간격을 두고 실시하는 분산학습에서 연습 사이의 휴식시간이 기억과정에 중대한 영향을 주어 집중학습보다 더 학습의 효과보다 좋은 것으로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움직임의 재교육이 필요한 환자들에게 운동학습의 효과를 높이기 위해 운동치료 프로그램을 계획할 때, 한 가지과제로 구성된 프로그램을 하루에 집중 연습하여 완성하는 것 보다 다양한 과제로 구성된 프로그램을 여러 날에 걸쳐 연습하도록 하는 것이 더 효과적이라고 제안한다.
  • 오랜 기간 동안 많은 연구들은 운동학습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다양하게 체계적 연습방법을 고안해 왔지만 아직 연습전략과 기억에 관한 관계는 여전히 연구의 대상이 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시열반응과제를 이용한 집중학습과 분산학습 시 시간적 해상도가 높은 뇌파를 측정하여 Fz, Cz, Pz 영역에서 사건유발 전위를 추출하고 그 중 자극을 인지하는 시간을 의미하는 P300의 출현시기를 분석한 결과를 바탕으로 더 효과적인 운동학습 방법을 제안하고자 실시되었다. 연구 결과 분산학습을 실시한 군에서 집중학습을 한 군에 비해 P300 출현시기가 더 많이 단축된 것을 알 수 있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뇌파는 어떻게 구분되는가? 뇌파는 전극을 표준 배열과 일치하는 두피에 부착하여 뇌의 다양한 부위에서의 전기적 활동과 그 형태를 감지하는데 일반적으로 자발뇌파(spontaneous potential, SP)와 유발뇌파(evoked potential, EP)의 성분으로 구분할 수 있다. 유발뇌파는 특정 정보를 내포하고 있는 자극을 제시한 후 자극의 처리와 관련한 뇌의 전기적 활동만을 나타내는 파형을 말한다.
운동 조절이란 무엇인가? 운동 조절은 이미 습득한 움직임을 조절하는 것이라 할 수 있는 반면에 운동학습은 움직임을 습득하고 주어진 환경의 상황에 맞게 수정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1,2 따라서 운동학습과 관련하여 일반적인 몇 가지 논점들이 발생하게 되는데 어떻게 하면 효율적으로 학습할 수 있는가, 학습된 기술을 상황에 맞게 어떻게 전이할 것인가, 마지막으로 과제를 수행할 때 어떻게 하면 더 효율적으로 단순화시킬 수 있는가 등이 그것이다.
효과적인 운동학습 방법 위해 P300의 출현시기를 분석한 결과는 어떠한가? 이에 본 연구에서는 시열반응과제를 이용한 집중학습과 분산학습 시 시간적 해상도가 높은 뇌파를 측정하여 Fz, Cz, Pz 영역에서 사건유발 전위를 추출하고 그 중 자극을 인지하는 시간을 의미하는 P300의 출현시기를 분석한 결과를 바탕으로 더 효과적인 운동학습 방법을 제안하고자 실시되었다. 연구 결과 분산학습을 실시한 군에서 집중학습을 한 군에 비해 P300 출현시기가 더 많이 단축된 것을 알 수 있었다. 특히 Fz 영역과 Pz 영역에서 10분 간격으로 집중학습을 한 군에 비해 24시간 간격으로 분산학습을 한 군에서 유의한 출현시기의 단축을 발견할 수 있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Seidler RD, Purushotham A, Kim SG, et al. Cerebellum activation associated with performance change but not motor learning. Science. 2002;296(5575):2043-6. 

  2. Shumway-Cook A, Woollacott MH. Motor Control: Translating Research into Clinical Practice. 3rd ed. Philadelphia,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2007:22. 

  3. Kwon YH, Lee MH. Comparison of Motor Skill Acquisition according to Types of Sensory-Stimuli Cue in Serial Reaction Time Task. J Korean Soc Phys Ther. 2014;26(3):191-5. 

  4. Lee MH, Kim MC, Park JT. Analysis of Motor Performance and P300 during Serial Task Performance according to the Type of Cue. 2013;8(2):299-305. 

  5. Ahn MH, Park KD, You YY. The Effect of Feedback on Somesthetic Video Game Training for Improving Balance of Stroke Patients. J Korean Soc Phys Med. 2012;7(4):401-9. 

  6. Ji SG, Nam GW, Kim MK, et al. The Effect of Visual Feedback Training Using a Mirror on the Balance in Hemiplegic Patients. J Korean Soc Phys Med. 2011;6(2):153-63. 

  7. Park JW, Kwon YH, Lee MY. Different Brain Activations between Random and Blocked Practice in Motor Learning. Journal of Korea Sport Research. 2007;18(5):469-80. 

  8. Lee MY, Park RJ, Nam KS. The effect of implicit motor sequence learning through perceptual­motor task in patients with subacute stroke. J Korean Soc Phys Ther. 2008;20(3):1­7. 

  9. Choi JH, Lee MY. The Effect of Cross-Education in Nondominant Arm with Normal Adult. J Korean Soc Phys Ther. 2011;23(2):31-6. 

  10. Kim JS, Lee KH, Bae SS. Mechanism and Application Methodology of Mental Practice. J Korean Soc Phys Ther. 2003;15(2):75-84. 

  11. Chung MH, Song YG, Park JH. The Effects of Massed and Distributed Practice on the Learning and Effector Transfer in a Sequential Timing Task. Korean Journal of Sport Psychology. 2007;18(3):193-213. 

  12. Dail TK, Christina RW. Distribution of Practice and Metacognition in Learning and Long-Term Retention of a Discrete Motor Task. Res Q Exerc Sport. 2004;75(2):148-55. 

  13. Shewokis PA. Memory consolidation and contextual interference effects with computer games. Percept Mot Skills. 2003;97(2):581-9. 

  14. Pauwels L, Swinnen SP, Beets IA. Contextual interference in complex bimanual skill learning leads to better skill persistence. PLoS One. 2014 24;9(6):e100906. 

  15. Park MC, Bae SS, Kwon YH. Change of activation of the supplementary motor area in motor learning: an fMRI case study. J Korean Soc Phys Ther. 2011; 23(2):85-90. 

  16. Kwon YH, Chang JS, Kim CS. Changes of Cortical Activation Pattern Induced by Motor Learning with Serial Reaction Time Task. J Korean Soc Phys Ther. 2009; 21(1):65-71. 

  17. Polich J. Neuropsychology of P300. In Luck SJ, Kappenman ES. Handbook of event-related potential components,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2010:10-11. 

  18. Simmons AL. Effect of Practice Variability and Distribution of Practice on Musicians' Performance of a Procedural Skill. Taxas University. Dissertation of Doctorate Degree. 2007. 

  19. Shea CH, Lai Q, Black C, et al. Spacing practice sessions across days benefits the learning of motor skills. Human Movement Science. 2000;19(5):737-60. 

  20. Balas M, Roitenberg N, Giladi N, et al. When practice does not make perfect: well-practiced handwriting interferes with the consolidation phase gains in learning a movement sequence. Exp Brain Res. 2007;178(4):499-508. 

  21. Walker MP, Brakefield T, Hobson JA, et al. Dissociable stages of human memory consolidation and reconsolidation. Nature. 2003;425(6958):616-20. 

  22. Shadmehr R, Holcomb HH. Neural correlates of motor memory consolidation. Science. 1997;277(5327):821-5. 

  23. Hsieh S. The lateralized readiness potential and P300 of stimulus-set switching. Int J Psychophysiol. 2006;60(3):284-91. 

  24. Olofsson JK, Nordin S, Sequeira H, et al. Affective picture processing: an integrative review of ERP findings. Biol Psychol 2008;77(3):247-65. 

  25. Polich J. Updating P300: an integrative theory of P3a and P3b. Clin Neurophysiol 2007;118(10):2128-48. 

  26. Curran T. Effects of attention and confidence on the hypothesized ERP correlates of recollection and familiarity. Neuropsychologia. 2004;42(8):1088-106. 

  27. Curran T, Friedman WJ. ERP old/new effects at different retention intervals in recency discrimination tasks. Brain Res Cogn Brain Res. 2004;18(2):107-20. 

  28. Foti D, Hajcak G, Dien J. Differentiating neural responses to emotional pictures: evidence from temporal-spatial PCA. Psychophysiology. 2009;46(3):521-30. 

  29. Praeg E, Esslen M, Lutz K, et al. Neuronal modifications during visuomotor association learning assessed by electric brain tomography. Brain Topogr. 2006;19(1-2):61-75. 

  30. Sakai K, Hikosaka O, Miyauchi S, et al. Transition of brain activation from frontal to parietal areas in visuomotor sequence learning. J Neurosci. 1998;18(5):1827-40.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